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단 한 줄이라도 읽은 책들은 무조건 기록해두자!

라고 다짐했건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갑자기 머리가 하얘지고

현재 읽고 있는 책들에 푹 빠지다 보면 과거 읽은 책들의 감흥은 다소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기록하자'의 약속이 몇 주 안가 무용지물이 되겠구나!

그런 생각을 일찌감치 품고 있었다.(잘 알면서도 해가 바뀌면 늘 계획을 꿈꾸게 마련이므로!)

그러면서, 열심히 기록하는 사람들의 수려한 글솜씨에 감탄하는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감탄하려고 찾아가 읽고 있는 것이니까!)

그사람들의 성실성과 부지런함 그리고 식지 않는 그 열정이 때론 부럽기도 하다.

나도 열정을 품어 보려고는 하나,쉬이 식어버리니 허참!!

열정이 식기전에 얼른 기록하자.

단 몇 줄이라도!!

 

 

 

 

 

 

 

 

 

 

 

 

 

 

9.10.<리틀 포레스트>1,2

-이가라시 다이스케

 

    아이들이 장성한다면 얼른 독립시켜버리고 신랑과 둘이서 귀농을 해볼까? 뭐 그런 계획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다.그런데 얼마전부터 그계획에 약간의 수정을 하고 있다.귀농은 좀 힘들 것 같고,그냥 숲 속에 폐허나 빈집이 있다면 그걸 고쳐서 살면 어떨까?로 수정중이다.하지만 숲 속이라 하되 너무 깊은 숲 속은 무서울 것 같다.멧돼지가 튀어 나오거나 뱀이 수시로 마당을 지나가고 벌레에 물려 늘 피부에 진물이 흘러 내린다면 좀 스트레스가 될 것 같기에 도시 인근 약간 동떨어진 시골쯤이면 좋겠다.라고 수정했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계기는 내 친구가 몇 년 전 귀농을 꿈 꾸며 시골로 내려갔다가 적응을 못한 사례를 너무 적나라하게 이야기를 들려 주는데, 듣다 보니 이건 정말 그냥 꿈을 꾼다고 되는 일이 아니겠구나! 생각했다.아주 구체적으로 무언가 틀을 잡아야 할 것이고 계속 하나씩 살을 붙여 나가야 할 것이다.

 

    이책을 읽으면서 문득 '나는 왜 시골로 들어가 살기를 원하는 것인가?' 의문이 들곤 하였다.이책에 나오는 주인공 이치코는 시골을 도피처로 생각하여 고향으로 찾아들어와 자급자족의 유기농 음식들을 먹으면서 몸과 마음이 절로 치유되어가는 모습이 담겨 있다.나는 나이가 들면 외진 시골로 들어가 오염되지 않은 음식을 먹으면서 건강하게 노후를 보내고 싶다라고 생각하였으나 어쩌면 나도 외진 시골을 은연중에 도피처로 생각하고 있었나?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도피처의 공간들이 실상 살아본자들에게는 그리 호락호락한 공간이 아니란 말을 듣자마자 마음이 흔들리는 것을 보면 그리 절실한 목표는 아니었던 것 같다.

그냥 지금 삶과는 다른 분위기의 삶을 원한 꿈만 가득한 이상향의 도피처였나보다.

이치코의 마음가짐을 읽어 나가면서 나의 허영으로 가득한 꿈을 줄곧 반성하였다.

'오염되지 않은 음식을 먹고 싶다'라고 생각한다면 지금 나의 요리 패턴과 요리에 임하는 자세를 적극 바꿀 필요가 있음을 자각하였으나 오래된 습관은 쉬이 바뀌지 않고,내 입도 전혀 바뀌지 않으니 시골로 들어가 살고 싶다는 것은 허영에 들뜬 꿈일 뿐이다.

이치코처럼 좀 더 명확하면서 진지한 목표가 있어야지 싶다.

 

   이책은 분명 요리만화책이라 분류해놓은 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책을 덮으면서 삶의 관점들이 바뀔 수 있으니 조금 놀랍다.

중간 중간 요리 레시피가 있긴 하지만 이책은 왠지 요리책이라고 말하면 안될 것같다.

그럼 이책은 무슨 책인가?

그냥 내겐 한 편의 소설처럼 읽혔다.

 

   개인적으로 만화책을 그닥 좋아하는 편이 아니었는데 요즘은 만화 삼매경에 젖어드는 중이다.특히 음식에 관련한 만화책은 이유없이 좋아하는 성향이라는 것을 이제사 깨달았고,만화의 재미를 뒤늦게 야금야금 알아가는 중이다.

