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변화 - 상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결혼이 단지 사랑이나 열정 같은 감정만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위 환경과 현실적인 관계(이 작품에서는 특히 신분질서) 속에서 '만들어지는' 성질의 것이라는 사실을 환기하자. 이것은 매우 중요한 차이이지만 사랑에 빠진 사람들은 쉽게 이 사실을 망각하곤 한다. 산도르 마라이의 소설 [결혼의 변화]는 제목부터, 그렇게 사람들이 막연히 가지고 있는 '사랑과 연애의 종착점으로서의 결혼'이라는 환상이 사회적 현실 앞에서 무너져버리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작가 마라이는 직간접적으로 시민 혹은 시민적인 것에 대한 서술에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 있다.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막스 베버)이 인물들 사이의 장벽으로 두텁게 작용하고 있는데, 조금만 설정을 달리 하면 얼마든지 현재 우리사회에서도 통용할 수 있는 주제다.

책을 읽다가 유디트의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때, 제일 먼저 떠오른 것은 클림트였다. 유명한 클림트의 [유디트] 속에서 유디트는 가슴을 반쯤 노출한 채 아시리아의 장군 호로페르네스의 잘린 목을 들고 있는 팜므 파탈의 이미지로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결혼의 변화]의 유디트 알도조는 단순히 남성들을 파멸로 이끄는 요부 그 이상의 다면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하녀 출신인 유디트는 '젊은 나리' 페터와 결혼하기 위해, 그리스 남자를 이용해 상류층의 질서를 익히며 십몇 년을 기다린다. 하지만 이렇게 강한 여자였던 유디트도 결국은 계급적 한계, 즉 페터의 건초 냄새를 극복할 수는 없었다. 그녀는 그렇게 부도 젊음도 잃어버리지만 또다시 로마의 젊은 드러머와 사랑에 빠진다. 요컨대 마라이의 유디트는 신분, 정절, 부와 명예, 예술, 그리고 사랑 그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현대적 캐릭터다. 페터에게 전쟁이 아무 영향을 미치지 못한데 반해 유디트에게 전쟁은 기존 가치체계의 붕괴를 의미하는 큰 사건이라는 사실도 같은 맥락에서 읽힌다.

일롱카와 페터의 결혼이 실패한 이유를 일롱카의 열정과 페터의 용기 없음으로 해석할 것인지, 아니면 둘 사이의 신분 차이(전자는 '시민'의 축적자, 후자는 수호자) 때문으로 해석할 것인지 반드시 양자택일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것들을 하나의 작품으로 아말감해놓은 것이 산도르 마라이의 능력이니까. 마찬가지로 3장의 구성을 토대로 유디트를 일롱카와 페터에 대한 변증법적 총합으로 읽어야 할지도 어디까지나 독자의 선택이다. 소설이 반드시 대안을 제시해야만 하는 것도 아니고 말이다. 그럼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대안적인(유디트와는 다른 의미로) 인물이 있다. 바로 작품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근대의 마지막 예술가 라자르. 시민성에 대한 분량만큼은 못하지만 '예술가'에 대한 서술 역시 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마라이가 제시하고자 했던 예술가상 그리고 그것과 주제와의 연관성은 숙제로 남겨둔다.(05-10-6, 필유)

 

덧: 소설의 마지막(3장) 배경은 라자르가 마지막으로 찾은 로마다. 의미심장하게도, 로마는 과거의 빛나던 '문화'가 죽어 흔적만 남아있는 곳이기도 하다. [맹룡과강]에서 이소룡이 말했듯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use - Showbiz
뮤즈 (Muse) 노래 / 워너뮤직(WEA)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음반을 산 건 2001년 10월로, 그러니까 2집을 내면서 한창 muse가 뜨고 있던 때였다. 라이센스도 아니고 수입반이었는데, 모던록이라곤 끽해야 suede 음반이 전부였던 나로서는, 큰 마음 먹고 샀던 거였다(당시에도 아트록 위주로 음반을 모으고 있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게 - 아마도 time is running out처럼 CF에 나오면서 유명해진 곡 - unintended라는 초초초-명곡이 들어 있었으니까. 당시 열애-_-중이었던 나는 심심찮게 이 노래를, 그녀에게 불러주곤 했다. 나보다도 그녀가 더, 이 노래를 좋아하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노래방에서 찾을 수 있는 muse의 곡은 plug-in baby가 전부였고, unintended가 노래방에 등장한 건 작년 후반이나 되서였다. 그 때는 이미 열애-_-가 파국을 향해 달려가고 있던 때였다.

