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과 적멸
첫눈은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고라니와 같은 야행성 초식동물'이다. 겁이 많다, 내성적이다, 말이 없다. 기상청에서는 첫눈이 내렸다고 공식적으로 기록하지만 그날 첫눈을 본 사람'은 거의 없다. 말 그대로 小雪'이다. 첫눈은 착한 사람에게는 보이지만 나쁜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 벌거벗은 임금님이 입은 투명 망토'다. 지금 저 사진 속에는 첫눈이 내리고 있다. 바람의 영향 때문에 눈이 휘어져 내린다. 많은 양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적은 양'도 아니다. 땅에 닿자마자 녹는다. 진눈깨비 같다. 소리없이 내리지만 풍요롭다. 이 사진의 제목을 지으라고 한다면 < 첫눈 > 이라고 하겠다. 지금까지 내가 말한 첫눈 이야기를 농담으로 받아들였다면 그건 당신의 오해'다. 난, 지금 사실 그대로를 말하고 있다. 나에게는 보이는데 당신에게는 보이지 않는 것이다. 눈이 내린다. 소리없이 내리지만 풍요롭다.
- 11월엔 첫눈이 내린다, 中
니체는 24살에 고전문헌학 교수'가 되었고 보르헤스'는 도서관 사서'였다. 들리는 말에 의하면 보르헤스는 캄캄하며 축축한 지하 서고'에서 冊만 읽었다고 한다. 보르헤스가 보기에는 캄캄하고 축축한 지하 서고는 마치 검고 촉촉한 동굴의 비유였다. 보르헤스에게는 이곳은 쾌락의 원천이었다. 사람들은 엘리트 집안 출신인 보르헤스'가 쥐꼬리 만한 월급을 받는 도서관 사서'를 하고 있다고 조롱했지만 그는 그저 책을 마음대로 읽을 수 있다는 사실에 만족했을 뿐이다. 사실 가장 위대한 작가는 섹스피어가 아니라 보르헤스'다. 섹스피어가 그냥 신라면이라면 보르헤스는 신라면 블랙'이요, 섹스피어가 스필버그라면 보르헤스는 오손웰즈'였다. 전자가 < 딴따라 > 라면 후자는 < 난 달라 ! > 였다. 21세기 현대 문학은 모두 보르헤스의 영향 아래 놓여 있다고 해도 그리 큰 허풍은 아닐 것이다. 이처럼 니체와 보르헤스의 공통점은 문헌학에 정통했다는 점이다. 그들은 그 속에서 진리'를 찾았다. 서고/書庫는 곧 보고/寶庫'다. 書는 寶다.
■ 보르헤스는 픽션과 팩트'를 혼용했다.어디까지가 진짜이고 가짜인지가 불분명했다. 실존인물을 인용할 때에도 소설 속 프로필은 가짜였고, 실존 인물이라고 우길 때에도 그 인물은 가짜였다. 그뿐이 아니었다. 그가 인용한 인용문은 허구이거나 가필'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니깐 뒤죽박죽의 세계가 바로 보르헤스의 세계'였다. 에코의 < 장미의이름' > 은 섹스피어 없이도 탄생할 수 있는 걸작이지만, 보르헤스 없이는 탄생할 수 없는 작품이었다.
< 불멸 > 이라는 단어가 있다. 쉽게 풀어쓰면 " 꺼지지 않는 등불 " 이라고나 할까 ? 불멸은 < 하하의 죽지 않아! 와 하정우의 살아 있네! > 를 관통하는 단어'다. 불멸이란 결국 벽에 똥칠 할 때까지 살아서 권력을 향유하고 싶은 욕망'이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박정희'다. 그가 꿈 꾼 것은 영원한 권력'이 아니었던가. 불멸은 본질적으로 불안한 욕망이다. 실리콘으로 부풀린 탱탱한 젖가슴만 남은 늙은 여자의 쭈글쭈글한 몸도 불멸이 낳은 현상이고, 보톡스로 늙어가는 것을 지우려고 하는 얼굴 또한 불멸이 되고자 하는 욕망의 결과이다. 그뿐이 아니다. 이건희가 권력을 자식들에게 세습하려고 하는 욕망도 불멸이 낳은 것이다. 하지만 이 욕망은 추악하다. 기형도의 말을 빌리면 부러지지 않고 죽어 있는 날렵한 가지는 추악하다.
이 불멸의 반대말이 < 적멸 > 이다. 적멸은 불교 용어'로 깨끗하게 사라져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불멸이 生의 과잉이라며 적멸은 死의 과잉이다. 왜냐하면 적멸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깐 재'조차도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하지만, 적멸的 인간은 이름조차 남기지 않으려는 욕망을 가진 자'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無는 바로 적멸'이다. 육체를 버리고 정신을 얻고자 하는 속셈이다. 나는 이 적멸'이라는 단어'가 좋다. 적멸은 6월의 낮에 바짝 마른 빨래처럼, 건조한 무명 옷 같다.
책이란 불멸과 적멸이 묘하게 섞인 영역이다. 어떤 책은 < 雨 >와 같고, 어떤 책은 < 雪 > 과 같다. 불멸과 적멸도 그렇다. 불멸은 7월에 내리는 빗소리와 같고, 적멸은 11월에 내리는 눈 오는 풍경'이다. 비는 소리와 함께 오지만, 눈은 침묵으로 온다. 불멸은 生의 아우성이고 적멸은 死의 침묵이다. 한겨울, 아주 조용해지는 순간이 있다. 그때 우리는 문득 창문을 열어 본다. 눈이 온다. 비가 오면 밖은 시끄럽지만 눈이 오면 밖은 고요해진다.
니체의 고전'을 읽을 때마다 습관적으로 자주 창밖을 본다. 니체는 세상의 모든 것을 고요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그의 글은 조증에 걸린 울증 환자처럼 수다스럽고 발랄하지만 묘하게 심장을 조용히 후벼판다. 여름에는 빗소리처럼 시끄러운 책이 마음에 드나 겨울이 오면 이상하게 눈처럼 조용한 책이 마음에 든다. 그래서 그랬을까 ? 난 니체'를 늘 시린 겨울에 읽었다. 그럴 때마다 니체의 적멸을 생각하고 소리 없이 내리는 눈의 성정을 읽는다. 그는 왜 미쳤을까 ? 왜 늙은 말의 목을 붙잡고 연민 때문에 미쳐서 쓸쓸히 죽어갔을까 ? 토리노의 겨울은 눈이 많이 온다고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