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집'에 있어도 

'집'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For those who are looking for

'home' even if there is 'house'


시집을 펴자마자 보게 되는 이 문장과 비슷한 대목이 시 '멜버른에서 온 편지'에 나온다.


난 집에 있으면서도 집에 가고 싶다고 말해

왜냐면 여기가 내 집이 아니거든

근데 이젠 서울에도 내 집이 없어

우리 가족끼리도 다 뿔뿔이 흩어져 살잖아 웃기지?

이제 내가 가고 싶은 집은 없어 과거에 존재할 뿐이야.



집에 돌아가지 않기로 했다.

그곳이 볕이 아닌

빛이 드는 곳이라고 해도.


이런 시인의 말도 들어가 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스위트 홈에 대한 로망은 '행복'에 대한 염원만큼이나 추상적이고 일시적인 느낌일뿐, 그것이 살아가는 목표 자체가 될 수는 없다는 생각이다.

집에 돌아가지 않기로 했다는 시인의 말은 집에 대한 로망을 내려놓겠다는 뜻이 아닐까. 난 그렇게 읽었다.



우리는 가만히 누워

티브이 속 다른 가족의 웃음소리에 귀 기울였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았다 


-'플라스틱 하우스' 중에서-


그래, 이것인지도 모르지. 이제 누가 행복에 대해서 물으면 이 싯구절을 인용해서 대답할까보다.

행복은 누군가와 티브이 속 다른 가족의 웃음소리에 귀기울이는 것, 그 시간이라고.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네 죄가 내 죄가 되는 그런 삶은 더는 싫어 


-'어쩌면 우리에게 더 멋진 일이 있을지도 몰라' 중에서-


네 죄가 내 죄가 되고, 내 기쁨이 네 기쁨이 되기도 하는, 그런게 가족이라고 옛날에 학교에서 그렇게 배웠던가?

아니다. 네 슬픔이 내 슬픔이라고는 했을지언정 네 죄가 내 죄가 되는 것이라고는 안 했었지.


이 시집은 다 읽고도 책꽂이로 자리잡아 가지 않고 아직까지 내 책상 손닿는 곳에 두고 자주 들춰보고 있는 책 중의 하나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alstaff 2024-11-21 2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 읽고도 아직 책상 손닿는 곳에 두고 자주 들춰보고 있는 책˝
흠. 읽어봐야겠습니다.이것 참, 관심 솟는 걸요!

hnine 2024-11-21 20:12   좋아요 1 | URL
Falstaff님도 좋아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아내와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그리고 살뜰한 부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그 어느 바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매이었다.

바로 날도 저물어서, 

바람은 더욱 세게 불고, 추위는 점점 더해 오는데,

나는 어는 목수네 집 헌 샅을 깐, 

한 방에 들어서 쥔을 붙이었다.

이리하여 나는 이 습내 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낮이나 밤이나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 같이 생각하며,

딜옹배기에 북덕불이라도 담겨 오면,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우에 뜻 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또 문 밖에 나가디두 않구 자리에 누어서, 

머리에 손깍지 벼개를 하고 굴기도 하면서,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 처럼 연하여 쌔김질하는 것이었다.

내 가슴이 꽉 메어 올 적이며, 

내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일 적이며, 

또 내 스스로 화끈 낮이 붉도록 부끄러울 적이며,

내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 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그러나 잠시 뒤에 나는 고개를 들어, 

허연 문창을 바라보든가 또 눈을 떠서 높은 턴정을 쳐다보는 것인데,

이 때 나는 내 뜻이며 힘으로, 나를 이끌어 가는 것이 힘든 일인 것을 생각하고, 

이것들보다 더 크고, 높은 것이 있어서, 나를 마음대로 굴려 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인데,

이렇게하여 여러 날이 지나는 동안에, 

내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 한탄이며, 가라앉을 것은 차츰 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외로운 생각만이 드는 때 쯤 해서는,

더러 나줏손에 쌀랑쌀랑 싸락눈이 와서 문창을 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나는 이런 저녁에는 화로를 더욱 다가 끼며, 무릎을 꿀어 보며, 

어니 먼 산 뒷옆에 바우 섶에 따로 외로이 서서, 

어두어 오는데 하이야니 눈을 맞을, 그 마른 잎새에는,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눈을 맞을,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백 석,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 (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























외로운 감정을 이렇게 잘 표현했을 수가 있나.

누구도 흉내낼 수 없을 시.



