언론의 삼성 찬양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많은 언론들이 삼성의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라, 삼알아서 먼저 삼성 찬양 기사를 쓴다. 

 잘 되면 삼성의 역량 때문이고, 나쁜 건 정부의 규제와 정책 때문이다.  

 삼성이 잘 못하거나, 나쁜 부분은 아예 언론에 거론되지도 않는다. 


 * 삼성자동차, 삼성상용차로 많은 채권단 및 개인의 자산이 휴지조각이 되는 사태에서 과연 언론들은 무슨 일을 했는지 묻고 싶다. 


 김용철의 책 <삼성을 생각한다>의 소개기사 가지고도 삼성은 경향신문을 압박했었다. 삼성 눈 밖에 났던 한겨레나 경향은 한참동안 광고비의 20% 이상이 줄어드는 어려운 상황을 겪어내야 했다. 


 정형식 판사가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하였다. 과연 판사가 맞는가 싶었다. 회자되는 몇 가지 이야기가 생각난다. 


법리는 고민 사안 아니었다. → 삼성은 법위에 있다.

어느 기업인이 대통령 요구 거절 했겠나 → 어느 판사가 삼성의 요구 거절했겠나


삼권분립을 내세우는 법원을 향해 시민들은 삼성의 권리부터 분리하라고 한다. 


적페가 너무 많다. 


언론은 민주주의의 최후 보루로 불린다. 국가기관이 시장에 대한 통제와 관리 능력을 상실하고 재벌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를 수록 비판과 감시자로서의 언론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진다. 그런데 언론이 제일 문제였다. 삼성 신화는 삼성의 독점적 경제력에 덧붙여 정치적 전략과 언론의 선동 정치를 통해 이뤄졌다. 특히 언론은 삼성 신화를 만들어 낸 일등공신이었다. 

...


2006년 시사저널의 기자 이현철이 "이학수 부회장 권력, 너무 비대해졌다”라는 제목으로 삼성의 2인자이면서 삼성전략기획실장인 이학수의 인사 스타일을 비판하는 기사를 썼다. 그러자 삼성 홍보실의 전화를 받은 <시사저널> 사장의 지시로 인쇄소에서 막판에 기사가 삭제되었다" 기자들은 편집권 독립을 주장하며 1년여동안 싸웠지만 그들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기자들은 거리에서 <시사IN>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만들어야 했다. 독재 정권을 방불케 하는 삼성의 언론 통제였다. 그 외에도 삼성이 언론을 통제한 많은 사례들이 일선 기자들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확인 되었다. 통제는 필연적으로 자기 검열을 낳는다. 어느새 기자들 은 스스로 삼성에 대한 비판적 기사를 쓰지 않게 되었다. 


심하게 말하면 일부 언론은 삼성의 홍보 전단지였다. 언론은 삼성 홍보 기사를 수도 없이 게재해 삼성을 찬양했다. 삼성의 매출 실적이 분기별로 발표될 때마다 국가 경제성장 지표의 암울한 실태와 대비해 삼성을 추어올렸고, 성장 지표가 조금 반등하면 역시 삼성의 저력에 힘입은 결과라며 삼성을 추어올렸다. 한국 경제의 성 과는 삼성의 성공에 따른 것이고 실패의 원인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지 못한 정부의 탓이었다. 뭘 해도 삼성은 훌륭하게 묘사 되었다. (172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8-02-08 09: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삼성이 광고를 줄이면, 언론들은 자신들의 수입이
줄어 드니 삼성을 찬양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되어 버렸습니다.

집행유예라는 명백한 사실은 애써 외면하고 마치
무죄로 풀려난 것 같이 떠들어 대는 게 정말 기
가 막힙니다.

낭만인생 2018-02-08 11: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삼성이 여러 회사로 갈라져야 합니다. 그러지 않고는 절대 삼성을 이길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