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주의 감정수업 - 스피노자와 함께 배우는 인간의 48가지 얼굴
강신주 지음 / 민음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튼소리

 

 

 

 

 

1. 집 앞에 고깃집'이 있었다. 손님은 없고 파리만 날아다녔다. 가게는 꽤 큰 규모였는데 손님이 없다 보니, 지나치는 나 또한 그 가게'를 보면 한숨만 나왔다. 장사했다 하면 90%는 망한다는 자영업자의 비애'가 저런 것이구나 했다. 어느 날, 친구가 연락이 안 된다면 내가 사는 집까지 차를 끌고 왔길래 소주 한 잔 하려고 동네 거리를 걷다가 그 가게 앞에서 이상한 풍경을 목격했다. 파리만 날리던 가게는 웬일인지 앉을 자리가 없었다. 북적거리면 눈길이 가기 마련. 자세히 보니 오늘 하루만 모든 가격이 절반'이었다. 소주 또한 천 원이었다. 속으로 이런 것이 말로만 듣던 " 사장님이 미쳤어요 - 세일 " 이거나 " 눈물의 쫑파티 " 인 것 같았다. 그런데 뭔가 어수선하다 ! 어디선가 카메라'가 등장한다. 아, 방송을 타는 날이었던 것이다. 장사가 안 되서 파리만 날리던 가게'에 방송국이 쳐들어오니 기분이 찜찜했다.

하지만 이른 시간이었으므로 마땅히 술 마실 곳도 없었던 터'라 자리를 잡고 술을 마셨다. 인터뷰 요청을 하면 뭐라 해야 하지 ? 아, 아아. 아아아... 양념 소스'가 독특합니다 ( 독특하기는 개뿔 ), 가격도 저렴하고요 ( 저렴하기는 개뿔 ) 고기가 신선해요 ( 신선하기는 개뿔 ) 내 근심과는 달리 카메라와 방송국 스탭들은 우리 테이블 근처에는 얼씬도 안했다. 카메라는 내가 앉은 테이블 맞은편에 있는 단체석 두 테이블에 집중했다. 그런데 이상한 풍경을 목격했다. 연출을 담당한 피디'는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손님'에게 몇 번이나 똑같은 행위를 반복하게 했다. 귀를 쫑긋 세워서 들어보니 마산에서 왔다느니, 고기가 아이스크림처럼 녹는다느니, 맛이 끝내준다는 소리만 계속 기계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아닌가 ?

고기가 질겨서 고기를 껌처럼 씹고 있던 나는 이 방송이 짜고 치는 고스톱'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도 저런 식으로 홍보를 해서 장사가 된다면 굳이 내가 초를 칠 필요는 없겠다 싶었다. 촬영은 2시간 넘게 진행된 것 같았다. 촬영이 종료되자 사장은 일일이 테이블을 돌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 알고 보니 바글바글했던 손님들은 모두 사장의 친척이거나 친구들, 혹은 사장 아들이 데리고 온 단체 손님들이었다. 마산에서 왔다는 넉살 좋아보이는 청년은 바로 사장 아들의 친구였다. 이거, 참... 난처했다. 남의 집 잔치에 눈치도 없이 자리를 차지했다는 느낌 ?! 그리고 얼마 후에 < 트루맛 쇼 > 라는 다큐가 극장에 걸렸다. 맛집을 소개하는 방송은 모두 그런 시스템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대대적인 쇼'에도 불구하고 그 고깃집은 1년을 버티지 못했다.

 

