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곤 목에 방울 달기
김봉곤의 이름을 기억하기란 쉬웠다. 코미디언 김형곤과 이름이 비슷할 뿐 아니라 외모도 비슷했으니 말이다. 그의 단편소설 << 그런 생활 >> 을 도서관에서 읽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 소설을 문학동네 출판사 판, 창작과비평 출판사 판, 문학과지성사 출판사 판 가운데 어느 책을 읽었는지는 기억에 남아 있지는 않다. 하여튼...... 읽었다 !
도서관에서 고른 수많은 책에서 이 단편을 선택한 이유는 읽기 쉬운 문장으로 구성된 소설이었기 때문이었다. 도서관이라는 곳이 시간적 제한이 걸린 곳이기도 하거니와 개인적으로 밑줄을 그으며 책을 읽지 않으면 똥을 싸고 나서 밑을 안 닦고 나온 느낌이 들어서 도서관에서 책을 읽을 때에는 주로 단편 위주로 휘뚜루마뚜루 읽게 된다. 이 작품을 처음 읽고 나서 들었던 생각은 " 날것 " 이었다. 좋게 말하면 재료 본연의 맛이었고 나쁘게 말하자면 사자가 사슴의 목덜미를 뜯어낼 때 나는 맛이었다. 접시 위에 핏물이 줄줄 흐르는 살덩이 앞에서 나는 당황스러웠다. 이것은 재료인가 요리인가 !
문학이란 " 날것을 익힌 것으로 요리하는 과정 " 이라고 믿는 내게 이 작품은 짧게 쓸 시간이 없어서 길게 쓴1), 퇴고 없이 내놓은 초고처럼 보였다. 러프 컷( : 촬영을 막 끝내고 아직 편집하지 않은 필름)을 본 느낌이라고나 할까 ? 명색이 문학동네 편집자인 김봉곤이 편집 과정 없이 내놓은 러프 컷을 보면서 나는 터프하게 욕지기를 내뱉었다. 러프 컷을 파이널 컷으로 인정하여 그것을 그대로 극장에 거는 감독은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초고를 퇴고 없이 내놓은 용기는 만용'처럼 보였다. 이 작품이 젊은작가상을 수상했다는 것은 말 그대로 수상하다.
뭐, 김봉곤이 문학동네 편집자'라는 사실을 콕 짚어서 음모론을 제기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주류 문학으로 밥 먹고 사는 사람 중에 문학동네에 뺨따귀 날릴 사람 누가 있을까(더군다나 < 그런 생활 > 은 문학동네, 문학과지성, 창작과비평이라는 메이저 3대 출판사와 밀접한 관련이 된 작품이다)? 호기롭게 뺨따귀 날렸다가는 개뼉따귀로 몽둥이 찜질 당하기 좋으니 아가리 닥치고 있는 중이다. 김봉곤 논란에서 피해자의 손을 들어준 작가는 김초엽이 유일하다(장류진도 합류한 모양이다).
작년에 소설가 윤이형이 이상문학상의 불공정 관행(수상작 저작권을 3년간 양도하고 작가 개인 단편집에 실을 때도 표제작으로 내세울 수 없다'는 주최 측 문학사상사 요구)에 항의하며 절필 선언을 했을 때 많은 동료 작가들이 뜨거운 동료애를 보인 것과는 사뭇 다르다. 거칠게 말하자면 문인들은 남의 밥그릇(c누나는 결국 퇴사를 결정했다는 후문)에는 관심이 없지만 나의 밥그릇(수상작 저작권 양도 문제)에는 졸라 예민한 것이다. 하긴 권희철과 신형철이라는 쌍철 보유국인 문학동네를 건드리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백 번 양보해서 이 작품이 훌륭하다고 치자. 그렇다고 해도 문제는 달라지지 않는다. 띵언 제조기,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이런 말씀을 남기셨다. " 좋은 음식이란 먹어서 좋은 것에 앞서 생각만 해도 좋은 것이어야 한다. " 김봉곤의 < 그런 생활 > 은 생각만 해도 좋은 음식이 아닐 뿐더러 먹기 좋은 음식도 아니다.
1) 파스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