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은 내가 대학생이 된 해이다.
그해 겨울이었나, 이 영화 <아마데우스>가 국내에서 개봉되었고, 대학 입시 직전까지 내게 피아노 레슨을 해주시던 피아노 선생님께서 오랜만에 얼굴 한번 볼겸 이 영화를 같이 보자고 연락을 해오셨다.
모짜르트에 관한 전기 영화 쯤으로 생각했던 나는 이 영화가 시작된 순간부터 전율했고, 그 상태 그대로 긴 상영 시간 동안 딴 생각 한번 없이 몰입해서 보았다. 그리고, 이후로 오랫 동안 내 인생 질문이 된 물음을 품게 되었다. 살리에리가 아마데우스를 보며 하늘을 향해 신을 향해 퍼부었던 그 질문 때문이다.
"신은 어차피 몇 사람의 천재에게만 재능과 은총을 내려주었다. 나 같이 그 재능과 은총을 타고 나지 못한 사람은 그저 평범한 사람일 뿐이다. 아무리 노력해도, 내 정신과 영혼을 다 바친다해도, 절대 타고난 천재를 이길 수가 없다. 이렇게 불공평할 수가 있는가. 살아야 할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1년 전 나의 대학 입시는 나 자신은 물론이고 그동안 나에게 과도한 기대를 걸고 있었던 부모님에게 커다란 실망만 안겨 주었었다. 나는 마치 죄인이라도 된듯 의기소침해서 대학 생활을 시작했고 대학1년생이었던 그 당시 나는 아마데우스라는 영화에서, 살리에리의 그 고뇌가 직격탄이 된 셈이다.
나는 어차피 두뇌형은 아니고 노력형, 평범한 아이에 지나지 않음을 대학 입시 결과로서 만천하에 드러내었고,
노력은 노력대로 했지만 결과가 잘 안나오는 애, 해도 잘 안되는 애였던 것이다.
앞길이 창창한 스무살이라는 나이에 나는 목표를 세우는 것도, 새로운 대학 생활을 즐기는 것도 다 싫었다. 머리 스타일도 고등학교때 그대로, 옷도 그대로, 학교 수업과 집 사이만 왔다 갔다 하며, 가만 가만 숨만 쉬며 살았다.
어차피 이 세상은 소수의 뛰어난 사람들에 의해 결정되고 움직이게 되어 있고, 나머지 평범한 사람들은 그저 들러리일뿐. 그냥 슬렁 슬렁 살아가나, 죽어라 노력해서 잠깐씩 만족감이나 얻는 맛에 살아가나, 무슨 차이일까. 무슨 의미일까.
이후로 살아가면서 뭔가 장벽에 부딪힐때마다 나는 그 질문을 떠올리며 자신을 깎아 내렸다. 즐거울 수 있는 일 앞에서도 즐겁지 않았다. '다 무슨 의미란 말인가' 하면서.
어디서도 답을 찾지 못한 채 시간은 흐르고, 그렇게 나이는 먹어가고.
그런데 최근에 어떤 천재 피아니스트의 연주 장면을 보다가 오랜만에 다시 그 질문을 떠올렸고, 한동안 내가 그 질문을 하지 않고 살고 있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나름 대로의 답을 찾았기 때문이다. 평범한 사람도, 타고난 천재가 아니라서 평생을 노력해도 닿을 수 없는 목표를 가지고 사는게 옳은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을. 답을 찾았다기 보다 아마 내 나름대로 정했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삶은, 목표에 도달했느냐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거기까지 가는 과정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 라고.
신이 계시다면 저 인간이 결과적으로 얼마나 대단한 업적을 이룬 삶을 살았는가, 목표까지 성공적으로 도달한 인생을 살았는가, 그것을 보는 것이 아닐 것이라고.
꿈을 꾸고 좌절하고, 울고 웃고, 절망하고 다시 일어서고, 신을 원망하고 다시 뉘우치고, 그렇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는 그 모습을 대견해하시지 않을까. 인생의 의미는 도착점이 아니라 그 과정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정확히 언제부터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나도 모른다. 그저 나이가 주고 간, 시간이 주고 간 가르침이 아니었을까.
사실, 저 시대 살리에리도 평범한 보통 인물은 아니었다. 모짜르트와 비교당해서 덜 인정을 받았을 뿐이지 아무나 성취할수 없는 음악의 수준에 있던 사람이었으니까.
당분간 나는 나의 답을 믿으며, 더 좋은 답을 찾게 될지도 모를 그 날을 향해, 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