가끔 가다 꺼내서 펼쳐 읽는 백석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욕심 자식욕심 두루두루 많아서 논농사 자식농사 많이 짓고 많이 생산하여서 늘그막에 보람 크신 검바골 대모 고향 가서 뵐 적마다 눈에 띄게 검불머리 흰머리 늘어가지만 마음은 언제나 대숲으로 살아 일에 게으른 젊은것들에 회초리 되고 귀감이 되는 검마골 대모 그 대모 보면 사 년 전 간경화에 두들겨 맞고 쓰러져 끝내 못 일어나신 울엄니 생각이 나서 눈시울 붉어진다 대모와 살아생전 울엄니 사시사철 이웃하고 사시면서 일 년이면 열댓 차례씩 병아리처럼 토닥토닥 잘도 싸우고 그 사이사이에 금세 변덕도 심해 금슬 좋은 부부로 살아온 세월이 부지기수다 대모의 맏이인 찬범아저씨 서울 가서 큰 공부 마치고 은행원으로 취직된 것이 우리 동네 제일로 큰 자랑이었는데 울엄니 다섯 마지기 자갈논으로 여섯 형제 가운데 맏이와 셋째를 높은 공부 시켜 놓으니 시샘 난 대모 그걸 못 참아 틈만 나면 시비 붙고 쑥덕공론 심하여 울엄니와 대판거리해대는 식이었다 한번은 맏이의 가을 학기 등록금 기일 내에 납부 어려워 전전긍긍 울엄니 며칠을 전전반측하다가 염의 버리고 대모 찾아가 통사정 목 놓았다는데 그 대모 벽장 속 깊이 감춰돈 목돈 꺼내 침 발라 센 후 "돈 썩어도 이 돈 못 빌려준다" 면박을 줘서 그 길로 득달같이 달려와 이불 뒤집어쓰고 "독한 놈의 여편네 징한 여편네" 치미는 울화 욕으로 달래던 엄니 그 일 끝 내 못 잊고 괴로와하다 저세상 가기 두 달 전 문병 오신 대모의 소똥 같은 눈물이 여윈 볼 흥건히 적셔놓으니 그제서야 노여움의 벽 허물어 대모의 손 굳게 잡았다 그리하여 두 달 후에는 뚝 끊었던 대모의 발걸음 하루가 멀다 하고 우리 집 들러 집 안팎 살림살이 당신 일로 삼아서 챙겨주시니 살아생전 울엄니 잔소리가 밤낮없이 무꽃으로 펴서 웃고 있다고 어쩌다 고향 챙기면 검바골 대모 내 손에 감이며 대추 혹은 토실한 알밤 넣어주시며 한참을 먼산 바라 눈물 글썽이신다



-  이 재무 <검바골 대모> 전문 -




시인의 어머니는 4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셨다. 시 중에 나오는 맏이는 육남매의 장남인 시인 자신을 가리킨 듯.


소설 같은 시, 소설보다 좋은 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속버스를 타고 어딜 갈때 가방 속에 챙겨가는 책으로 시집을 들고 갈때가 많다. 무겁지 않기 때문이다.

며칠 전에 구입한 이소호 시인의 <홈 스위트 홈>을 버스 안에서 읽으며 서울까지 갔다.

시인의 본명은 이경진. 2014년 시인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면서 이경진 대신 이소호가 탄생하였다.


이날, 이 시집 아니어도 웬지 서울가는 길은 울적했고 그런 참에 내 손에 잡힌 이소호의 시들은 읽는 대로 바로 바로 이해가 되었다. 시가 이렇게 쉽게 이해가 되어도 돼?












여전히 하나구나 우리는.




(사진이 흔들린게 아니라 원래 이렇게 되어 있음)



엄마가 가르친 것이 그런 것이었어.

엄마 자신은 알았을까?









가족 안에는 사랑도 있고 연대감도 있고 동정도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사랑을 가장한 억압도 있고, 평등처럼 보이는 불평등도 있으며, 균형을 위한다면서 더 커지는 불균형도 있다.

늘 스위트 할 수 만은 없다.







스위트 홈은 마치 유토피아 같은 것.



다 읽고 나니 이젠 시보다 시인이 더 궁금해진다.





https://blog.aladin.co.kr/hnine/11814349


예전에 올렸던 글이 생각나서 링크 걸어둔다.

박제영 시인의 <식구>라는 시집이었고, 진은영 시인의 시집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도 인용을 했었다.

물론 이소호의 시집은 이 둘 어느 시집과도 다른 느낌과 메시지를 주는 시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봄에 피는 꽃이 한둘이랴마는

나는 이 꽃을 봐야 봄을 지냈다 싶다




지난 주 낙안읍성에서 본 할미꽃이다.



매년 봄이면 다시 들춰보는 시집으로 고영민의 시집 <공손한 손> 과 유영금의 시집 <봄날 불지르다> 가 있다.




    




































이번에도 이 시집을 꺼내다가 이번엔 옆에 꽂혀 있는 오태환의 시집을 대신 꺼내보게 되었다. 아마 시집 제목때문에 눈이 갔나보다. <복사꽃, 천지간의 우수리>
























오태환의 시는 우리 말의 숲속을 헤치며 걷는 기분으로 읽는다.

숲속을 뛰어가지 않고, 빠른 걸음도 아니며, 두리번 두리번 덩굴 헤치며 나가듯 읽어야 한다. 겨우 헤쳐나가야 한다. 언어 감각이 거의 묘기에 가깝다고 해야할까.







