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타


-신경림-


낙타를 타고 가리라, 저승길은

별과 달과 해와

모래밖에 본 일이 없는 낙타를 타고.

세상사 물으면 짐짓, 아무것도 못 본 체

손 저어 대답하면서,

슬픔도 아픔도 까맣게 잊었다는 듯.

누군가 있어 다시 세상에 나가란다면

낙타가 되어 가겠다 대답하리라.

별과 달과 해와

모래만 보고 살다가,

돌아올 때는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사람 하나 등에 업고 오겠노라고.

무슨 재미로 세상을 살았는지도 모르는

가장 가엾은 사람 하나 골라

길동무 되어서.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사람 하나, 가장 가엾은 사람 하나 길동무 되어 별과 달과 해와 모래밖에 본 일이 없는 낙타를 타고 저승길 떠나셨네요. 영면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의 처지는 나의 의식만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나를 대하는 다른 사람의 의식도 규정하였다. -p62-


그래도 프랑스에는 사회적 연대라는 가치가 있기 때문에 한국과 다르오.한국은 가족간의 우애라든가 이웃간의 정, 윗세대에 대한 존경 등의 전통가치는 허물어지고 있는데 사회연대라는 가치는 아직 형성되지 않았어요. 그 비어 있는 가치관에 돈이 자리를 차지했고 또 헤게모니를 쥐게 된 거라고 나는 생각해요. -p130-


인간이 모두 똑같이 태어나지 않기 때문에 평등 개념이 창안되어야 했던 것이며, 인간이 모두 같은 이데올로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인권 개념이 창안되었어야 했던 것입니다. -p210-


똘레랑스는 역사의 교훈입니다. 똘레랑스는 극단주의를 외면하며, 비타협보다 양보를, 처벌이나 축출보다 설득과 포용을, 홀로서기보다 연대를 지지하며, 힘의 투쟁보다 대화의 장으로 인도합니다. 그리고 권력의 강제로부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합니다. -p308-


-----------------------------------------------------------------------------------------------

홍세화 선생의 부음을 접하고 책꽂이를 찾아 보니 세권의 책이 이십년의 세월을 가만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를 꺼내어 들춰보니 그 시절의 나는 저 구절에 밑줄을 치며 그의 글에 심취해 있었구나 싶다. 실천적 진보 지식인들이 이제 하나 둘 세상을 떠나간다. 당신들이 남긴 글과 삶을 통하여 꿈은 이어질테니...영면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밥에는 낚싯바늘이 들어 있다. 밥을 삼킬 때 우리는 낚싯바늘을 함께 삼킨다. 그래서 아가미가 꿰어져서 밥 쪽으로 끌려간다. 저쪽 물가에 낚싯대를 들고 앉아서 나를 건져올리는 자는 누구인가. 그 자가 바로 나다. 이러니 빼도 박도 못하고 오도 가도 못한다. 밥 쪽으로 끌려가야만 또다시 밥을 벌 수가 있다 -p71-









밥에는 대책이 없다. 한두 끼를 먹어서 되는 일이 아니라, 죽는 날까지 때가 되면 반드시 먹어야 한다. 이것이 밥이다. (...중략...) 나는 밥벌이를 지겨워하는 모든 사람들의 친구가 되고 싶다. 친구들아, 밥벌이에는 아무 대책이 없다. 그러나 우리들의 목표는 끝끝내 밥벌이가 아니다. 이걸 잊지 말고 또다시 각자 핸드폰을 차고 거리로 나가서 꾸역 꾸역 밥을 벌자. 무슨 도리 있겠는가. 아무 도리 없다. -p37-







-----------------------------------------------------------------------------------------------

도리 없음을 알면서도 꾸역꾸역 해야하는 살아있음의 구체성인 밥! 김훈이 말하듯 밥은 무엇보다도 긍정되어야 하고 무시되지 말아야 하는 것이지만 생존의 가장 기초인 밥마저 스스로의 입질을 유도하는 낚싯 바늘을 품고 있다는 것은 너무 가혹한 일이다. 노동을 강요하고, 더 일하라고 부추기는 사회에 대해 우리의 목표는 끝끝내 밥벌이가 아니다 라는 냉철한 통찰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행을 무기로 상대방을 지배하려고 해. 자신이 얼마나 불행하고, 얼마나 괴로운지 알림으로써 주변 사람들-이를테면 가족이나 친구-을 걱정시키고, 그들의 말과 행동을 속박하고 지배하려 들지. 첫날 말했던, 집에 틀어박혀서 지내는 사람들은 곧잘 불행을 무기로 하는 우월감에 빠지네. 아들러가 “오늘날 연약함은 매우 강한 권력을 지닌다”라고 지적했을 정도야. -p103-


나는 옳다, 즉 상대는 틀렸다. 그렇게 생각한 시점에서 논쟁의 초점은 ‘주장의 타당성’에서 ‘인간관계의 문제’로 옮겨가네’ 즉 ‘나는 옳다’는 확신이 ‘이 사람은 틀렸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고, 궁극적으로는 ‘그러니까 나는 이겨야 한다’며 승패를 다투게 된다네. 이것은 완벽한 권력투쟁일세. -p123-


타인에게 잘 보이려고 남들의 시선에 신경을 쓰는 걸세. 그것은 타인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자기에 대한 집착이나 다름없지. (중략) ‘남에게 어떻게 보이느냐’에만 집착하는 삶이야말로 ‘나’이외에는 관심이 없는 자기중심적인 생활양식이라는 것을.-p211-


-------------------------------------------------------------------------------------------------

내가 생각하는 미움과 저자가 말하는 미움은 그 의미가 다르다. 나의 미움은 어리석고 그의 미움은 정당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일 시인이 사전을 만들었다면


-류시화-


만일 시인이 사전을 만들었다면 

세상의 말들이 달라졌으리라 

봄은 떠난 자들의 환생으로 자리바꿈하고 

제비꽃은 자주색이 의미하는 모든 것으로 

하루는 영원의 동의어로 


인간은 가슴에 불을 지닌 존재로 

얼굴은 그 불을 감추는 가면으로 

새는 비상을 위해 뼛속까지 비우는 실존으로 

과거는 창백하게 타들어 간 하루들의 재로 

광부는 땅속에 묻힌 별을 찾는 사람으로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그 사람 가슴 안의 시를 듣는 것 

그 시를 자신의 시처럼 외우는 것 

그래서 그가 그 시를 잊었을 때 

그에게 그 시를 들려주는 것 


만일 시인이 사전을 만들었다면 

세상의 단어들이 바뀌었으리라 

눈동자는 별을 잡는 그물로 

상처는 세월이 지나서야 열어 보게 되는 선물로 

목련의 잎은 꽃의 소멸로 

죽음은 먼 공간을 건너와 내미는 손으로 

오늘 밤의 주제는 사랑으로


시인은 그의 다른 시를 통해 "사물들은 저마다 시인을 통해 말하고 싶어 한다"라고 적고 있다. 사물이 품고자 하는 원초적 본질과 드러내고자 하는 언어의 본성을 볼 수 있는 이들이 시인이다. 그래서 그들이 들려주는 언어 속에는 우리가 잊고 살았던 사물의 신비가 담겨져 있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