2, 여전히 맛집 프로그램은 이 시스템을 고수한다. 푸드 스타일리스트는 듣도 보도 못한 메뉴 하나 선보인다. ( 언제부터인가 한국인은 음식 대신 푸드'를 선호하게 되었다. 같은 요리라고 해도 푸드'라고 해야 직성이 풀린다. ) 푸드에 방점을 찍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며 퓨전'에 방점을 찍어야 할지, 헷갈리게 만드는 음식도 있다. 막걸리에 꿀을 타서 만든 " 꿀값하는 막걸리 " 나 양꼬치와 갓김치를 곁들여서 " 노는 양이 갓잖은 꼬치 " 라고 짓는다. 제목이 재미있으니 광고 효과를 노린 것이다. 최강 보양식을 강조하기 위해서 육해공'을 동원하는 경우도 있다. 이름도 기가 막히다. 예를 들면 " 날지( 낙지) 못하는 닭의 한이 서린 전복 삼계탕 " 이라는 식으로 작명하는 경우다. 설명은 주인이 아니라 항상 손님이 입에 게거품 물고 말한다. " 닭은 하늘이요, 삼은 땅이 품은 보석이니, 바다를 대표하는 전복에 낙지가 더하니 임금께 진상하던 불도장과 비교할 바가 아니오. 육해공을 대표하는 보양식이 한자리에 모였으니 오늘밤은 아내와 함께 운우지정을 나누며 방사할 참이요. " 이에 일당 십오만 원을 받고 출연한 아내는 부끄러운 듯 손으로 입을 가리고는 호호 웃는다. 그리고 날지 못하는 닭이 품은 전복 삼계탕을 먹으러 마산에서 왔다는 소리 또한 빠지지 않는다. 침이, 고인다. " 진생 치킨 스프 "  그렇게 상품으로 팔린다. 그것은 일종의 광고효과를 위한 미끼 상품이다.

 

3. 강신주의 < 감정수업 > 은 마치 " 날지 못하는 닭의 한이 서린 전복 삼계탕 " 같다. 육, 해, 공을 섞으니 맛은 오묘하다. 구미에 당길 만한 요소는 모두 있다. 스피노자가 베이스로 깔리니 스피노자는 닭(空)이다. 세계 문학은 전복(海)이고, 그림 감상은 인삼(陸)이다. 여기에 철학자의 어드바이스'가 있으니 낙지 추가'는 덤'이다. 이렇게 섞으면 오묘한 맛이 날까 ? 순댓국에 파스타를 넣으면 맛이 날까 ? 내가 보기엔 1타 4피 같'다. 책은 1권이지만 보는 관점에 따라서 스피노자 입문서, 세계 문학 서평집, 그림책, 힐링 서적'으로 볼 수도 있다. 마치 유니클로 전천후 다용도 아우터 같다. " 팔을 떼면 조끼가 되고요, 비가 오면 방수 처리된 모자가 달렸으니 우비가 되고요, 봄에는 내피를 벗기면 봄옷이 된답니다. 그리고 때가 탔다 싶으면 뒤집어 입으세요. 옷 한 벌로 두 벌 기분을 내십시요. 호호호호호. 비비드한 컬러와 아방가르드한 라인이 라이브하게 살아 있는, 이 놀라운 기능을 갖춘 제품이... 여러분 절대 놀라지 마세요. 19990원 !!!! "

강신주는 항상 자본주의가 상품을 소비하는 야만적인 방식'을 지적했지만, 이 책이야말로 출판 자본이 얼마나 매끈하게, 이음새 없이, 강신주라는 브랜드를 가지고 상품으로 뽑아낼 수 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강신주가 소개한 48권의 고전 목록은 마치 민음사 세계 문학 전집 목록을 보는 듯하다. 그리고 민음사가 왜 이 책을 기획했는지 엿볼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20권 넘게 책을 냈지만 민음사와는 처음으로 작업한 책이 왜 하필이면 (국내 소설이 배제된) 48편의 세계 문학 소개일까 ? 강신주 입장에서는 좋은 문학을 소개하고픈 신파 역할을 하고 싶었겠지만 민음사 입장에서 보자면 이 책은 독자의 구매욕을 부추겨서 자사의 세계문학전집 상품을 구매하도록 만드는 구실을 하는 책이기도 하다. 윈-윈 전략인가 ?  민음사는 강신주가 소개한 고전과 이에 해당하는 자사 세계문학을 세트로 묶어서 할인 판매를 할 것이 분명하다. 감정수업'과 함께 이 책에 소개된 자사 세계문학전집'을 구매할 경우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형식으로 말이다.