너밋골 달빛





하릅강아지 누렁강아지 귀때기처럼 돋는 달빛


양지머리 뒷사태 근 (斤) 가웃 맑은 국거리로 한소끔씩 뜨는 달빛


으슥한 도린결 도린결만 뒤지고 다니는 따라지 달빛


마른 장마 맞춰 벼르다 벼르다 듣는 감또개 같고 감꽃 새끼 같은 달빛


잘 잡순 개밥그릇이나 설거지하듯 살강살강 부시는 달빛






여기서 '감또개'는 꽃과 함께 떨어진 어린 감, '도린결'은 사람이 별로 가지 않는 외진 곳. '가웃'은 어떤 분량의 반 정도 양. 근 가웃이라고 했으니 양지 머리나 뒷사태 반근 정도 분량으로 끓인 맑은 국이라는 뜻일 것이다. 

네째 행의 '벼르다'는 방울져 떨어진다는 뜻.

달빛도 빛이되 몇 룩스의 밝기로 강렬하게 어두운 곳을 드러내게 하지 않고, 이렇게 있는 듯 없는 듯 하면서도 구석 구석 우리 눈에 잘 안띄는 곳으로 스며드는 빛이다



이왕이면 책 제목이 된 시도 읽고 넘어가야지 싶어.





복사꽃, 천지간의 우수리




삐뚜로만 피었다가 지는 그리움을 만난 적 있으신가 

백금 (白金)의 물소리와 청금 (靑金)의 새소리가 맡기고 간 자리 연분홍의 떼가, 

저렇게 세살장지 미닫이문에 여닫이창까지 

옻칠경대 빼닫이서랍까지 

죄다 열어젖혀버린 그리움을 만난 적 있으신가

맨살로 삐뚜로만 삐뚜로만 저질러 놓고, 

다시 소름같이 돋는 참 난처한 그리움을 만난 적 있으신가

발바닥에서 겨드랑이까지 해끗한 달빛도 사늘한 그늘도 없는데, 

맨몸으로 숭어리째 저질러 놓고 

호미걸이로 한사코 벼랑처럼 뛰어내리는 애먼 그리움, 

천지간의 우수리, 

금니 (金泥)도 다 삭은 연분홍 연분홍떼의





(원문은 행의 구분이 없다)


죄다열어젖힌 그리움, 소름같이 돋는 참 난처한 그리움이라고 할 만큼 복사꽃은 숨어서 필 수 없는 꽃, 무리 지어 만발하여 자태를 드러내고야 마는 꽃이 아닐까 한다. 숭어리째 저질러 놓듯 피어 드러내는 꽃.

다만, '호미걸이로 한사코 벼랑처럼 뛰어내리는' 이란 구절의 뜻을 확실히 알수 없어 읽어보고 또 읽어보고 있다.


물소리는 백금, 새소리는 청금이란다. 이왕 금에 비유를 했으니 복사꽃도 금과 연관을 지어 마무리 했나보다. 마지막 연 '금니도 다 삭은' 이라고 했다.




당신의 봄엔 무엇이 있는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실 2023-04-30 09: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제 봄이 되면 이천 ‘화담숲‘이 생각날듯 합니다.
올 봄엔 두번 다녀왔거든요.
자작나무 새잎이랑, 수선화가 어찌나 곱던지요.
hnine님께 화담숲도 추천합니다.
앗! 시는 생각안나요.ㅎㅎ

hnine 2023-05-01 00:04   좋아요 2 | URL
화담숲은 들어만보고 가보진 못했어요. 올봄에만 벌써 두번 다녀오셨다고요. 저도 꼭 기회를 만들어보아야겠네요.
고영민 시인과 유영금 시인의 시집은 제가 다른 포스팅에서도 아마 소개했을거예요.
오태환 시인의 시들은 언어의 향연이라고 할 수 있지요. 저도 추천드릴께요.

Jeremy 2023-05-01 09: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할미꽃 생각보다 너무 예쁜데요.
hnine 님, 시집 많이 읽으시는군요.
페이퍼에 언급해주신 시집들 둘러봅니다.
제가 한국소설책 표절 사건 이후로는 거들떠도 안 보면서
한국 시집도 관심을 끊었는데 올려주신 시들은 너무 좋네요.
봄은 역시 시인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계절인가 봅니다.

hnine 2023-05-01 12:03   좋아요 2 | URL
할미꽃은 피어도 일부러 찾지 않으면 눈에 잘 안띄더라고요. 키도 작고 색도 튀지 않고 꽃은 금방 저렇게 하얀 수염이 되어 버리고요. 할미꽃의 학명을 보면 종명이 koreana 인것도 특별하지요.
시집은 일부러 읽는다기 보다 그냥 좋아서 읽고 있네요. 다른 문학 장르와 구별되는 어떤 특별한 점이 있어서 어떤 시 한줄에서 책 한권 읽은 것 같은 깨우침을 얻기도 하고요, 저도 갖고 있던 무형의 생각을 어떤 시인은 이렇게 그들의 언어로 유형화 시키는구나 라고 알게되는 놀라움과 기쁨도 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