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잘 넘어진다면


잘 일어나기라도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세상에 없는 세가지





"이 세상에 없는 것 세가지"

라는 제목의 글을 유튜브에서 보았다.

거기서 말하는 이 세상에 없는 것 세가지는

정답, 공짜, 비밀

이라고 했다.


앞의 두개, 정답과 공짜에 대해서는 나도 100% 동의.

그런데 나보고 꼽으라면 비밀보다 대신 '최고'를 넣고 싶다.


즉, 이 세상에 없는 것 세가지는

정답,

공짜,

그리고 최고


최고에 이르고 싶은 마음이 있을 뿐.

완벽에 가까워지고 싶은 마음이 있을 뿐.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21-12-11 15: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스포츠도 그렇고 다른 분야에서도 최고, 가 나왔다 싶으면 더 최고인 사람이 나올 수 있으니
저도 최고, 는 없다는 것을 지지합니다.
비밀은... 글쎄요, 비밀은 있을 것 같네요. 모든 일이 공개되지는 않으니까요.

이런 게 생각나네요. 이 세상에서 감출 수 없는 것 두 가지는?
사랑, 재채기, 라고 합니다.

재밌게 읽고 갑니다. ^^

hnine 2021-12-12 05:12   좋아요 0 | URL
이 세상에 비밀이란 없다고 하는 것보다 최고 완벽이란 없다는 말에 더 공감하고 싶어하는 제 심리가 작용했겠지요.
일단 어느 단계가 최고이고 완벽인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 조차 사람에 따라 다 다르니까요. 인간이 완벽에 이를 수 있다면 굳이 신이라는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았을 수도 있겠고요.
오늘도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책읽는나무 2021-12-11 16: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호....명언입니다.
최고도 없다!!도 맞는 말씀예요.
.....저도 없는 것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고 있는데 막상 떠오르는 게 없네요??ㅜㅜ
이런 문제를 내고, 정답을 맞출 수 있는 건, 센스도 있어야 겠지만 연륜의 깊이감도 있어야 겠군요~^^

hnine 2021-12-12 05:18   좋아요 1 | URL
0과 1 사이에 몇개의 수가 있을까, 중학교 수학 시간에 처음 접한 그 신기하고 낯선 세계가 갑자기 생각나네요.
최고에 이르려는 노력으로 인생 대부분의 시간이 채워졌다면 헛된 인생을 살지는 않았겠다고 할 수 있겠지만 최고가 되지 못했다고 좌절하고 절망하고 실패감을 느끼지는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불완전하고 계속 배워가는 것이 인간이고 인간적이고, 거기에 의미를 두고 사는게 나을 것 같아서요.

scott 2021-12-24 1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
에이치 나인님
건강 행복 가득
🎄 ℳ𝒶𝓇𝓇𝓎 𝒞𝓇𝒾𝓈𝓉𝓂𝒶𝓈 🎅🏻
。゚゚・。・゚゚。
゚。  。゚
 ゚・。・゚
⠀()_/)
⠀(。ˆ꒳ˆ)⠀
ଫ/⌒づ🎁

hnine 2021-12-25 05:20   좋아요 1 | URL
그럼요, 이 세상에 자기 자신만큼 중요한게 어디있을까요.
이기적이라는 것과 다른 차원의 말이지요.
올해 알라딘 서재 역사에 한 기록을 세워주신 scott님, 오래 오래 여기서 뵐수 있으면 좋겠어요.
함께 건강합시다!! 고마워요~
 




괜히 서운하고

괜히 서글퍼지고

내 생각으로 우는 일 잦아지는 때



정말 울 일인가

이성적으로 따져보고

눈물 귀한 것 알게 되기를



정작 울어야 할 상황에서도

울 힘 마저 끌어모아 버텨나가는

이 세상 많은 생 앞에서

부끄럽지 않도록



눈물 헤픈 것 보다는 

차라리

웃음 헤픈 게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든 논쟁이 다 이겨야할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  어느 병원 암환자 지침서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언제부터가 어른인가?

 

     : 부모 탓 안하게 될 때

 

 

 

 

 

 

나에게서 발견되는 어떤 결핍.

어릴 때 부모로부터 어떻게 양육되었기때문에 생긴 결과라는 얘기를 귀가 따갑게 듣는다.

나도 누군가의 자식이면서 자식을 키우는 엄마이기도 한 입장이 되고 보니

자식에게 미치는 부모의 영향이 정말 대단할 수 있다는 것 알게되었다.

 

하지만 좀 더 나중에 알게된 것은,

부모로부터 비롯된 많은 것들, 살면서 얼마든지 바꿀 기회는 있었다는 것.

그러면서 언제부터인가 부모탓 하기를 안하게 되었다.

그렇게 철이 들어가는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지 2017-08-13 1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 글은(이상하게도)지금 봤는데... 공감합니다. 첨부터 끝까지 모든 단어와 글자에 ㅠ

hnine 2017-08-14 04:55   좋아요 1 | URL
한 인간의 성격, 행동, 심리, 컴플렉스, 하나부터 열까지 그 모든 배후에는 어릴 때 성장과정, 부모의 양육태도 (특히 엄마)가 있다는 것을 어줍잖게 그 많은 육아, 교육 관련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되고는 오히려 그런 사실을 알기 전보다 더 나의 모든 불만족스런 점을 부모 탓하는 아주 근거있는 이유로 사용해왔던 것 같아요. 제 얘기이지요. 이제서야 점점 알아가네요.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요. 인정할 것은 인정하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는게 현명하다는 것을요. 그게 내 인생에도 보탬이 된다는 것을요.
공감해주신다니 감사합니다. 공감해주실 분이 계실까 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