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문화센터의 제안을 받아 교양강좌를 진행하게 됐다(강사들은 겨울에 따로 벌이를 마련해야 한다). 일반인/직장인 대상의 인문학 강좌인데, 1월 13일부터 2월 10일까지 5차례 진행된다(시간은 매주 수요일 저녁 7:30-9:30). 커리큘럼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하다가 '현대철학'이 좋겠다는 의견에 따라 10명의 철학자를 추천했고 그 중 다섯 명이 첫 커리로 선정됐다(전공인 러시아문학에 대해서는 다른 곳에서 강의할 예정이다).  

나로선 <로쟈의 인문학서재>에 실은 '철학 페이퍼' 정도의 내용을 바탕으로 인문학 담론에 대해서 주눅들지 않도록, 더 다행스럽게는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 정도를 강의의 목표로 정했다. 곧 내가 읽고 이해한 만큼만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나의 과제다. 커리큘럼은 더 협의가 될 줄 알았는데, 처음 보낸 시안으로 확정되어 아예 공지가 됐다. 흠, 이것도 운명인가 보다. 한겨레문화센터의 홈피에서 강좌에 대한 안내를 옮겨놓는다(http://www.hanter21.co.kr/jsp/huser2/educulture/educulture_view.jsp?category=academyGate6&tolclass=0001&searchword=&subj=F90711&gryear=2010&subjseq=0001&p_selmenu=01). 참고로, 이 소개는 강좌를 기획한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작성한 것으로 나는 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페이퍼는 분류하자면 일종의 광고 페이퍼가 되겠다.  

인터넷 서평 전문 블로거 '로쟈'가 쉽게 풀어서 들려주는 인문학 이야기.
니체, 지젝 등 어려워서 책장 깊숙히 박아둔 현대철학의 명저를 '로쟈'와 함께 읽어보자!
인문학의 참맛을 느껴보고 싶은 분들과 떠나는 행복한 인문학 여행 강좌!!

인문학은 우리를 행복하게 하고 한편으로 불편하게 한다.
인문학은 우리한테 삶의 좌표를 제시하고, 그럼으로써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 바로 행복함이다.
인문학은 우리의 각박한 삶을 성찰하게 하고 더 나은 삶을 위한 생각의 틀을 제공한다. 인문학을 통해 삶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야은 넓어지고 넓어진 시야만큼 생각의 폭도 넓어진다. 삶의 좌표를 찾고 생각을 풍성하게 하기 위해 사람들은 인문학 서적을 펼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내 책장을 덮는다. 어렵기 때문이다. 바로 불편함이다.
책에 나오는 개념들은 애매모호하고 문장들은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인문학에 대한 열정까지 포기할 수 없다. 삶의 모든 논리, 심지어 사람을 바라보는 기준까지 '돈의 논리'로 대체되는 작금의 상황은 인문학의 필요성을 더욱 높여주기 때문이다. 

이 강좌는 인문학에서 불편함을 느꼈던 이들에게, 인문학 서적이 너무 어렵다고 느껴 인문학에 대해 부담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인문학의 행복함을 맛보도록 마련된 과정이다.
 
로쟈와 함께 떠나는 인문학 여행, 그 첫번째 여행은 현대 철학이다. 
현대철학자 중 우리 사고의 폭을 넓혀줄 다섯 명의 철학자와 그들의 대표저작 한 권씩을 선별했다. 니체, 발터 벤야민, 장 보드리야르, 들뢰즈, 슬라보예 지젝이 그들이다. 

평소 읽고 싶었지만 어려워서 혹은 시간이 없어 손을 놓고 있던 책들을 놓고 '로쟈'와 함께 책 읽기를 시도해보자. 책에서 이해하지 못했던 내용, 난해했던 내용이 쉽게 풀릴 것이다. <로쟈의 저공비행>으로 유명한 인터넷 서평 전문 블로거 로쟈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할 것이다.
책을 미리 읽어오면 더욱 좋을 것이고, 그렇지 않아도 편하게 들을 수 있다.

5주 동안 로쟈와 함께 인문학의 향연에 제대로 한 번 빠져보자.  



"책을 미리 읽어오면 더욱 좋을 것이고, 그렇지 않아도 편하게 들을 수 있다."는 건 밑줄로 강조까지 돼 있는데, 수강생들이 보통 바쁜 직장인들이라 미처 책을 못 읽어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 교재가 될 만한 책을 고를 때 분량이나 난이도도 염두어 두어야 했다(들뢰즈의 경우엔 그래서 소개서를 교재로 골랐다). 그럼에도 '철학' 강좌의 티는 내야 하는 게 나의 애로사항이다. 강의 일정은 아래와 같다.  

1. 1월 13일_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니체의 초인과 영원회귀 



2. 1월 20일_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폭력비판을 위하여 외> : 벤야민의 역사철학테제와 폭력비판론 



3. 1월 27일_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  보드리야르와 소비사회의 논리 



4. 2월 3일_ 들뢰즈, <질 들뢰즈>(콜브룩) :  들뢰즈의 초월적 경험론 



5. 2월 10일_ 지젝, <지젝이 만난 레닌> :  지젝의 레닌주의  

 

09. 11. 29.