벌써부터 누군가는 < 감정수업 > 에 수록된 책 목록을 보관함에 담아두었을 것이다. 소비자의 지갑을 열게 만드는 이 상술은 얼마나 지적인가 ! 인간을 상품화하는 자본주의를 비판하던 그는, 자기 스스로가 대형 출판 자본의 상품이 되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무비판적이다. 마당 쓸고 동전 줍고, 도랑 치고 가재 잡자는 기획력으로 보자면 이 책은 훌륭하다. 하지만 깊이'는 없다. 강신주는 누누이 교과서 같은 책은 독이라고 했는데, 내가 보기엔 이 책이야말로 교과서 같다. 아니, 친절하게 어드바이스'까지 해주는 것을 보면 참고서 같다. 역설적이지만 그는 책'이 아니라 이것 저것 섞인 교과서'를 내놓은 것이다. 음식을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은 날을 나누어서 하루는 삼계탕을 파는 가게에서 삼계탕을 먹고, 하루는 전복집에서 전복을 먹고, 마지막 날은 낙지집에서 낙지를 먹는 것이다.  국밥은 따로 국밥이 진리'다.

 

 

 

+

벙개 함 칩시다. 내일 시간 되시면 모입시다. 수다맨 님 시간되시면 비밀덧글 부탁드립니다. 엄동 님 보실려나 ?! 행인 님도 참석 가능하면 덧글 부탁드리고, 아, 야무 님 있었지 ? ㅎㅎ. 시간 되시면 조촐하게 한 잔 합시다. 다른 분도 시간 되시면 한 잔 합시다...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르미에르 2014-01-23 06: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아 맞다 여기 빔일글이 안되구나 -_-;
안부게시판 확인하세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1-23 06:40   좋아요 1 | URL
대박이라고만 말씀드리겠습니다 !!!!!!!!!!!!!!!!!!!!!!!!!!!!!!!!!!!!!!!!!!!!!!!!!!!!!!!!!!!!!!!!!!!!!!!!!!!!!!!!!!!!!!!!!!!!!!!!!!!!!!!!!!!!!!!!!!!!!!!!!
미친 영광이군요. 심장이 뜁니다....

마립간 2014-01-23 08: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신주씨의 '감정수업'은 나중에 심심풀이 땅콩으로 읽겠습니다. 게다가 감정수업에 언급된 문학 작품들을 친절하게 곰곰발님이 제시해 주셨으니. (맞나요?^^)

음식 맛에 관한 것인데요. 맛은 제가 주관, 객관 사이의 간주간間主觀의 예로 가장 흔하게 드는 것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1-23 10:19   좋아요 0 | URL
간주간은 뭡니까 ? 마립간 님이 < 감정수업 > 읽으시면 아마 좀 짜증나실 겁니다. 그냥 겉핥기 식이거든요. 깊이 있게 들어가지 않습니다. 중학교 1학연 문학 교과서 참고사 같다는 느낌 정도 말이지요.. 흠흠...

마립간 2014-01-23 10:54   좋아요 0 | URL
간주간間主觀 ; 한마디로 표현하면 주관과 객관의 중간입니다. 엄밀성을 적용하면 세상 모든 것이 간주간적이지만, 통상적으로 주관, 객관으로 분류되지 않는 중간의 것들을 말합니다. 저는 처음 김용옥 선생님의 강의에서 들었는데, 요즘에는 여러 책에서 사용된 것을 보았습니다.

어떤 음식을 A는 맛이 있다고 하고 B는 맛이 없다고 합니다. 누구의 말이 맞을까요? 맞고 틀리고 할 것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입맛은 각자의 취향이니까요. 이 판단은 주관적 판단 분야에 속합니다.

그러나 어떤 음식점C의 음식은 손님 90%가 맛있다고 하고 10%가 맛없다고 하는 반면, 다른 음식점은 90%가 맛이 없다고 하고 10%는 맛이 있다고 합니다. 이때 D의 음식점 주인이 우리집 음식은 맛이 있는데, 음식을 먹는 사람의 주관때문에 잘못 판단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아니죠. 보통의 판단은 D보다 C 음식점이 맛있다는 판단을 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객관적 판단 분야에 속하게 됩니다.

