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 - 정신분석의 역사 속에서 <에크리>, <세미나> 바로 읽기 1
홍준기 지음 / 새물결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분석에 관한 아마추어 독자로서 또한 홍준기 선생의 책을 통해 라깡의 대한 '환상'이 키워진 일인으로서 라깡 옹호에서 비판으로 입장이 변하게 된 소회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라캉을 전공한 이 중에 뉴욕 중심의 자아심리학(ego psychology)과 시카고 중심의 자기심리학(psychology)을 구분못하면서 비판하는 경우를 보았고,또 어떤 학자는 법륜 스님 스타일이 자아심리학적이라는 황당한 견해를 접하면서,홍 선생의 이 책이 이런 오류들을 바로잡아줄 수 있는 단비같은 존재라는 생각을 한다. 


한편 순수정신분석,정신분석적 심리치료의 구분은 전문가들 사이의 통념과는 다르게 설명한 부분이 있다.간단하게 말하면 정신분석,정신분석적 심리치료는 학파에 따른 임상으로 구분되는게 아니라 주당 세션 횟수와 강도로 나뉘어진다.통상 주4회 이상 세션의 집중적 임상을 정신분석이라고 하는데 비용과 시간,특히 비용 때문에 '정신분석'은 서민에게는 그림의 떡일 수 밖에 없다.이런 사정으로 정신분석 기법을 사용하되 궁여지책으로 횟수를 줄여 주1,2회 정도 상담하는 것을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정신과 의사들은 이를 '정신치료'라 부른다)라 한다.

그러니까 고전적 프로이트주의자와 라캉주의자가 하는게 정신분석이고 클라인주의자,자아심리학자,자기심리학자,대상관계자들의 작업이 심리치료라 표현하는 것은 오해를 불러일으킬수 있다.물론 홍 선생은 라캉주의자들이 그런 식으로 폄하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했지만 이미 개념이 굳어진 용어에 대해(동의를 하건 안하건) 다른 설명을 하는 것은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평소 몇년 간 라깡에 대해 궁금했던 부분이 약간은 풀렸고 이 책이 한국 라깡 수용사에 있어 하나의 비판적 초석이 되리라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깡과 아동정신분석 - 얼음 속에 갇힌 어릿광대 아난케 정신분석 총서 7
카트린 마틀랭 지음, 박선영 옮김 / 아난케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유일하게, 국내에 출간된 라깡 관련 서적 중 재미와 감동을 준 책.건조한 이론부터 수입되고 해설되기 바빠 도대체 개념들의 임상적 맥락을 알 수 없어왔던 그간의 상황,혹은 내 무지를 원망하던 차.대표적으로 남근과 팔루스의 '임상'적 상황을 이 책 홍준기의 추천글을 통해 처음 감 잡음.  
 

   다만 치료의 첫 접수면접부터 분석의 끝에 이르는 여정이 나와있지 않은게 큰 아쉬움.낸시 맥윌리엄스의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의 두 사례처럼 사례의 시작부터 말미까지 감동적으로 소개되어 있는 책은 한국의 라깡 임상 서적에서 거의 없다시피 함. 

   그나저나 이 책을 통해서도 느낀 것이지만 위니콧이라는 영국의 대상관계학파 정신분석가는 정신분석계의 '불멸의 연인'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에겐 보내지 않은 편지가 있다 - 정신분석학, 남녀의 관계와 고독을 이야기하다
대리언 리더 지음, 김종엽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사족: 

역자가 impulse 를 '욕동'으로 drive를 '충동'으로 번역했는데 거꾸로 된 번역으로 보인다.라깡주의자들 중에 drive 를 '충동','욕동'으로 번역하는 두 부류가 있는데(어떤 라깡주의자는 drive를 '충동'으로 번역하면 안된다고 주장함) 라캉학파를 떠나 기존의 정신분석,정신치료 수련해왔던 정신과 의사,심리사들에게는 '욕동'이 대세인 것으로 보인다.아마 역자는 drive를 충동으로 번역해버리니 impulse에서 어쩔 수 없이 욕동으로 번역한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캉과 정신의학 - 라캉 이론과 임상 분석
브루스 핑크 지음, 맹정현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족:  라캉 임상을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지만,정신분석을 하는 정신과 의사나 임상심리사가 보기에 걸리적거릴만한 부분이 보인다.역자 후기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라고 해명을 했지만서도.....

  psychotherapy의 종류가 한 두 가지가 아닌데,therapist 를 모두 분석가라고 번역하는 바람에 어떤 분석가는 꿈이나 환상을 다루지 않거나 부정적 전이를 기피한다는 의아한 해석이 나오기에 말이다.학파(자아심리학 학파,대상관계이론 학파,자기심리학 학파 등등)에 관계 없이 꿈,환상,전이는 정신분석 임상의 본령이 아닌가.

  그 점을 제외한다면, 내 나쁜 머리로 라캉 이해하기에는 우수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깽돌이 2010-06-30 2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애독자// 정신분석학사에 관한 글과 책들을 이미 읽었습니다만,기본적으로 정신역동적 접근을 하는 치료자,분석가들은 꿈,환상,부정적 전이를 다룹니다.아니라고 하는 주장은 이 책이 처음입니다.다루지 않는 학파가 어딘지 저도 궁금하군요.그리고 정신분석이라는 것도 심리치료 중 하나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