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월요일부터 서재의 문을 닫아놓았지만 아직 버리지 못한 습관(!)대로 흥미를 끄는 기사들은 간간이 스크랩해놓는다. 남의 얘기 같은 않은 기사가 눈에 띄기에(나의 오랜 고민거리이기도 하고) 옮겨놓는다. 중대 대학원신문에 게재된 것이지만 학술저널 담비에서 가져왔다.  


중앙대 대학원신문 제239호(07. 05. 30) 주여, 책으로부터 구원하소서!

나는 가끔 사람들을 만날 때 책을 선물한다. 새 책을 주기도 하지만, 내가 이미 읽은 책들 중에 그 사람들에게 맞을 법한 것을 골라 안겨주기도 한다. 선물의 의도는 두 가지. 그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인 동시에 방을 가득 메우고 있는 책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다.

대체 책이 얼마나 되기에 그러냐고? 많지는 않지만, 남들만큼은 된다. 대충 이천여 권 정도. 고향집에 천 권, 서울에 천 권. 서울에 있는 내 방 책장이 열 개인데, 이것으로 책들을 다 정리할 수가 없어서 방 안이 온통 난잡하다(*나는 그 네 배 정도 되는 듯하다).

당연히 이사 따위는 엄두도 못 낸다. 이전에 살던 기숙사에서 나올 때 책 박스가 서른 개 정도였다. 그 때 고향에 보낸 책 박스가 스무 개. 부모님에게 더 이상 책 사지 마라는 질책을 일 년 넘게 들었건만 이제 그 때를 훌쩍 넘어서는 분량으로 늘어났다(*나는 주변의 모든 사람들로부터 그런 소리를 듣는다).


그러나 책이 늘어나는 만큼 고뇌도 늘어간다. 사랑은 집착을 낳고, 집착은 고통을 낳는 법. 무소유를 외치는 법정 스님도 유일하게 책에 대한 소유욕만은 뿌리치지 못하셨다지 않는가. 책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그리 되지 못하는 것이 나의 솔직한 현실이다.

이는 아마 나만의 이야기가 아닐 것이다. 내가 아는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고민인 듯하다. 대학원생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책을 사서 모은다는 것과 같은 이야기이다(*하물며 대학강사는?). 생물학적 연령과 주름이 비례하듯이 재학기간과 장서량 또한 비례하기 마련이다. 성욕은 감퇴할지라도 책 욕심은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이 대학원생들의 잔혹한 현실이다

내세의 이미지는 현세의 욕망을 반영한다고 보면, 대학원생에게 있어서 천국의 이미지는 도서관이다. 원하는 책으로 둘러싸여 있으면 그게 곧 천국이 아닌가! 다치바나의 ‘고양이 빌딩’처럼 내게도 개인 도서관이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데 욕망은 향락의 근원인 동시에 고통의 원인이기도 하다(苦集). 어린 자식 키울 때는 마냥 예쁠지 모르지만, 다 크고 나면 말썽만 피우듯이 새 책을 손에 쥘 때는 행복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방바닥을 굴러다니는 꼬락서니를 보면 번뇌만 쌓여간다. 그런 의미에서 대학원생의 지옥 또한 도서관일 것이다. 책을 감당 못해 허덕이면 그게 바로 지옥인 것이다. 대학원생에게 텍스트의 외부는 없다. 바벨의 도서관을 벗어날 방도가 없는 것이다(*아래는 다치바나의 서재).



내가 바라는 구원은 책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사진 같은 기억력이나 번개같은 속독력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나는 알라딘의 서재가 짐을 덜어줄 걸로 기대했지만 오산이었다.) 그러니까 브로델처럼 한 번 본 책은 본문과 쪽수까지 다 암기한다거나 장정일처럼 십여 권의 대하소설을 하루 만에 다 읽어치운다거나……. 아니다. 설혹 그런 능력이 있다 하더라도 절판 도서에 대한 나의 페티시즘은 해결되지 않는다. 오, 주여, 이 대학원생을 책의 지옥으로부터 구원하소서!(이원석 문화연구학과 박사과정) 

07. 06. 02.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깽돌이 2007-06-03 10:29   좋아요 0 | URL
어디 납치된줄 알았습니다 ㅋㅋ.