댓글(21) 먼댓글(3)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로쟈의 러시아문학 기행
    from 로쟈의 저공비행 2009-12-12 11:10 
    아트앤스터디의 오프라인 배움터(인문 숲)에서 진행하게 될 '로쟈의 러시아문학 기행: 푸슈킨에서 체호프까지' 강좌를 소개한다. 처음에 8주 강좌 제안을 받고, 대학에서 평소에 하던 강의를 압축해서 해보면 좋겠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그렇게 해서 기획된 강좌다. 평소 러시아문학에 관심을 가졌던 분이라면, 그리고 특별히 '로쟈'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분이라면, 이 참에 러시아 명작들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보셔도 되겠다. 사실 두 시간 강의에서 한 작가와
  2. 셰익스피어에서 쿤데라까지
    from 로쟈의 저공비행 2010-02-01 14:52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진행하는 '로쟈와 함께하는 인문학 여행' 두번째 강좌 안내다. 첫번째 강좌도 이제 중반을 넘어섰는데, '수강후기'는 아직 모르겠지만 신청시 반응이 좋은 편이어서 연이어 두번째 강좌까지 맡게 됐다. 박수칠 때 떠나라고 했듯이 반응이 좋을 때 그만두어야 하는데 또 요청을 거절할 수가 없어서 몇 가지 주제를 제안했고, 그 중에서 '세계 명작 다시 읽기'가 채택됐다. 5주간 다섯 편의 작품을 읽게 된다. 소개의 멘트는 이렇게
  3. 데리다에서 가라타니 고진까지
    from 로쟈의 저공비행 2010-03-17 00:51 
    한겨레교육문화센터의 제안에 따라 5월에도 '로쟈와 함께하는 인문학 여행' 강좌를 꾸리게 됐다(http://www.hanter21.co.kr/jsp/huser2/educulture/educulture_view.jsp?category=academyGate7&tolclass=&searchword=&subj=F90754&gryear=2010&subjseq=0001). 어제 낮에 협의를 했는데, 바로 공지가
 
 
2009-11-29 21: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29 21: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stefanet 2009-11-29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런 좋은 기회가 있군요. 듣고싶다고 자신있게 말하고 싶습니다만, 교재가 되는 텍스트들이 (보통 직장인 입장에서는) 만만치 않겠네요. 사실 강의 안듣더라도 저 텍스트들만 다 읽어도 상당히 보람있겠는데요. ^^;;;
흐음...그동안 게으름으로 미뤄왔던 현대철학 다가가기를 로쟈님 도움을 받아 실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듯합니다만, 제가 따라갈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한번 도전해 볼까요?

로쟈 2009-11-30 09:33   좋아요 0 | URL
네, 제가 그 도전에 보탬이 되면 좋겠숩니다.^^;

2009-11-30 00: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30 09: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sophie 2009-11-30 1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러시아문학 강의도 공지해 주세요.

로쟈 2009-11-30 15:29   좋아요 0 | URL
네, 거긴 아직 공고가 뜨지 않아서요.^^;

펠릭스 2009-11-30 1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물 사진을 좋아 하는데요.
레닌과 지젝이 무슨 말을 했나 궁금하죠. 빠져보고 싶은데요.


로쟈 2009-11-30 15:29   좋아요 0 | URL
좀 묵직하긴 한데, 두 사람이 흥미로운 만남을 가졌습니다.^^

2009-11-30 15: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30 15: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정서방 2009-11-30 1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읽고 싶은데, 듣고 싶은데, 지르고 싶은데... 눈팅만 하기 싫은데, 연초라면 시간이 날것도 같은데... 아 오늘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그저 한숨만 내쉬네요.

로쟈 2010-02-24 18:49   좋아요 0 | URL
다음 기회는 놓치지 마시길.^^

turk182s 2009-12-01 0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같은 사람은.. 텍스트가 가까이 하기엔 너무멀어요,,지젝,들룆즈,벤야민..들으러가면 꾸벅,,졸것 같네요..

로쟈 2010-02-24 18:49   좋아요 0 | URL
네, 한두 분 조는 분도 계셨습니다.^^;

비로그인 2010-02-24 1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아쉬워요.. 전 이걸 너무 늦게 알았네요...
혼자 읽기가 엄두가 안나는 책들이어서 그이름들과 혼잣말 지껄이는 중이었는데.
뭐...장기 레이스라고 생각하고 천천히 뒤따라가겠지만 제가 읽은 책이 적다는 자괴감이 자꾸 생겨납니다.

로쟈 2010-02-24 18:48   좋아요 0 | URL
아, 모르고 계셨군요.^^;

비로그인 2010-02-24 22:18   좋아요 0 | URL
네~ 모르고 있었어요.. 알았다면 당연히 갔을텐데...
선생님 알기 시작한건 아트앤부터입니다.
너무 늦었죠? 그러니 좌절해야 할까여?

로쟈 2010-02-24 20:19   좋아요 0 | URL
늦긴요. 아직 살아갈 날이 많이 남았습니다.^^

비로그인 2010-02-24 22:24   좋아요 0 | URL
히히..감사합니당^^ 열심히 공부해서 칭찬받고 무럭무럭 성장하는 모습도 보여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