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여, 네 멋대로 해라 !

 

 

 

 

내가 처음 본 고다르 영화는 << 네 멋대로 해라 >> 였다. 시네필에게 << 네 멋대로 해라 >> 는 << 시민 케인 >> 과 함께 만신전(판테온)에 오른 작품이었다. " 신라면 " 을 먹은 적 없는 이가 오뚜기 " 진라면 " 을 논하면 안 되듯이, 시네필이라면 반드시 고다르 영화'를 거쳐야 했다. << 시민 케인 >> 이 기술적 진화'였다면, << 네 멋대로 해라 >> 는 혁명적 진보'였다. 그는 총 대신 카메라'를 들었다. 이 영화 원제는 << A Bout De Souffle >> 인데 직역하면 " 숨가쁨 " 이다. 그래서 헐리우드 리메이크 작품 제목이 << breathless / 숨 가빠 >> 였다. 원작에서 정치색만 쏙 뺀 이 영화는 그저 그렇고 그런 시시한 섹스 영화'가 되었다. 기억나는 건 오로지 리처드 기어의 가빠(갑바)가 전부였다.

 

위대한 원작을 생각하면 민망하여라 ~  ( 노파심에서 하는 말이지만 < 숨가 ~ > 를 < 슴가 > 로 착각하지는 맙시다 ) 원제목과는 동떨어진 제목'이지만 이 영화는 한글 번역 제목이 더 근사한 경우다.  영화 << 죠스 >> 를 << 아가리 >> 로 번역한 경우를 생각한다면 " 네 멋대로 해라 " 는 신의 한수'에 가까웠다. 어제 김명수 청문회'를 보다가 문득 고다르 영화 << 네 멋대로 해라 >> 가 떠올랐다. 청문회 내내 " 정신줄 " 놓은 김명수 후보는 타는 가슴으로 청문회 위원장을 향해 이렇게 말했다. " 30초만 쉼쉴 시간을 주시겠습니까 ? " 그렇다, 그는 뭍에 오른 붕어'였다. 대한민국 甲의 생얼 앞에서 갑갑한 사람 많았으리라, 또한 횡설수설에 동문서답이니 답답한 사람 많았으리라 ! 그는 말귀 자체를 알아듣지 못하는 후보였다. 정점은 " 5.16은 쿠데타냐 ? "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 5.16은 < 쿠데타 > 는 아니지만 < 정변 > 이라고는 생각합니다아 ~ " 그는 < 쿠데타 > 와 < 정변 > 이 같은 뜻이란 사실을 몰랐다. < 정변 > 이라는 뜻이 " 혁명이나 쿠데타 따위의 비합법적인 수단으로 생긴 정치상의 큰 변동 (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인용 ) " 이라는 사실조차 모르고 답변한 것이다. 일반인이 " 정변 " 이라는 단어를 모를 수는 있다. 하지만 김명수는 교육부 장관 후보'다. 요즘 박근혜 정부 청문회에서 후보자에게 5.16에 대한 견해를 묻는 것은 상식인데 그는 뻔한 예상 질문에 대한 준비마저 제대로 하지 못했다. 선거의 여왕'이라며 잔뜩 기대했던 박근혜는 알고 보니 우왕좌王'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교육부 장관 후보마저 동문서답에 횡설수설에 우왕좌왕하니 초록은 동색이라는 말이 마음 깊이 와 닿는다.

 

우왕좌왕하는 삼천포 출신 신하가 우왕좌王을 모시니 앞으로 돌아갈 꼴이 우왕, 대박 !  문창극이 1인 창극'으로 끝났다면 김명수는 << 네 멋대로 해라 >> 라는 제목의 1인 촌극'으로 끝날 것이다. 박근혜 수첩은 알고 보니 데쓰 노트'였다. 윤창중으로 시작한 줄줄이 알사탕 낙마 앞에서 우왕좌王은 가슴을 치며 외칠 것이다. " 미안하돠아 !!!!! " 한국 축구와 김명수의 공통점은 폐'가 허약하다는 점이다. 현대 축구는 본질적으로 폐-싸움'에서 결정난다. < 폐 > 가 튼튼한 조직이 이긴다. 차두리는 간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한국 축구가 이번 브라질 월드컵에서 몰락한 이유는 허파(폐) 때문이었다. 한국 축구는 실력도 없고 정신력도 부족했으며 체력도 부족했다. 헉헉대기 일쑤였다.

