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식이니 ?
며칠 전, 개를 끌고 산책을 가던 중에 50대 후반으로 보이는 여성을 만났다. 그 여성은 나를 보자마자 대뜸 만식이니 _ 라고 물었다. 나는 만식 씨가 아니기에 아니오 곰곰발'입니다 _ 라고 말하자 그녀는 더욱 황당한 말을 하기 시작했다. " 귀엽게 생겼네. 몇 살이에요 ? " 하아 ! 내가 아무리 귀여운 외모의 소유자라고 해도 초면에 이런 실례를 범하다니 믿을 수 없었다. 나는 화를 삼키고는 먹을 만큼 먹었습니다 _ 라고 차분하게 말했다. 그런데 자꾸 생각할수록 화가 나는 것이다. 나는 똑같이 응수했다. " 나이가 어떻게 돼요 ? " 50대 후반으로 보이는 여성이 대답했다. " 2살이에요. 호호호 ! " 나는 순간 당황했다. 미친 여자인가 ???!!! 이 모든 것은 다 나의 오해에서 비롯된 일이었다. 그녀는 2살이 된 리트리버 수컷(똘이)을 데리고 약속장소로 향하고 있었다. SNS를 통해 같은 동네에서 리트리버를 키우는 사람끼리 의기투합하여 동네 공원에서 만나기로 한 것이다. 그녀가 만나기로 한 사람은 만식이'라고 불리는 리트리버의 보호자'였는데, 약속 장소를 향하는 도중에 나를 만난 것이다. 그러니까 나를 만식이의 보호자로 착각한 것이었던, 것이었던, 것이다.
뜬금
한국이 일본에 대하여 반감을 가지는 현상을 감정 (反日感情, 영어: Anti-Japan sentiment ) 이라고 한다면 일본이 한국에 대하여 반감을 가지는 현상은 반한 감정'이다. 그런데 일본은 반한(反韓 ㅡ)이라는 표현 대신 혐한(嫌韓ㅡ)이라고 부른다. 어떤 대상을 " 반대하는 것 " 과 " 혐오하는 것 " 은 전혀 다른 차원이다. 전자는 판단에 기초한 것이고 후자는 정서에 기초한 것이다. 혐오라는 정서는 주로 대상을 열등한 존재로 인식할 때 발생한다. 예를 들면, 고위 공무원이 국민을 개 돼지로 폄하할 때의 감정이 바로 혐오'이다. 일본이 반한(Anti-Japan sentiment)이라는 표현 대신 혐한(hate speech)'이라고 부르는 것은 한국인을 열등한 인종으로 인식하는 인종차별적 언어 표현인 셈이다. 그런데 한국 언론은 이 인종차별적 표현을 그대로 수입해서 쓰고 있다. 한국 언론은 대체로 반일 감정에 따른 불매 운동은 감정적 대응이라며 이성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문제는 < 감정적 대응 태도 > 은 한국이 아니라 일본이라는 점이다. 자본제에서 가장 강력한 힘은 소비 행위'이기에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응하기 위해 불매 운동을 펼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런데 언론에서는 이러한 행위를 감정적 대응이라고 판단하는 모양이다. 한국의 언론인은 대부분 수박 씨 발라먹을 새끼들이다.
거위
기회가 주어진다면 거위를 키우고 싶다. 거위는 보호자에 대한 충성심이 대단하다고 한다. 또한 40년을 산다고 하니 이보다 좋을 수 없다. 제주도에서 거위 5형제를 키우는 상상을 하다가 이름을 어떻게 지을까 고민했다. 거위에게 어울리는 성은 무엇일까, 고민하다가 내린 결론은 곽씨'다. 성은 정했으니 이름만 지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