마늘빵 2007-06-03 11:31   좋아요 0 | URL
로쟈님 뜸하십니다. :)
저도 책 욕심은 점점 커지고 있으니 큰 일 입니다. 이제 플래티넘은 기본입니다. 그게 수치가 얼마나 올라가느냐에 문제지요. 집안에 책 놔둘데는 없고 어여 독립해서 서재를 꾸리고픈 생각뿐.

로쟈 2007-06-03 11:37   좋아요 0 | URL
전에 말씀드린 대로 지금 '휴가중'입니다. 잠시 '나의 서재2' 테스팅을 해보고 있습니다. 글자꼴 바꾸기를 몇 번 했더니 바로 에러가 뜨네요. '새 서재'라고 정을 붙여보려고 하지만 워낙에 굼뜬 타입이라 적응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알라딘 구세대'는 물러가야 되는 게 아닌가도 싶고.--;

푸른괭이 2007-06-03 15:29   좋아요 0 | URL
오, 로쟈님! 그냥 여기에 머무르시지요 ^^ 돌아오셔서 너무 반갑습니다 ㅋㅋㅋ

Mephistopheles 2007-06-03 17:26   좋아요 0 | URL
저도 일이 지치고 힘들 때 가끔 머리속에 개인 도서관 생각이 난답니다..
저푸른 초원위에 붉은 벽돌로 나선형 계단이 들어갈 수 있는 원통형 서가와
함께 벽난로와 푹신한 소파에서 조용히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이요..^^
다른 사람들은 동호인 주택이라고 끼리끼리 모여살기도 하는데 저는 이곳
서재분들이 모여서 개인서고식으로 도서관 만들면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자본이..들지만요..^^) 서고를 구분해서 "로쟈관"이라던지 "물만두관"
처럼 말이지요..

작은앵초꽃 2007-06-03 20:25   좋아요 0 | URL
아멘!
남 얘기 같지 않아요. ㅋㅋㅋ

Joule 2007-06-03 23:23   좋아요 0 | URL

흐음. 로쟈님도 새로운 혹성에 적응하는 연습을 좀 해보신 게로군요. 저는 대략 이틀 정도를 만지작거리다가 도무지 맘에 드는 게 하나도 없다는 투덜거림만을 남기고 자포자기했습니다. 하나마나한 소리지만 서재 2.0이라는 새로운 혹성에 혹하시는 분들이 많은 만큼 비슷한 숫자만큼의 행성민들이 저나 로쟈님처럼 마음 못 붙이고 갈팡질팡 우왕좌왕 설왕설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근데 적응 못해도 다른 데 가지 말고 여기서 놀아요, 우리. 그나마 책 읽는 낙 있는 사람들이 책 있는 데서 놀아야지 어디 간답니까. 글은 올리셔도 댓글 달기에 좀 소원해지면 알라딘 서재질도 할 만하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만.

아참, 로쟈님 새로 글 올리셨길래 기분 좋아 한잔했습니다. (한잔하다가 동사라는 거 아세요? 그러니까 붙여 써야 한대요.) 


로쟈 2007-06-04 00:09   좋아요 0 | URL
네 약간 적응 안되네요. 저는 이사 가기 싫어서 8년째 같은 집에서 사는데, 아무리 더 좋아진 서재라지만 느닷없는 '이주민' 신세가 아닐까 싶습니다. 세간들이야 다 갖고 가겠지만서도...

paviana 2007-06-04 10:51   좋아요 0 | URL
약간 안 되세요? 전 미리보기 들어갔다가 화들짝 놀라서 제집에서 길을 잃고 못 나와서 창 닫아서 다시 로그인해서 옛집으로 들어갈 정도에요.흑흑흑

바벨의도서관 2007-06-04 16:17   좋아요 0 | URL
저 글을 쓴 사람입니다. 로쟈 님의 고작 1/4에 불과한 책을 가지고 푸념해서 죄송합니다(그래도 작년과 올해에 쓸데없이 바지런을 떤 탓에 올해가 다 가기 전에 삼천 권을 넘어버릴 것 같습니다).

로쟈 2007-06-04 17:02   좋아요 0 | URL
Paviana님/ 낼모레면 그 돌아갈 집도 없어지는 것 아닌가요?--;
카이로스님/ 죄송하긴요.^^; 다들 저마다의 책 무게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죠. 대학원생 시절에 저도 일년이면 300-400권씩 책이 불어나서 애를 먹었습니다(문제는 나이 들어도 고쳐지지 않는다는 것인데요). 암튼 잘 버티시고, 아주 관대한(!) 배우자를 만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