 

같은 이유로 김명수 후보 또한 세 가지'가 없었다. 실력도 없고 양심도 없으며 체력도 부족했다. 헉헉대기 일쑤였다. 여기에 청력'마저 추가되면 4가지가 없는 후보가 된다. 의리보다 중요한 것은 윤리'이고, 딴청보다 중요한 것은 경청이다. 그가 청문회에서 했던 말이 자꾸 맴돈다.  " 30초만 쉼쉴 시간을 주시겠습니까 ? "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oqur 2014-07-10 18: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호흡! 오늘 곰곰발님의 언어유희는 정말이지 숨이 가쁘군요! :)

곰곰생각하는발 2014-07-15 18:34   좋아요 0 | URL
V고맙습니다. 전 그저 얕은 말장난일 뿐, 새벽 님의 깊은 사유와 정직한 글에 비하면 새 발의 피입니다. 세발의 피인가요? 새 발인가, 세발인가, 새발인가??!!! 새 발'이군요....

toqur 2014-07-11 06:24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이리 겸손에 과찬으로 답글하심 앞으로 덧글 못답니다. 여튼 갑자기 세발낙지가 먹고 싶군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7-11 14:25   좋아요 0 | URL
세발낙지에서 세발은 다리가 가늘다는 말인가요. 아니면 다리가 세 개라는말인가요 ? 궁금하네.. 찾아봐야지... 오호, 지식인에 찾아보니 다음과 같은 답변이 있네요. 세발낙지에서 세가 가늘 세'면 왜 족이라는 한자 대신 발이라는 한글을 썼을까 의문이었는데 다음과 같은 답변이 있습니다.

고유어와 한자어가 결합된 말이 많이 있습니다.
가는 모시를 '세저(細苧)'라고도 하고 '세모시'라고도 합니다.
세발도 이처럼 한자와 고유어를 뒤섞은 형태입니다.
'가는'이라는 말은 '가늘다'보다는 '가다'와 관계 있는 말처럼 들리기도 하고, 두 음절이나 되기 때문에 발음의 경제성을 살리기 위해 '가는' 대신에 '세(細)'를 택해서 쓰게 되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말에 '가는 발'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어는 없습니다.
특정 지역에서만 나는 '가는 발 낙지'를 위해 굳이 한자어를 만들 필요성도 없었을 것이어서 '細足'이라는 말을 만들어 쓰지 않았을 것입니다.

toqur 2014-07-11 23:43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아니 이 학구열이라뇨!
그죠. 그런 말 꽤 되는 듯. 족판이 아니라 발판, 월력이 아니라 달력... 등등 :)

2014-07-10 18: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15 18: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푸르푸르 2014-07-10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 안된다면 가게주소를 주세요 찾아갈테니

곰곰생각하는발 2014-07-11 00:45   좋아요 0 | URL
누추한 생선가게'입니다. 부끄러워요..

2014-07-11 10: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11 14: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11 11: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7-11 14: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푸르푸르 2014-07-11 1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왕시장에 점심때 들를테니 그럼 연경이네에서 순대에 소주 한잔 할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7-11 14:18   좋아요 0 | URL
연경이네 ?! 그런 가게는 없어요......

엄동 2014-07-11 1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곰발님 예전에 하셨던 말씀 있잖습니까 ㅋㅋ

소통을 원했는데
돌아오는건 불통뿐이라 원통했노라고 ㅋ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4-07-11 14:20   좋아요 0 | URL
통통 튀는 라임이군요. 소통을 원했는데 불통뿐이어서 원통했다라....고통스러운 문장이군요....
전 새누리당이 지기를 바라지만 그렇다고 새민련이 이기는 걸 원하지도 않습니다.
이 예길 왜 여기서 갑자기 하지? ㅎㅎㅎㅎ 하여튼 그렇습니다. 김한길 안철수 하는 걸 보면 최악임..

수다맨 2014-07-11 14: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 저 교육부 장관 후보자란 인간도 국회의원 앞에서 저렇게 발발 기면서도, 막상 자기 구역에선 왕초처럼 굴었다는 거 생각하니 기가 막힙니다. 차라리 저 인간이 고하를 가리지 않고 저기서도 기 세게 나왔다면, 그래도 나름의 일관성은 있었을 겁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7-11 15:12   좋아요 0 | URL
사자가 없으면 하이에나가 왕초죠. 명수 제자들 얼마나답답했을까요. 아마 명수 제자들도 같은 지위에 오르면 스승과 차별화하기는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게 한국 사회'가 아닐까 하는.... 쫄따구일 때는 고참되면 욕하지 말아야지 하다가 막상 고참 되면 나 이등병 때는 이 색휘야... 이런 상황극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