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 살인의 추억 그리고 트럼프









                                                                                                        홍길동은 총명하고 무예에 뛰어났다고 한다. 문무를 겸비했으니 장차 위인이 될 인물이었으나 현실은 시궁창이었다. 형을 형이라 하지 못하고 아버지를 아버지라 하지 못하니, 홍길동은 아버지 홍상직의 아들이나 아들이 아니었다. 아들아들 하는 세상에서 아들로 태어났으나,


미역 줄기 같은 이 야들야들한 깊이의 얇음은 몸종이었던 춘섬이 낳은 아들(서자)'이라는 출신 성분 때문이었다. 혈기왕성한 길동은 불평등한 사회 구조에 절망하여 눈 감을 위인이 아니었다.어느날, 그는 심야에 아버지를 만나 단판을 벌이기 위해 담판을 벌인다. 형을 형이라 하고 아버지를 아버지라 할 수 있게 해주십시오 !  홍길동이 원하는 것은 아버지의 승락이다. 평소 총명한 길동을 애틋하게 여겼던 아버지는 호부호형을 허한다. 소설 << 홍길동전 >> 에서 눈여겨보아야 할 점은 아버지의 승낙'이다. 여기서 아버지는 대타자(Other : 라캉의 용어로 대타자는 동일시로 통합될 수 없고 상상적인 타자의 타자성을 초월하는 완전하고 근본적인 타자성 ) 이다. 


대타자 아버지는 재현불가능하다. 부자 관계에서 아들은 아버지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없을 뿐더라 동일시도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아들은 불초 소생(不肖 아니 불, 닮을 초  : 아버지를 닮지 않았다는 뜻 ) 이다. 하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홍길동은 아버지를 초월한다. 불초에 머물지 않고 월초(越肖 넘을 월, 닮을 초)한다는 점에서 소설 << 홍길동 >> 은 전복적인 서사'이다. 홍길동은 아버지를 초월했기에 아버지가 없는 단독자 고아'이다. 그는 율도국을 세워 태초의 아버지 시조'가 된다. 영화 << 살인자의 추억 >> 에서 박두만과 서태윤 형사는 첩의 자식'이다. 


형사는 용의자 박현규(박해일 분)가 살인범이라 확신하지만 단독자의 이름으로 법을 집행할 능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박두만과 서태윤 형사가 법을 집행하기 위해서는 대타자(미국)의 승락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 유명한 기찻길 터널 장면에서 집행은 선고 유예된다. 대타자의 회답은 불일치'였다. 그것은 곧 " 아버지의 불허 " 를 의미한다. 아버지의 불허에 화가 난 형사는 권총을 꺼내 직접 법을 집행하려 하지만 이때 거대한 기차가 둘 사이를 가로지르며 떼어 놓는다. 프로이트 심리학에서 기차라는 오브제가 발기한 남근(팔루스 Phallus)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차의 < 가로지르기 > 는 아버지의 개입이다. 


이 장면을 도상학으로 풀어서 표현하자면 < 아들 / 아버지 > 이다. 여기서 대한민국이 미국의 허락 없이는 자주적 결정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 식민 / 제국 > 의 관계이기도 하다. 이 영화는 늑대의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희생되는 양들의 침묵을 통해서 아버지의 허락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수컷의 무능을 고발한다. 그것은 군 작정권이 없는(군 작전권은 미국에게 있다) 대한민국의 현실이기도 하다. 트럼프의 DMZ 방문을 통해서 우리가 절실하게 깨닫게 되는 것은 미국의 허락 없이는 평화도, 그리고 종전도 없다는 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다맨 2019-07-03 16:27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보수 언론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두 정상(김정은 위원장,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음에도 평화의 집에 마련된 회담장에는 참여하지 못한 것을 두고 까내리더군요. 하지만 오늘날까지도 문통이 북미 관계를 개선하는 데 있어서 중재자 역할 그 이상으로 나아가기 어려운 이유는 처음부터 끝까지 (보수언론이 그토록 흠모하는 국부인) 이승만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이승만은 (전쟁을 지속할 머리도 전력도 없으면서) 한결같이 북진 통일을 주장해서 정전 협정에 참여하지 않았고, 심지어 본인이 집권하던 시기 내내 정전의 의의와 효력을 부정하는 언사를 여러 번 남겼습니다. 바로 이 때문에 북에서는 정전 협정에 참여했던 나라들(중국, 미국)하고만 대화를 하겠다는 명분까지 얻게 되었구요.
남한이 정전 협정에 참여했다고 해도 아버지(미국)와 아들(남한)의 관계는 이어졌을 것입니다. 다만 우리가 아버지의 힘과 허락을 빌리지 않고도 확보할 수 있었던 최소한의 권리(미/북의 정상과 남한의 정상이 한자리에 앉아서 종전과 평화를 논의하는 것)마저 걷어차 버렸던 지도자와 과거사를 생각하니, 그저 한숨이 나올 뿐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9-07-03 17:41   좋아요 0 | URL
제가 할 말을 고스란히 말씀하셔서 할 말이 업슴. 조만간 한 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