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메르스의 메이트인가

                                           수전 손택의 탁월한 저서 << 타인의 고통 >> 에이즈 에 대한 대중 폭력을 비판한다. 미국 대중 기독교 우파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기독교 우파는 에이즈'를 윤리적 타락의 결과로 선전했고, 주요 표적은 동성애자였다. 동성애자는 어느 순간 불가촉천민으로 낙인 찍혔고, 고립되었으며, 찍히면 죽을 수도 있는 과녁이 되었다. 그들은 < 敵 : 원수 적  > 이자   < 的 : 과녁 적  > 이었다. 이 광기 바이러스는 고스란히 태평양을 건너셔, 현해탄을 건너셔, 동해바다를 넘어셔, 사이다 병속에 숨어셔, 인천 앞바다를 거쳐셔, 대한민국에 상륙했다. 뿜빠라 뿜빠 뿜빠빠. 당시, 나는 동성애자이면서 에이즈 보균 판정을 받은 사람과 알음알음 알고 지냈는데 그 사람은 세찬 바람이 전하는 풍문과는 달리 일상생활을 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는 것처럼 보였다.

지금은 연락이 끊겨서 소식을 알 수는 없으나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졸라 건강한 모습으로 정상인처럼 활동한 것을 보면 에이즈는 호들갑을 떨만큼 무서운 제2의 페스트는 아니었다. 다시 말해서 D.O.A : 도착 즉시 사망을 뜻하는 의학 용어 는 아니라는 말이다.  모든 질병에는 치사율 이 발생한다. 그 흔한 감기에도 죽는 사람이 있으니 말이다. 기록에 의하면 웃다가 죽은 사람도 있다고 한다. 웃느라 숨을 쉴 수가 없었다나 ?! 이 치사율이 소수점 이하로 떨어져서 인식을 못할 뿐이다. 사실 < 사스 > < 메르스 > 도 매년 유행하는 계절성 독감( 코로나 바이러스 )이다.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가 16명으로 늘어났다는 사실 앞에서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다. 우우, 하지 마시라. 내 말은 경계를 하고 조심을 하면 될 일이지 사회 전체가 공황에 빠질 필요는 없다는 소리.

 

국가는 공포를 은폐하려는 속성이 있고, 언론은 공포를 확산하려는 속성이 있다. 특히 한국 언론'은 1을 100으로 과장해서 치환하려는 버릇이 있다. 왜냐하면 << 공포 조성 >> 만큼 채널을 고정시키는 데 유리한 것은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독이 있는 뱀이나 지네를 보게 되면 순간 눈을 떼지 못한 채 예의주시하는 이유는 시선을 딴 데로 분산시킬 경우 갑작스러운 공격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는 데 있다. 종편 뉴스는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 공포를 조성하고 판매한다. 언론은 하이에나의 습속을 가진 족속이다. 2009년, 유행성 독감인 신종 플루로 인해 사망한 사람은 260명이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매년 계절 독감으로 사망하는 사람은 평균 2,369명이다. 요즘 돌아가는 꼴을 보면 때려잡자, 메르스 환자 !!!! ” . 메르스 환자는 감기 한번 걸렸다고 불가촉천민이 되어 공공의 적이 되었다. 하지만 표적이 틀렸다. 메르스 환자는 원인이 아니라 결과일 뿐이다. 우리가 활시위 팽팽하게 당겨서 겨냥해야 될 과녁은 메르스 환자가 아니라 국가와 삼성이다. 국가는 무능했고 삼성은 거만했다.

 

국내 1위가 아닌, 세계 1위를 목표로 삼겠다던 삼성이 메리스의 메이트(mate)였다는 사실은 영화 << 식스 센스 >> 에서 브루스 윌리스가 유령이었다는 서사에 버금가는 반전이었다. 세스코 본사에 바퀴와 쥐가 가장 많이 번식하는 경우라고나 할까 ?  이런 것을 두고 등잔 밑이 어둡다고 하는 모양이다. 삼성은 기자 회견을 통해서 뚫린 입으로 삼성(의 방역 시스템)이 뚫린 것이 아니라 국가가 뚫린 것이라며 반격을 가했지만, 이 말은 반은 정답이고 반은 오답이었다. 삼성도 뚫리고 국가도 뚫린 것 !  이 사실 앞에서 너도 울고, 나도 울고, 국민 모두 울었다. 삼성 입장에서는 메리스라는 패트리어트 미사일이 작전 본부를 포격한 꼴이니 911 사태 때 비행기가 미 국방부 옥타곤을 포격한 것이나 같은 아,        수라장'이었을 것이다. 모두 중동발 패트리어트 미사일이었다.  

 

세계 1위를 꿈꾸는 엘리트 집단으로서는 자존심에 칼집이 난 상태다. 성은 오징어가 되어서 벌집 모양으로 끓는 물에 감겨 오그라들었다.      이 정도면 명예에 먹물을 뒤집어쓴 꼴이다. 메르스 사태가 주는 교훈은 명확하다. 공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사율이 아니라 거대 기업이 국가 권력과 맞짱을 뜨는 태도와 일개 기업 눈치나 보는 국가'다.  ( 삼성의 ) 메르스를 향한 신경질적인 태도는 삼성이라는 권력이 이미 국가 권력을 얕잡아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삼성이 망하면 대한민국이 망한다는 말만큼 슬픈 말도 없다. 이런 말을 할 때마다 삼성 때문에 먹고사는 노동자가 몇 명인 줄 아느냐고 묻기 전에 먼저 대한민국 때문에 살아가는 노동자가 몇 명이나 되는 줄 아느냐고 물어야 한다. 삼성이 망한다고 해서 대한민국이 무너지지는 않는다.

