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여신들 편은 조금 큰 줄기는 파악되지만, 세부적인 잔가지들의 내용을 파악하기에는 조금 난해하고 어렵다.
일단, 내가 제대로 이해했는지 읽고 정리하려 해도 계속 갸웃거리고 있지만, 대충 나열해 본다면,
고대 유물이나 기도문등을 통해서 여성은(여신, 여사제) 종교적 관점에서 추앙받았다.(추앙은 여기서도^^)
박물관의 고대 유물들을 살펴보면 출산하는 여성의 모습 또는 남녀의 성기 묘사등 노골적인 형상들의 토우를 본 기억이 강렬하였다. 이런 유물들이 결국 ˝다산과 생식력 상징하는 여성들의 종교적 관점에서 좀 더 여신들의 권력을 찬양하는 후대의 신화적,문화적 자료들과 일치(264쪽)˝하고 있었다는 것에 새로운 시선을 가지게 되었다.
창조설화들은 더 이전 시기에 있었던 여성의 다산성에 대한 숭배에서 나온 개념들을 표출하고 있다. 자연의 원초적 힘은 새 생명을 창조하기 위해 열리는 바다, 물, 알의 신비이다.
뱀-여신, 바다-여신, 처녀-여신, 그리고 진흙으로 인간을 빚는 여신-신비를 푸는 열쇠를 쥔 것은 바로 여신이다(265쪽)
신화를 접할 때, 긍정적인 개념은 남신, 부정적인 개념 또는 2인자에 속하고, 남신을 도와주는 개념에 속하는 것이 여신이라고 생각해 왔었던 나의 사고관을 다시 재정립하게 되었다.
새 생명을 창조시키는 막강한 힘을 가진 이는 여신이었다.
그리고, 창조적 개념에 대해 중요하게 언급이 되는데, 창조는 여성의 다산성이 가진 신비한 힘의 단순한 발휘라는 의미에서 종종 양성의 신적 존재들이 개입할 행위로 변화하였다고 한다. 창조될 것의 ‘관념‘, ‘개념‘, ‘이름‘ 속에 표현된 의식의 이 요소는 사회에서 일어난 중요한 변화 때문에 바뀐 인간의 의식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한다.
‘이름‘과 ‘개념‘ 속에 표출될 수 있는 상징적 창조력을 개념화하는 것은 더 높은 수준의 사고(269쪽) 라고 한다.
왕권과 군사적 리더십을 강조한 사회가 도래하여 역사적 변화는 결국 남성들로 하여금 새로이 실현된 상징적 창조성이란 원리를 하나의 남성신 상징이 구현하도록 만들었으며, 국가를 통치하는 강력한 왕권이 일찌감치 확립됨으로써 창조신화들 속에 있는 남성신들이 권력과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시간이 갈수록 새로운 형태의 세속의 왕과 점점 더 닮아가는 한 남성신에게 자리를 내어 주게 된(270쪽) 것이라고 한다.
강력했었던 여신들의 자리는 결국 남신들에게 넘어가버린 형국으로 묘사되어 버린 신화나, 설화는 이제부터
남성신이 더 우세한 것 같은 신화만 읽으며 굳어버린 머리속에 여사제들의 권력과 신비로움은 사제들의 것만큼이나 막강한 존재였었다는(281쪽) 구절을 다시 새겨 넣어야 할 것이다.

창조는 여성의 다산성이 가진 신비한 힘의 단순한 발휘라는 의미에서, 종종 양성의 신적 존재들이 개입하는 의식적 행위로 변화하였다. 창조될 것의 ‘관념‘ ‘개념‘ ‘이름‘ 속에 표현된 의식의 이 요소 - P268
는 사회에서 일어난 중요한 변화 때문에 바뀐 인간의 의식을 반영하는것일 수도 있다. 이 개념들이 처음으로 나타난 시대는 서법이 ‘발명‘되고, 서법과 함께 역사가 발명된 시대다. 기록으로 남기기와 상징체계의 정교화는 추상작용(abstraction)의 권력을 보여준다. 기록된 이름은 역사 속으로 들어가고, 불변의 것이 된다. 이것은 당시 사람들에게 마술처럼 보였을 것임에 틀림없다. 쓰기, 기록하기, 수학적 사고, 그리고 여러 가지 상징체계의 정교회는 시간 및 공간과 자신들의 관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어놓았다.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의 이러한 변화를 종교적 신화들이 반영하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더라도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가부장적 성별 상징들의 발달과 제도화에 초점을 맞춘 본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이름짓기라는 개념 속에서처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의 상징화는 창조력의 유일한 원리인 어머니-여신으로부터의 이탈을 단순화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 P269
그러나 추상성을 만들어내고 추상적 개념들을 대신하는 상징들을 창조하는 능력에서의 일보전진은 분명 일신주의로 향한 중요한 전제조건이다. 사람들이 그런 ‘창조적 정신‘을 체화한 추상적이고 보이지 않고 알 수 없는 힘을 상상할 수 있게 된 후에야 비로소 자신들의 의인화되고, 다투기를 좋아하는 수많은 남신들과 여신들을 유일한 하느님 (One God)으로축소시킬 수 있었다. - P269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생명을 창조하는 것은 누구인가" "신에게 말하는 사람은 누구인가"라는 위대한 철학적 질문들은 여전히 대답될 수 있었다. 그 대답은 인간존재들, 즉 남성들과 여성들이었다. 여성들의 재생산 및 성적 권력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가치가 절하되고 상품화되었든지간에 그들의 본질적 평등성은 여신들이 살아 있고 인간의 생활을 관장한다고 믿어지는 한 생각과 감정에서 사라질 수 없었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남신들 속에서 찾았던 것처럼 여신들 속에서 그들과 닮은 점을 찾아냈음이 틀림없다. 여사제들의 권력과 신비로움은 사제들의 것만큼이나 막강했다. 여성들이 사회에서 남성들과 다른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을지는 몰라도, 여성들이 인간과 초자연적 존재 사이를 여전히 중재하는 한 인간존재로서 이들의 본질적 평등함은 침범될 수 없는 것으로 남아 있었다. - P2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