요즘은 음악 좀 듣는다고 자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muse라는 이름을 떠들고 다닐 정도로 유명해졌지만, 오히려 나는 더 이상 이들에게 관심이 없다. 2002년 hullabaloo가 나왔을 때까지만 해도 살까 말까 고민을 하긴 했지만, 결국 그 돈으로 Sarah McLachlan을 사버렸다. 의식적으로 muse를 피해왔는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가끔 노래방에서 우연스럽게 혹은 무의식적으로 unintended라는 제목을 스치게 될 때면, 뭐랄까, 마음 한켠이 뭉클해지곤 한다. 앞으로 두 번 다시는 누군가를 위해 노래 부를 일이 없을 것만 같은, 그런 쌉싸름한 느낌.

그녀는, 지금도 어딘가에서 이 노래를 듣고 있을까?

젠장... 나에게 unintended라는 노래는, 그런 애증섞인 아련한 기억으로 남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인
마르그리트 뒤라스 / 백만출판사 / 1992년 6월
평점 :
절판


올 여름은 유난히 덥고 지치는 계절이었다. [연인]을 읽는 것은 이번 여름만큼이나 지치는 경험이었다.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문장들은 몇 페이지를 넘기기가 힘들 정도로 부유하고 있었다. 뒤라스가 태어난 곳이자 그녀의 문학적 원천의 하나인 '다다를 수 없는 나라' 안남의 이미지가 순간 겹쳐진다.

타나토스적인 절대적 사랑에 대해서는 [모데라토 칸타빌레]에서, 어머니와 불모지에 관한 굴곡진 유년기에 대해서는 [태평양을 막는 방파제]에서 이미 다루어진 바 있다. 이 두 작품에 이어, 뒤라스는 스스로 고백하기 주저해왔던 자전적 테마들을 마침내 한 권의 책으로 완성하는 데 성공한다.

이 테마는 뒤라스 본인에게는 문학 인생 전체를 통틀어 가장 중요한 것들이겠지만, 모든 독자에게도 같은 무게로 다가오는 것은 아니다. 뒤라스의 팬이 아닌 독자들이 [연인]에 주목하는 이유는, 대개는 15세 백인 소녀와 30대(32세?) 중국인 남자와의 관계(이것을 사랑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에 대한 호기심 때문일 것이다.

나 역시 그랬다. 그리고 내가 그들의 관계 속에서 본 것은 철저한 자기기만, 단지 그것뿐이었다.

소설을 100% 이해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뒤라스 스스로 흘러가는 '에쿠리츄르'라고 일컫는 이 소설은, 명확히 붙잡기가 힘든 작품이다. 여기에 번역마저 나쁘다. 편집도 마찬가지고.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1992년에 여러 출판사가 이 책을 번역해 내놓은 걸 보면, 소설을 기반으로 그해 나온 동명 영화의 성공 탓에 잠시 뒤라스 붐이 일었던 게 아닐까 싶다. 그중 읽어본 건 백만출판사에서 나온 이 책뿐이지만, 다른 곳에서 나온 책들 역시 과히 번역 수준이 좋지는 않으리라 짐작된다. 십 년이 넘게 흘렀으니, 새 번역이 나올 법한 시점이다(김화영은 너무 딱딱하다. 황현산이라면 어떨까). (05-9-8, 필유)


덧: 이 책에는 뒤라스의 다른 작품인 [고통]과 [에밀리 L]이 같이 실려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데라토 칸타빌레 (구) 문지 스펙트럼 19
마르그리트 뒤라스 지음, 정희경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을 생각할 정도로 절대적인 사랑.
그런 사랑이 과연 존재할까?

