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시절 가장 가보고 싶었던 곳중 한곳이 다방이었다. 다방은 보통 2층에 위치했다. 좁고 경사가 급한 아두컴컴한 시멘트 계단을 따라 보이던 작은 문, 고등학교를 졸업하기전까지 그 앞을 지나며 흘낏 쳐다보던 그 길은 미지였고 선망이었고 동경이었다. 그리고 왠지 모를 두려움까지. 그 당시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이란 소설 제목을 떠올리면 정류장옆 2층의 <솔다방>으로 들어가던 그 어두컴컴하던 계단이 떠오르곤 했다.
1. 개구장이의 시절
국민학교 시절 콩알탄이 있었다. 지금은 가물가물하지만 아마도 [ 건드려도 터지고 밟아도 터지고 던져도 터진다 ]는 글이 포장지에 적혀있었던것 같다. 다방으로 들어가는 그 계단 하나하나에 콩알탄을 두어발씩 놓아두고 누군가 밟기를 고대하며 기다리곤 했다. 짧은 비명과 뒤섞인 폭음소리에 즐거운 웃음을 터뜨리며 달아나곤 했다. "요놈들~" 하고 소리치며 뽀족구두 소리를 "따닥따닥" 내며 따라오던 아가씨를 뒤로하고 우리는 학교로 혹은 집으로 달아나곤 했다. 누군가 한번 잡힌 적이 있는데 꿀밤 몇대와 더불어 풍선껌을 받았다. 잠시 나도 잡혀볼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한번도 잡힌적은 없었다. 아마도 고향에 두고온 막내동생을 떠올리고 화를 속으로 죽이며 가벼운 꿀밤 몇대와 풍선껌을 건네주었던 것은 아닌가 싶다.
2. 학창 시절
나이를 좀더 먹으면서부터는 그런 장난은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지나가다 2층 창문을 흘낏 흘낏 처다보면 창문밖으로 빠알간 립스틱을 바른 아가씨들이 보이곤 했다. 그리고 눈이라도 마주치면 " 학생들! 커피 한잔 하고 가!" 라고 웃으며 소리치곤 했다. "공짜로요?"라는 우리들의 목소리에 서로 그냥 웃을뿐이었다. 그리고 다시 먼산을 바라보곤 했다. 하교시간 교복을 입고 그들앞을 우루루 지나가던 우리를 자주 쳐다보곤 했다. 아마도 학업을 뒤로 하고 돈을 벌기 위해 뛰어든 그 곳에서 이제는 자신의 추억이 될수 없는 교복을 참 많이 원망도 하고 부러워도 했던것은 아닌가 싶다.
3. 졸업후
대학을 들어간후 고향에서 만나는 친구들과 바로 그 다방에서 약속을 한 적이 몇번 있다. 벽 한켠을 차지한 커다란 그림 몇점, 레코드 판에서 울려퍼지는 지나간 유행가 몇소절, 담배불 자국이 몇개씩 남아있는 소파, 작은 나무 탁자, 둥그런 통성냥, 군데군데 태워진 재떨이, 하얗고 야트마한 크림잔과 각설탕 몇개... 두근거리며 처음 들어간 그곳은 우리의 선망과 동경을 채우기에는 이미 너무 낡아버린 느낌이었다. 그렇게 몇차례 약속을 위해 들리고는 다시는 가지 않게 되었다.
4. 그리고 지금
그때 이후 다방을 간 기억은 없다. 일부러 피한것은 아니지만 다방을 약속장소로 잡거나 커피를 마시러 다닌 경험은 없다. 지금도 고향에 들러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도중 고향의 변화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언덕위의 천주교 성당, 6.25당시 지어진 수용소로 칭하여지던 판자집 동네의 골목길, 가장 오래된 하얀 등대, 갑판으로 얼음을 나르고 부수던 옛 얼음파쇄기, 국민학교 운동장에 자리한 백년이 넘은 향나무....그리고 정류장 한켠 2층에 자리한 <솔다방>. 어느새 고향의 한 귀퉁이를 자리한 곳이 되고 말았다. 간판도 창문위에 덧붙인 그림도 낡어버렸지만 기억속 고향의 한 모습으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