같은 음식 맛에서 주관이라고 객관이라고 하게 되는데 ; 음식 맛을 우리 나라 지역간, 국가간 비교하면 어찌보면 주관적이기도 하고, 객관적이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의 판단을 간주간적이라고 합니다. 어느 정도는 어느 음악이 좋으냐, 어느 소설이 좋으냐, 어느 책이 좋으냐도.

저는 모든 것이 주관-간주관-객관의 연속 스펙트럼을 갖는다고 생각하는데. 통상적으로 판단 분야에 따라 대강의 세분야로 나눌 수있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마립간 2014-01-23 11:11   좋아요 0 | URL
음식은 간주관적, 즉 주관적 부분도 상당하기에 평범한 음식( 맛)이 미디어의 홍보에 의해 맛있는 것으로 선입견이 형성되면 맛이 있는 것으로 되는 것이죠. 만화 영화 '쿵푸 팬더'에서도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1-23 13:38   좋아요 1 | URL
오홋, 그런 것을 간주간'이라고 하는군요. 보편과 특수로 이해해도 되겠네요.
맛있다가 90%가 되면 맛 없다라고 말한 10% 는 무시하는 것은 일종의 보편적 기준에 의한 것이겠고
10%만 맛있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저질 입맛을 탓하며 이런 음식이야말로 맛있는
것이다, 라고 주장하는 것은 특수성이라고.....

대한민국은 소수 의견을 무시하면서도
( 특권 계급의 ) 소수 의견이 절대적 권력 행사로 이어지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말도 일리가 있고 저 말도 일리가 있다는 식은 안 통하죠.
그냥 내 편이냐 아니냐 ? 아니면 종북이고, 친하면 애국이고...
식당 주인 종북 세력 운운했던 변희재에게는 간주간적 부분이 아예 없는 것 같습니다.


그건 그렇고 ! 하여튼 마립간 님에게는 아마도 < 에티카 > 가 무지 잘 어울리십니다.
엄청나게 대환호를 하실 것 같아요. 마립간님 성향하고 거의 궁합이 맞습니다.

행인 2014-01-23 10: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요? (화들짝)

요즘 안 좋은 데가 있어 한약질하고 있습니다 ㅎㅎ 담에 날 풀리면 기회 되면요.

근데 작가님 잘 생기셔서 저는 저 얼굴앞에는 도저히 별 한 개는 못날린 다는..
적어도 세개는 줘야,,,,아니 별 네개? ㅋㅋㅋ

뻘소리 죄송요. 총총.

곰곰생각하는발 2014-01-23 10:40   좋아요 0 | URL
그럼.. 뭐 다음에 한 잔... 빈정상할라고 하고 있씁니다.
강신주가 잘생겼다는 말에는 동의할 수 없군요.. 호호...

2014-01-23 12: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23 13: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24 0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24 00: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1-24 00:47   좋아요 0 | URL
왜 종종 홈쇼핑에서 파격적인 가격으로 나온 옷들있잖습니까.
대부분은 이 홈쇼핑 가격대를 맞추기 위해서 홈쇼핑용 옷을 출시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니깐 시중에는 없는, 상품은 그 횸쇼핑 가격대에 맞추기 위한 특별 상품인거죠.
강신주의 < 감정수업 > 이 딱 그꼴입니다. 민음사의 기획상품이라는 거죠.
강신주는 그 기획상품에 밥숟가락하나 얹는 꼴이고요...
말 그대로 이 책은 독서일기'죠. 그것 외에는 아무런 가치도 없습니다.
안타까운 사실은 독자들이 저자의 권위에 눌려서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 자체를 잘 하지 못한다는 데 있습니다.

2014-01-24 00: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24 00: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1-24 01:09   좋아요 1 | URL
그럼 종로 3가, 낙원동 사이에 < 참골뱅이와 노가리 > 라는 집이 있어요. 2층에 말이죠. 5호선 5번 출구쪽ㅇ로 나오시면... 네이버에 종로 3가 < 참골뱅이와 노가리 > 치면 약도 자세히 나옵니다. 6시 어떻습니까 ? 골뱅이는 먹을 거 없는데 노가리가 맛이 좋습니다. 치킨에 노가리 어떻스니까 ?

2014-01-24 01: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24 01: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24 14:5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