 

에로스와 타나토스,라는 어쩌면 진부한 표상을,
뒤라스는 '보통빠르기로 노래하듯' 풀어낸다.
일탈적인 사랑을 꿈꾼다는 점에서 [꿈의 노벨레]와 닮아있기도 하다.

뒤라스만의 애매모호한 문체와, 의미없이 반복되는 대화들.
솔직히 익숙해지기 힘들다.
그리고 익숙해질 때쯤, 소설은 끝이 나 있다.

남겨지는 공허함.

 

자신을 자랑하고 있는 게 아니라면, 결국
사랑을 하라고,
절대적이든 타나토스적이든 간에 어쨌든 사랑을 하라고,
당신은 말하고 싶은 겁니까, 뒤라스 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문사냥꾼 - 이적의 몽상적 이야기
이적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대중 가수로서의 이적에 대한 선입견은 배재하고 이 책을 평가하고자 한다. 사실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가수가 소설(시도 아니고 소설!)을 쓴다고 했을 때, 그 소설이 전업 소설가가 쓴 소설보다 더 훌륭하다면 도대체 소설가는 뭣 때문에 존재한단 말인가.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이 소설집 [지문사냥꾼]은 상당히 괜찮았다.


 소설가 김영하 씨가 지적하듯, 이 소설집에는 고딕 문학적인 정서와 분위기가 짙게 배어 있다(고딕 문학에 관심이 있다면 근래 발간된 [세계 호러 걸작선] 1,2를 참고하시길). 이것은 분명 국내 문학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작풍이며, 그래서 환영받을 만하며, 또한 칭찬을 받아야 마땅한 부분이다. 요즘 국내 작가 중에 ‘제불찰 씨 이야기’와 같은 상상력을 가진 작가가 많지 않음을 생각해보라. 또한 표제작 ‘지문사냥꾼’은 중세적인 시공간을 배경으로 그로테스크하고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지는 수작이다.


 ‘S.O.S’나 ‘독서삼매’ 등은 열린 엔딩의 형식을 취하는 아주 짤막한 단편들인데, 과감한 형식적 실험이 돋보인다. 문학적 상상력의 깊이는 깊지 않지만, 대신 지평이 넓다. 어느 정도의 깊이를 가진 작품으로는 ‘모퉁이를 돌다’를 꼽고 싶다. 해석하기 나름이긴 하지만, 이 작품은 실존주의적인 메시지(“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다”, 키에르케고르를 참고할 것)를 함축하는 데 성공을 거두고 있다. ‘활자를 먹는 그림책’에서 발견되는 메타 소설적인 요소는, 조금만 더 정제되었더라면 하는 큰 아쉬움을 남기기도 한다.


 물론 소설집 전체를 볼 때, 문학적 완성도가 굉장히 높은 편은 아니다(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이건 당연한 일이다). 디테일을 생략하는 과감한 문체는 독자를 몰입하게 만들지만, 이로 인해 때로 이야기의 짜임새가 엉성해지기도 한다. 또 기지를 뽐내기 위해 불필요하게 삽입된 듯한 느낌을 주는 문장도 여럿 보인다. 완전 구어체로 이루어진 ‘자백’은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오히려 솔직하고 유기적으로 다가온다.


 이 정도면 꽤 객관적으로 이 소설집을 평가내린 것 같다. 요약하자면, 비교적 독창적인 상상력으로 이루어진 고딕풍의 흥미진진한 단편 소설집. 분명, 이것이 데뷔작품이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이적이라는 ‘소설가’의 문학적 재능에 대해서 충분히 낙관적인 전망을 할 수 있을 듯싶다.(05-9-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