<리틀 포레스트>는 우리나라 음식이 아닌 일본의 전통음식들이 많다보니 신기한 내용들도 많았지만,주인공이 읊어내는 쓸쓸한 독백들에 집중이 잘 되는 만화책이었다.그래서 영화로도 만들어진 것일테고...예전에 영화를 보려 했으나 유료라고 뜨는 바람에 잠깐 멈칫 했는데 만화책을 읽고 나니 영화가 더욱 보고 싶어지는 내용들이다.

특히 주인공이 요리하는 재료들이 어우러져 익어가는 과정이나 완성하여 예쁜 그릇에 담아 식탁위에 올려놓았는데 김은 모락모락 피어나고 맛깔스런 색들의 조합으로 윤기가 차르르 도는 그런 음식은 역시 영상화면이나 올칼라 사진의 힘을 빌려야만 빛이 날법하다.

<식객>도 열심히 읽고 있는 중인데 배는 분명 고픈데도 군침이 돌지 않아 이상하다고 여겼더니 이게 다 흑백의 화면들에서 오는 단점이란걸 뒤늦게 알게 되었다.만화책을 잡은지가 얼마 되지 않아 이것도 혼자서 뒤늦게 깨닫는다. 

이모든걸 홀로 야금야금 알아갈 것이다.

 

 

 

 

 

 

 

 

 

 

 

 

 

11.<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무라카미 하루키

 

   참 오래전에 나온 하루키의 에세이집이다.

일본작가중에서 좋아하는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다.

그러니 읽어야만 했을 것이다.

읽으면서 지겨워 몇 번을 포기했었지만 그래도 완독했다.

왜냐하면 하루키니까!!

 

   하루키의 힘이 대단하다는 것을 느낀 것은 읽으면서 달리기의 지난함이 느껴지면 나 또한 읽어 나가는 것이 힘이 들곤 했는데 다 읽고 나니 역시 읽길 잘했어!란 느낌을 남겨 주는 것은 바로 하루키의 힘일 것이다.

하루키의 작가가 되기전 젊었던 시절의 이야기와 작가로서 작품을 이끌어 가기 위한 극히 개인적인 자기관리법에 대한 이야기들은 베일에 쌓인 작가의 개인사를 엿볼 수 있어 흥미로웠다.

 

   작가라고 하면 늘 책상에 앉아 머리 헝클어대며 글만 쓸 것이라 상상하곤 하는데 작가들은 생각외로 활발하고 부지런하다.도대체 글은 언제 쓰는 걸까? 싶을 정도로 대외적으로 많은 활동들을 소화해가며 36시간 같은 하루를 보내는 작가들을 실제로 지켜 보고선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특히 운동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작가라는 직업은 실상 더 많은 운동을 요구하게 된다.나이가 들어도 오랫동안 사랑을 받으며 다작을 하는 작가들을 보면 아마도 자기 관리가 투철하였으리라는 생각을 하루키를 통해 깨닫게 된다. 

하루키는 운동중독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 정도로 마라톤에 대한 애착이 강한 사람이다.

그 애착이 읽는내내 나도 한 번 달리고 싶다라는 강한 충동이 들정도다.

 

 좋아하는 하루키지만 아직 그의 소설을 다 읽지 못하였기에 더 찾아 읽어야만 할 것이다.

지금부터 읽는 하루키의 소설은 탄탄한 근력이 붙어 있는 소설로 읽히겠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2-12 16: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2-12 17: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서니데이 2016-02-12 18: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저 만화책을 선물받아 가지고 있어요.
책읽는나무님, 즐거운 금요일 되세요.^^

책읽는나무 2016-02-12 21:40   좋아요 1 | URL
예쁜 만화책을 좋은 분께 받으셨군요!!
안목 있으셔요^^
불금은 비가 와서 우금이 되었네요
하지만 모두에게 내일의 즐거움이 있길 기대합니다^^

세실 2016-02-12 20:3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집 마당에 뱀이 돌아다니는 상상만으로도 으악!ㅎ
전 그냥 늙어서도 아파트에서 살고 싶어용^^

책읽는나무 2016-02-12 21:44   좋아요 1 | URL
그래요~~저도 멧돼지 보다도 벌레 보다도 뱀이 가장 무섭네요ㅜ
멧돼지는 우리동네 뒷산에 자주 출몰하거든요
그래서 전 나무가 조금이라도 있는 숲을 보면 멧돼지가 튀어나올까봐 좀 무섭습니다
`시골은 그런 곳이 아니다`란 책제목을 본적이 있는데 아마도 이런 이야기들이 있지 않을까?싶어요
열 살 더 먹기전에 뱀이랑 굼벵이랑 지렁이를 보아도 놀라지 않을 담력을 얼른 키워야할터인데 큰일입니다ㅋㅋ

