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쟈와 함께하는 인문학 여행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진행하는 '로쟈와 함께하는 인문학 여행' 두번째 강좌 안내다. '니체에서 지젝까지'의 첫번째 강좌도 이제 중반을 넘어섰는데, '수강후기'는 아직 모르겠지만 신청시 반응이 좋은 편이어서 연이어 두번째 강좌까지 맡게 됐다. 박수칠 때 떠나라고 했듯이 반응이 좋을 때 그만두어야 하는데 또 요청을 거절할 수가 없어서 몇 가지 아이템을 제안했고, 그 중에서 '세계 명작 다시 읽기'가 채택됐다. 5주간 다섯 편의 작품을 읽게 된다. 소개의 멘트는 이렇게 돼 있다(http://www.hanter21.co.kr/jsp/huser2/educulture/educulture_view.jsp?category=academyGate7&tolclass=&searchword=&subj=F90724&gryear=2010&subjseq=0001 참조).
로쟈와 함께 떠나는 인문학 여행, 그 두번째 여행은 '세계 명작 다시 읽기'이다.
문학 작품 중 우리의 생각을 풍성하게 해 줄 다섯 명의 작가와 그들의 대표저작 한 권씩을 선별했다. 세익스피어, 괴테, 카뮈, 베게트, 쿤테라가 바로 그들이다.
이번 수업에선 세계 명작을 단순히 읽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로쟈'만의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해 우리의 인문적 소양을 폭넓게 해 줄 것이다.
이건 어디까지나 광고용 멘트이고, 그냥 세계 명작 다시 읽기에 관심을 갖고 계시면서 여유가 좀 있으신 분들은 강의를 들어보셔도 좋겠다(참고로 수강정원은 35명이며 선착순 마감이다). 강의는 3월 한 달간 매주 수요일 저녁 7:30-9:30까지 신촌의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진행될 예정이다(중간 휴식이 있어서 보통 9시 40분쯤 강의가 끝난다). 강의 일정과 커리큘럼은 아래와 같다.

1. 3월 3일_ 셰익스피어, <템페스트>: 세익스피어는 제국주의자인가(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2. 3월 10일_ 괴테, <파우스트> : 파우스트는 무엇으로 구원받는가(파우스트와 근대적 욕망)

3. 3월 17일_ 카뮈, <이방인> : 뫼르소는 과연 이방인인가(소외란 무엇인가)

4. 3월 24일_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 절망과 구원 사이의 삶(부조리란 무엇인가)

5. 3월 31일_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단 한 번뿐인 삶 vs 영원회귀(영원회귀란 무엇인가)
10. 0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