 

설령, 삼성이 망한다고 해서 국가가 망하면 대한민국은 차라리 망하는 게 낫다. 국가가 한 개의 기업에 의해 흥망이 좌지우지될 처지라면 말이다. 일당 독재 사회'만큼 무서운 것은 일개 기업이 국가를 자지우지하는 것이다. 메르스 사태는 삼성의 민낯을 여실히 보여준 사건이었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5-06-15 15: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성이 망한다고 해서 국가가 망하면 대한민국은 차라리 망하는 게 낫다. ; 그럴 리가 없으니, 크게 실감되지 않는군요.

포털 기사에 대형 병원에서 메르스 의심 환자의 진료를 거부한다는 데 ; 메르스 확산 방지에 효과가 있을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6-15 16:41   좋아요 0 | URL
오, 그런가요 ? 전 의료계 세계는 잘모르겠어서 조심스럽긴 한데 이건 직무유기 아닌가요 ? 승차를 거부해도 제재를 받는데 사람 목숨을 가지고 거부를 하면 더 큰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한국에는 격리 병동이 없나요 ?
궁금한 게 격리 병동은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마립간 2015-06-15 19:52   좋아요 0 | URL
대부분의 병원에 격리 병동은 없습니다. 메르스와 관련해서는 국가에서 지정한 몇 개의 병원에서 격리 병동을 운용하고 있죠.

진료 거부는 직무유기로 생각하는 의사가 메르스 의심 환자를 진료했다면, 그 순간 이후 환자의 확진이 날 때까지 추가 진료를 하는 것이 옳을까요? 아니면 진료를 하지 않는 것이 옳을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6-15 20:00   좋아요 0 | URL
아, 격리 병동은 원래 없는 것이로군요.

결국은 국립병원에 한해서 격리병동을 운영한다는 것인데 아무래도 이윤 추구 때문이겠죠 ? 이런 전염병 창궐을 막기 위해 사립 병원이 투자할 리는 없으니 말이죠. 어디서 흘려 들은 이야기인데 한국은 국립병원 수가 굉장히 적다는 소리를 들은 적 있씁니다. 기형적이라고 하더군요.


이 글 읽고 문득 든 생각이 가장 좋은 건 가정 방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인원이 많이 딸리겠죠 ?
도의상 진료를 거부하는 것은 왜 거 있잖습니까... 무슨무슨 선서하는 거... 그 정신에 위배되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마립간 2015-06-15 21:06   좋아요 0 | URL
제가 생각했던 질문은
메르스와 메르스와 구분 안 되는 감기, 그리고 확진까지의 기간을 고려할 때, 우리 나라 상화에서 몇명 의 일반 내과, 호흡기 내과, 감염 내과 의사가 필요할까요? ; 라고 하려 했는데, 곰곰발 님이 주제를 돌렸네요.

민간 병원의 이윤 추구 맞습니다.
히포크라테스 선서(제네바 선언)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의사 집단이 인간 사회에 예외적으로 도덕적 인간 집단으로, 선언의 정신에 자신의 목숨과 가족의 생계를 건다고 생각지는 않으시겠죠.

이것이 이윤 추구의 시스템 탓으로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의사 개인의 도덕성으로 돌려야 할까요? (좌파라고 분류되는 사람들도 유독 의료에 관해서만은 시스템보다는 개인의 도덕성을 중요시하더라고요.)

마립간 2015-06-16 07:46   좋아요 0 | URL
시스템보다 개인의 도덕서에 의지하려는 것에 `여성주의`도 있겠군요. 문제의 해결보다 남성(주의)의 도덕성을 비난하는 것으로 감정의 소비에 더 치중했다고 저는 판단하지만.

여성주의 타령은 그만하고 이번 메르스와 관련하여
<링크>와 <과학콘서트>의 `케빈 베이컨 게임: 여섯 다리만 건너면 세상 사람들은 모두 아는 사이다`, 그리고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1부 구글 신은 뭐든지 알고 있다 복잡계 네트워크와 데이터 과학`
인문학으로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읽지 않으셨다면 한번 읽어보시죠.

곰곰생각하는발 2015-06-16 08:17   좋아요 0 | URL
참고로 저는 의료계 구조를 거의 모르는 관계로 질문에 대한 제 생각은 유보하도록 하겠습니다.




링크는 제가 굉장히 좋아하는 책입니다. 매우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복잡계`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습니다.
일단 케빈베이커 게임을 보면 한마디로 한 다리 건너 아는 사람`이라는 거 아닙니까.


+

여성주의는 개인보다는 구조적 문제에 집중된다고 생각됩니다. 남자들이 문제야, 라는 소리는
그냥 뒤따마 담화일 뿐, 페미니즘이 지향하는 것은 구조적 문제에 대한 지적과 시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마립간 2015-06-16 10:22   좋아요 0 | URL
곰곰발 님의 `여성주의`에 대한 인식, 저에게 세뇌 당하신 것 아닙니까.

곰곰생각하는발 2015-06-16 10:52   좋아요 0 | URL
ㅎㅎㅎㅎㅎㅎ 그런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