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그야,  오함마 갖그 와라잉 :












김봉곤의 그렇고 그런 생활












                                                                                          김봉곤의 << 그런 생활 >> 을 " 그렇고 그런 생활 소설 " 정도로 읽어서 내가 이 소설에 대해 내놓을 촌평도 " 그저 그렇고 그런 단편소설 " 의 범위를 넘지 못한다. 파스칼은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짧게 쓸 시간이 없어서 길게 쓴다고 말했는데 젊은작가상 수상 작가이자 한국 문단의 떠오르는 샛별에게 충고하고 싶은 말이기도 하다.  문학은 날것을 요리해서 익힌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라고 믿는 내게 이 작품은 " 솔직하다 " 는 감상보다는 쓸데없는 군더더기가 많아서 " 번잡하다 " 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내가 기록한 20자평은 아하, 그저 그렇고 그랬던 그 소설 !   


한국의 현대 소설, 정확히 기술하자면 한국의 순문학에 대해 관심이 없는 이유는 " 그들만의 리그 " 라는 반감이 크게 작용한 탓이다.  언제부터인가 한국 소설은 < 잰더 트러블 > 은 집요하게 파고드는데 < 계급 트러블 > 은 실종되었다. 깊게 파기 위해서는 넓게 파야 한다는 삽질의 정석은 온데간데없고 잰더와 계급은 서로 따로 놀고 있다. 나는 현대 한국 문학이 깊게 파는 것인지 아니면 넓게 파는 것인지 헷갈릴 때가 있다. 분명한 것은 넓게 파기 위해서 깊게 파고들지는 못한다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김봉곤의 << 그런 생활 >> 논란에서 중요한 것은 C누나와 김봉곤의 잰더 갈등(문제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는 특정 계급의 플랫폼 독점에 있다. 김봉곤은 현재 문학동네 출판사 편집자'다. 그러니까 편집자이자 작가인 셈이다. 문제는 김봉곤이 수상한 젊은작가상이 출판사 문학동네에서 재정한 문학상이라는 데 있다.  문학동네는 문학동네에서 편집 노동자로 일하는 직원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젊은 작가로 선정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교내 백일장 대회로 전락한 것이다.  팔은 안으로 굽고 가재는 게 편이라지만 이런 경우는 노골적인 이해 충돌 방지 위반'이요,  짜고 치는 고스톱이 아닐까 ? 


한국 문단은 뻔뻔하게도 이 점을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한국 민화의 윤리적 강박성과 정치적 투쟁성을 적용하면 독자를 빙다리 핫바지로 보는 태도'다. 한국 민화 협회장 아귀의 명대사를 빌리자면 " 내가 빙다리 핫바지로 보이냐 ? 소설 쓰고 있네. 미친새끼가..... 소설 재미 없으면 손모가지 날아가 붕게. 아그야, 모하냐. 싸게싸게 오함마 갖그 와라잉 ! " 나는 이 문제를 놓고 문학평론가들이 유감을 표명한 적을 본 적이 없고 김봉곤의 << 그런 생활 >> 논란을 다룬 그 어느 기사도 이 점을 부각한 언론사가 없다는 점에 의아하다.  문학동네가 문학동네 직원을 자랑스러운 문학인으로 선정한 것은 


문재인 정부가 자랑스런 대한민국 시민상을 재정해서 이낙연을 대한민국 시민상 수상자로 선정한 것과 다를 것이 없다(내가 알고 있는 출판사 편집자 출신의 작가만 해도 김서윤, 정세랑, 김민정, 정영수가 있다). 이제는 출판사가 플랫폼의 소유주가 되어서 유저를 키우고 있는 중이다.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한국 문단은 페어플레이 정신이 실종된 집단이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좋은 작품이 탄생할 리 없다. 



■ 덧대기

단편의 미학은 " 압축미 " 에 있다. 레이몬드 카버의 단편이 압도적인 이유도 정교한 압축에 있다. 그래서 좋은 단편은 웅크린 스프링과 같아서 다 읽고 나면 긴장에서 오는 좋은 스트레스와 그 긴장이 해소될 때 발생하는 사유의 확장을 경험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김봉곤의 단편은 쓸데없는 군더더기가 너무 많다. 그의 단편에는 긴장도 없고 해소도 없다.  쓸데없는 군더더기를 늘어뜨린 느낌이다. 파스칼은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짧게 쓸 시간이 부족해서 길게 쓴다잉 ! "  파스칼의 명제는 이 세상 모든 편집자의 기본 상식이 아닐까 ?  더군다나 명색이 편집자인데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다맨 2020-07-18 12: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작가의 창작방법인 오토픽션(저자와 작품 속 인물이 동일한 이름의 정체성을 공유하면서 저자 자신의 삶을 문학적으로 서사화하는 창작 방법)에 대해서 얼마 전부터 의심을 품어 왔습니다. ˝여름 스피드˝라는 단편집을 읽었던 적이 있는데 다 읽고 나서는 약간의 감탄(실제 성소수자의 삶을 보여주기)이 나오다가도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이런 기법으로 첫 단편집을 엮는 것은 좋다, 그런데 다음에는 어떤 형식으로 글을 쓸 것인가, 향후 소설에도 이 기법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적어도 내용물은 좀 달라야 하지 않나.‘

엄밀한 의미에서의 오토 픽션 작가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그와 비슷한 창작방법을 보여주는 작가가 저는 찰스 부코스키라고 봅니다. 언뜻 부코스키는 자신의 일상사만 지겹게 우려쓰는 작가처럼 보이기도 합니다만 각각의 작품들을 보면 저마다 차별성을 가지고 있지요. 팩토텀(부랑자의 삶), 우체국(정규직 노동자의 삶), 여자들(여성 편력사), 호밀빵 햄 샌드위치(유년소설), 할리우드(영화제작기) 등등 이 사람은 똑같은 소재만 쓰는 것 같으면서도 내부적으로 들여다보면 그 결이 새삼 다릅니다. 물론 그 자신이 진창과 같은 삶을 살아왔기에 저렇게 다양한 내용을 소설로 쓸 수 있었던 것이겠지요.

저간의 사정을 돌이켜보면서 느꼈던 점은 이 작가가 창작 방법의 변화를 도모할 엄두를 내지 못하면서, 그렇다고 내용물을 크게 바꾸는 데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제외하면 그다지 특별할 것 없어 보이는 자신의 삶(출판사 편집자의 일상사)을 계속 종이에 옮겨쓰기에만 골몰했다는 인상마저 듭니다. 이런 인식과 태도의 안이함이 결국에는 타인에게 크나큰 피해를 주면서, 자기 소설의 작품성까지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았다고 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20-07-18 18:38   좋아요 0 | URL
성소수자 작가의 오토픽션은 위험한 거 아니겠습니까 ? 본의 아니게 다른 사람들이 아웃팅 당할 위험도 높고 말이죠. 자신이야 커밍아웃했으니 상관없겠지만 다른 사람은 그게 아닌데......

전 이 단편 읽으면서 자꾸 파스칼의 편지 내용이 생각나더군요.
짧게 쓸 시간이 없어서 길게 쓴다. 미안하다, 친구야.. 뭐,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