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 독살사건 - 조선 왕 독살설을 둘러싼 수많은 의혹과 수수께끼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이라는 것은 그 대상이 누구이냐를 불문하고 주위 사람에게 안타까운 마음을 갖게 한다. 천수를 누리고 세상을 떠나도 아쉬움이 남겠지만, 하물며 제 명을 못 누리고 사고로 세상을 떠나면 그 안타까움은 그 대상이 일반인이라고 할지라도 클진대. 한 나라를 지배하는 왕이 의문스럽게 갑자기 비명횡사한다면 어떨까? 이 책에는 그렇게 의문을 남긴 채 죽어간 조선의 왕들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우리는 흔히 역사를 학교에서 배우는 국사를 통해서 배운다. 그 국사라는 과목은 왕의 업적을 열거하고 있을 뿐, 실질적으로 왕에 대해서 고찰하지 않는다. 국사 교과서 안에서는 그저 왕이 죽으면 새로운 왕이 즉위하는 모습만 그려진다. 몇 몇 특수한 경우(예를 들어 반정)를 제외하고는 왕이 어떻게 죽었는가에 대한 설명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이런 역사를 돋보기로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떨까? 어디선가 조선 시대의 왕들이 영양의 섭취는 많이하고, 그에 반해 운동은 하지 않아 성인병에 걸려서 죽는 경우가 많았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하지만, 그렇게 자신이 초래한 죽음도 있지만, 자신이 하려고 하는 일을 미처 다 끝내지 못하고 죽은 왕들도 많다.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국제정세를 익히고 돌아왔으나 아버지의 의심을 사 죽게 된 소현세자, 북벌론을 펼쳤던 효종이나 당쟁 속에서 개혁을 하려고 했던 정조와 같은 임금이 바로 그 예이다.

  이 책 표지에는 조선시대 왕들 4명 중 1명은 독살설에 휩싸였다고 쓰여져있다. 왜 유독 조선시대에 독살설이 많이 붉어져나왔는지는 책의 제일 뒷 부분에 따로이 설명되어 있었다. 간략히 말하자면 , 특정 정당이 특정 임금과 정치적 갈등이 극대화되었을 경우 임금을 갈아치우는 것을 해결책으로 선택하지 않았는가 하는 것, 그리고 임금이 절대적인 충성을 받는 존재가 아니라 한 정당이 선택할 수 있는 상대적인 존재였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유였다. 책을 읽다보면 조선시대의 사대부들은 자신들이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들이고, 임금은 단지 사대부보다 한 등급 위에 있는 사대부일 뿐이라는 인식이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흔히, 조선을 절대 군주의 국가라고 생각하는데, 이와는 전혀 다를 수도 있다는 것임을 느낄 수 있었다. 왕이 전지 한 장을 쓰기 위해서 신하를 어르고 달래는 모습은 내가 가지고 있던 편견을 여지없이 부수어주기까지 했다.

  조선이라는 나라는 확실히 임진왜란 이후로 변질되었고 이미 망한 나라라고 볼 수도 있다.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 휩싸여 임금과 협력하여 나라를 잘 다스려가기보다는 자신의 당 내의 신념을 관철하고 패거리문화를 만들어 내는 모습은 인상을 찌푸리게 했다. (이런 모습은 오늘 날 정치판과 어찌나 유사하게 보이던지.) 성리학이라는 이념은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더 폐쇄된 학문으로 변질되고, 다른 학문은 그 학문이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배척한다. 성리학적인 명분을 관철하면서, 왕에게 죽음을 선사한 사대부들. 이 책은 그들을 다시금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오직 자신들이 살기 위해서 자신과 다른 이념이나 사람들을 배척하는 모습. 그렇게 조선은 죽어갔던 것이다.

 전체적으로 왕의 죽음만을 단순하게 다룬 것이 아니라 대윤과 소윤, 예송논쟁 등의 굵직한 역사적 사건을 쉽게 풀어가고 있어서 이해하기 쉬웠다. 서인과 남인, 노론과 소론의 오랜 힘겨루기를 보면서 가슴이 답답해짐을 느꼈고, 한 나라의 왕이었기때문에 갖가지 음모에 시달린 왕들의 모습에서는 왠지 안타깝게 느껴졌다. 만약 그들이 그들의 계획을 실천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고 있었더라면, 조선과 현재의 대한민국은 좀 더 긍정적인 모습을 가지게 되지 않았을까?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영엄마 2005-11-21 15: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매지님~ 리뷰 당선 축하드립니다.^^(알라딘 메인화면 오른쪽에 나오던데 이주의 리뷰 발표에는 아직이라...)

이매지 2005-11-21 15: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엉엉엉. ㅜ_ㅜ 저도 살다보니 이런게 다 되는군요.
아영엄마님께서 알려주신 덕분에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라주미힌 2005-11-21 15: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아...
이매지님 대단.. ^^
온갖 레포트에 시달리면서도 챙길건 챙기시는... 축축..

이매지 2005-11-21 15: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라주미힌님은 저번에 그 리뷰대회에서 상금 타셨잖아요 ! 버럭! ㅋ

비로그인 2005-11-21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합니다.

울보 2005-11-21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립니다 이매지님,,

이매지 2005-11-21 1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분 모두 감사합니다 ^-^

이리스 2005-11-22 17: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오~ 축하드립니다. ^^

이매지 2005-11-22 1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 이히히.

oldhand 2005-11-23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축하가 늦었습니다. 저 이 책 어제 주문 했는데.. ^^

이매지 2005-11-23 1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드핸드님의 리뷰도 기다릴께요^-^;
저 개인적으로 괜찮게 본 책인데, 올드핸드님은 어떠실까 궁금해지네요^-^

하늘바람 2005-11-26 0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늦었지만 축하드려요

이매지 2005-11-26 0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끄럽사옵니다 *-_ -*

비연 2005-11-26 1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

이매지 2005-11-26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연님 감사합니다^-^*

글샘 2005-11-27 1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습니다.
역사엔 '만약에'가 안 통한다지만, 조선 역사를 읽다 보면, 정말 효종과 정조는 아까운 대목이지요.

이매지 2005-11-27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효종과 정조가 좀 더 오래살았더라면, 확실히 조선은 다른 모습의 국가가 되었겠지요. 안타까워요.

마늘빵 2006-05-11 14: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 나도 한참 한참 늦었지만 축하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