후애(厚愛) 2016-02-13 1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맛있는 저녁 드시고 편안하고 행복한 주말 오후 되세요.^^

해피북 2016-02-15 12: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두 매사 읽은 책에대해 기록하자고 생각하면서도 귀찮다는 핑계로 이리미루고 저리 미룰때가 많아요 ㅎㅎ 이제 새해도 지났겠다, 벌써 2월로 접어들었겠다, 연초에 세웠던 다짐이 퇴색되기 딱 좋을 시간이자 이쯤에서 나태함이 시작되는 시기이기도하고 말이죠 ㅜㅜ그러고보면 매일같이 꾸준히 기록하고 인사댓글로 안부 전해주시는 님들 정말 대단하신거 같아요 ㅎ

귀농에 대해 말씀해주셔서 저도 예전에 제주도에서 살고싶었던 기억이 떠올랐어요. 아주 오래 전에 <아이들과 제주에서 한 달 살기>라는 책을 읽고 머리에 종이 울린적이 있거든요. 제주도 살 수 있구나 싶은. 그때부터 무한 동경을 시작하며 한라도서관 앉아 책을 읽으며 바다를 바라보고 여러 해수욕장도 거닐고 비자림 숲이나 다양한 오름들을 오르며 살아보리라 깊은 다짐을 했던 적이 있었죠. 그런 무지개빛깔에 흠뻑 취했을적에 현실적인 책 한 권 만나게 되었는데요. 제주도에는 육지에서 볼 수 없던 각양각색의 곤충과 벌래가 나오고 비자림이나 오름에는 벼룩같은게 풀에 많아서 반려동물과 함께 다녀오면 무척 고생하게 된다고 하더라고요 ㅎ 그래서 막연한 상상이나 동경은 위험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던게 생각이 납니다 ㅎ
아. 그리고 저는 하루키의 매력에 아직 빠져들지 못해서 참 아쉬워요. 이번에 시드니 란 책을 읽으려고 하는데 하루키의 매력속으로 풍덩 할 수 있음 좋겠어요^~^


책읽는나무 2016-02-15 14:45   좋아요 0 | URL
귀농한 제친구가 작년에 제곁으로 이사와서 자주 만나고 있어요
그래서 아주 열심히 들으면서 팔랑귀 팔랑팔랑대고 있어요ㅋ
전 `귀농`이 아니고 `귀촌`쯤으로 생각중입니다

제주도요!!!
저두 제주에서 한 달 살기란 책 읽고 팔랑귀 팔랑팔랑~~
작년여름이었나?올 여름이었나?제주에 아이들 여름방학때 내려가려고 했었거든요~근데 제가 운전을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생각못하구선ㅜㅜ
그리고 엄마도 편찮으셨고ㅜㅜ
여튼 황금의 시기는 지나버린 듯해요
큰아이가 중2올라가버리니ㅜㅜ
그래서 한 달이 아닌 노후로 영원히 살도록 해볼까?생각하자마자 중국인들은 또 왜그리 제주도 땅을 많이 사서 땅값을 올려놓았대요??ㅜ
제주도는 현무암이 많아 자연방사능에서 좀 안전한 청정자연지대라더군요^^
하지만 그곳도 청정 곤충과 벌레들이????
음~~~쉬운게 없어요
정말 계획을 잘 세워야겠어요
이제부터 귀촌이나 집 고쳐서 잘산다는 책들을 좀 틈틈히 읽어보려구요
사진빨만 보고 또 동경을 하게될까!!두렵긴 합니다만ㅋ

아영엄마 2016-02-18 11:5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나무님은 여전히 열심히 기록을 하시는군요!
전 이제 기록 같은 건, 그리고 읽은 책 내용 기억하기 같은 건 허공으로 날려버린지 오래라...
작년부터는 다이어리에라도 몇 줄 적어보자 했는데 이제 책을 잘 안 읽게 되더군요. -.-;;

책읽는나무 2016-02-18 13:43   좋아요 0 | URL
올해부터는 그렇게 하려고 했는데요~~~~아! 벌써부터 자꾸 밀리네요
이제 2월인데 말이죠ㅜ
노트에도 기록하려고 맨날 맨날 사도 처음 몇 장만 쓰고 또 중지!!ㅜ

그래도 올해는 기록해보려 무지 노력중입니다
그러니까 또 책을 읽게 되더라구요 그동안 몇 년동안 책에 손 놓고 살았어요ㅜ
그런데 도서관에서 대출한 책들이 많아 반납하고 기록하려면 진짜 기억이 더 안나서 기록하기는 더 힘들어지공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