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마, 깨칠 뻔하였다
김영민 지음 / 늘봄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지 않은 책의 리뷰를 미리 쓰다  :

 


부사는 주어의 복심이다









1 사람만이 절망이다

사람(만)이 희망이다 _ 라는 흔해빠진 감성을 접할 때마다( : 대표적인 작품이 이기주의 언어의 온도 』이다. 읽을 때마다 이기주의 등짝을 한 대 때려주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현실은 시궁창인데 작가에게는 동화 속 세상인가 보다. 나는 입만 열었다 하면 사람만이 희망이라고 외치는 놈에게서 단 한 번도 희망의 불씨를 읽은 적이 없다 ) 감성팔이 소녀의 재림을 보게 된다. 이런, 망할 !  사람만이 희망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인간 중심 사고에 세뇌된 말종이다. 인간은 결코 희망이 될 수 없으며 대안이 될 수도 없다. 김영민의 신간 << 차마, 깨칠 뻔하였다 >> 를 구입한 이유는 목차의 제목이 흥미진진했다는 데 있다. 목차 - 제목'이 이토록 내 흥미를 끈 경우는 흔치 않다. 읽지 않은 책을 읽은 척하며 허세를 부리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목차 제목만 훑는 것이다. 이보다 좋은 방법은 없다. 내가 아직 도착하지 않은 책의 리뷰를 쓸 수 있는 히마리도 바로 여기에 있다. 몇몇 제목이 흥미를 끈다. 6장의 제목이 < 사람만이 절망이다 > 이다. 날카로운 통찰이다.



2

내 취향은 이렇다  :  정상적인 체위보다는 변태적 체위가 좋고 A급 영화보다는 B급 영화가 좋다. 그리고 이음매 없는 매끈한 표면보다는 꿰매거나 묶인 흔적이 있는 울퉁불퉁한 표면이 좋다. 토드 브라우닝 감독이 연출한 << 프릭스 >> 를 보았다. 1931년도 작품인데 볼 때마다 놀라게 된다. 마지막 20분은 현대 영화가 흉내 낼 수 없는 독특한 아우라가 있다. 영화 속 주인공들은 대부분 기형인이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들은 기형인 분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기형인을 배우로 캐스팅했다. 샴쌍둥이, 소두증 세 자매, 양팔이 없는 장애인은 물론이고 양팔만 있는 이도 등장하며 양팔과 함께 두 다리조차 없는 이도 등장한다. 영화가 진행되다 보면 볼거리로 여겨졌던 인물들이 주체적 지위를 획득하게 되고, 반대로 정상적인 신체를 가진 이들이 마음속 괴물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그리고 영화는 비주류가 주류를 응징하는, 비정상성이 정상성을 살해하는 전복적 서사로 진행된다. 감독은 당신에게 묻는다. 몸은 불편하지만 마음은 정상적인 부류와 신체는 건강하지만 마음은 사악한 부류 중에서 누가 더 기형적인가 ?  이 영화는 불온한 상상력으로 인해 30년 동안 상영 금지 목록에 오른 기록을 남겼다.  사악한 마음을 응징하는 것으로 끝이 나니 권선징악인 셈이지만 주류 사회는 비주류의 욕망이 불쾌했던 모양이다. 권선징악을 불온하다고 여기는 검열 사회야말로 불온한 상상력이 아닐까 싶다.  우리는 보통 대화를 나눌 때 술어(동사,형용사)의 쓰임이 그 사람의 마음이라고 믿는다. 싫다, 밉다, 좋다 따위가 솔직한 마음의 표현이라고 믿지만 사실 그 사람의 진짜 복심은 부사'에 숨겨져 있다.  술어는 대부분 위장에 가깝다.  부사는 주어의 복심이다. 이 문장 또한 김영민의 말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11-29 16: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1-29 16: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yureka01 2018-11-29 17: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하루에 한끼 먹고 부터는 통풍이 사라졌어요. 역시 그동안 참 많이도 처먹었더란 말이죠..여전히 요즘도 1일1식이라서 좋더군요..사람들이 하루 한끼만 먹으니 다들 빠짐없이 한마디씩 하더군요..어떻게 그렇게 먹고 사냐고..먹는 낙없이 재미없잖아라고 하더군요..사실 먹는게 얼마나 고역인지 ㅎㅎㅎㅎㅎ(그러게요..곰발님 가까이 계셨더라면 참 죽이 잘 맞게 씹어 돌렸을텐데...아쉽습니다.ㅎㅋ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8-11-29 17:44   좋아요 1 | URL
오 !!!!!!!!!!!!!!!


저도 요즘은 굶는 게 얼마나 힘든가 보다는 이제는 먹는 게 얼마나 힘든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쩔 수 없이 제 의도와는 상관없이 식사를 해야 할 때가 있는데
아, 불편해요. 1식이 일상이 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먹게 되는 식사는 정말 고역입니다....


통풍 사라지셨더니 축하드립니다. 치어스 ~~~~~~

곰곰생각하는발 2018-11-29 17:53   좋아요 1 | URL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통풍도 가만 보면 과식이 주범이란 생각이 듭니다. 통풍 치료의 가장 확실한 방법은 소식으로의 전환이죠.
소식은 느리게 흐르는 혈액 순환을 빠르게 만드는 효과가 있거든요...

2018-11-30 11: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1-30 15:4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