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수 - 3집 보헤미안 [24-bit 리마스터링/LP미니어쳐](재발매)
김두수 노래 / 보헤미안뮤직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보헤미안]은 90년 당시 병상에 있던 포크 뮤지션 김두수의 3집으로, 91년 원래는 [자유로운 마을, 강변마을 사람들]이라는 가제(假題)로 발표되었다. 이후 4집 [자유혼]이 나오기까지 11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고, [자유혼]의 재발매에 즈음하여 3집 역시 리마스터링을 거쳐 마침내 재발매되었다(그것도 LP 미니어쳐로).


4집을 먼저 들었기 때문인지 아무래도 1번곡 ‘보헤미안’이 반갑게 귀에 들어온다. 곡의 후반부에서 80년대 유행하던 스타일의 신시사이저 질감을 감상할 수 있는데, 4집에 실린 그만의 담담한 포크 버전과 비교하면 조금 의외이기도 하다. 이 편곡에서 믹싱만 다르게 했다면 훨씬 훅이 실린 곡이 됐을지도 모르겠다. 2번곡 ‘강변마을 사람들’처럼 다소 평범한 포크가 들어 있기도 하지만 이 음반은 일반적인 포크 음악과는 거리가 있다. 명상음악을 표방한 애시드한 느낌의 4번곡이나, 김두수식 발라드로 볼 수 있는 6번곡 ‘멀리서’에서도 드러나듯 모호한 난해함이 짙게 베어있기 때문이다. 혹자는 이렇게 표현했다지. 김두수는 한국 포크의 완성이라고.


개인적으로는 그의 시적인(혹은 그 자체가 시인) 가사에 주목하고 싶다. 흔하디 흔한 사랑 이야기도 아니고, 으레 사람들이 한국 포크하면 떠올리는 민중적인 내용도 아니다. 보헤미안(Bohemian). 김두수 씨가 근 20년 동안 추구해온 음악적 주제이자 동시에 그의 삶의 노정 자체가 바로 보헤미안이다. 보헤미안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무한정 자유롭고 멋있기만 한 것은 아니다. 다른 소시민들처럼 평범하게 정착하고 안주하기를 거부한 대가로 얻은 자유와 방랑의 삶이란 결코 평탄한 것일 수 없다. 김두수는 그런 덧없는 생의 비애를 함축적인 시어(詩語)로 담담하게 표현하고 있다.


저 허무의 기슭으로 나는 가네

이 자유로운 영혼 강물로 흘러

내 들꽃으로 피어 바람에 흩날려도

서러워 않으리

(‘보헤미안’ 중)


자유라는 매력적인 유혹 뒤에 서린 짙은 허무. 그 아픔을 기꺼이 감내하며 나아가 예술로 승화시킨 한 예술가의 혼이 여기 살아 숨쉬고 있다. 지금도 강원도 어딘가에 은둔하고 있을 김두수는 분명 그 음악성에 비해 정당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한 불우한 예술가이지만, 보헤미안인 그에게 있어 남들의 시선이나 주목은 애초에 무의미한 것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니 희귀반이 되어버린 그의 음반들이나 은둔자인 그를 둘러싼 많은 전설에 대해서 이 자리에서 떠들썩하게 이야기하고 싶지는 않다. 어차피 그는 찾는 이 없는 보헤미안, 혼자 고이 아껴 듣는다 해서 달라질 것 없으리라.(2005-9-26, 필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ivernet 2006-11-23 14: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4집 자유혼은 재발매 음반이 아닌, 정규 신보입니다. 틀린 부분 수정 부탁드립니다.

faai 2009-10-23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4집 [자유혼]은 2002년 초에 처음 나왔다가(메타복스에서 한정판매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저도 이때 메타복스에서 구입했습니다) 예상외로 반응이 좋자 2003년 말에 재발매가 됐습니다. 그리고 05년 초에 이 음반(3집)이 재발매가 됐는데, 4집 재발매와 3집 재발매가 1년 정도 터울이기 때문에 '[자유혼]의 재발매에 즈음하여 3집 역시 리마스터링을 거쳐 마침내 재발매되었다'라고 쓴 겁니다. 여기까지 혹 틀린 부분이 있는지요. [자유혼]이 정규 신보인 거 저도 당연히 압니다-_-
 
Telepopmusik - Angel Milk
텔레팝뮤직 (Telepopmusik) 노래 / 이엠아이(EMI)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올해 초 충동구매한 음반 중에 Télépopmusik의 [Angel Milk]라는 생소한 음반이 한 장 있었다. CF에 삽입됐느니 어쨌느니 그런 얘기는 전혀 몰랐고, 순전히 모 쇼핑몰에 떠있던 광고에 혹해서 충동구매한 음반이다. 뭘 믿고 그런 만행을 저질렀는지는 생각이 나지 않지만, 놀랍게도, 뽑기는 대박이 나고 말았다.

좋다. 왜 좋냐고 물으면, 대답이 조금 곤란해지는데, 아무래도 이쪽 바닥에 대해선 늘어놓을 이야기가 그다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금 돌려 말하자면 - 그리고 사실 이것 때문에 이 글을 쓰고 있는 건데 - Björk의 90년대 앨범들 같은 보컬 및 일렉트로니카 스타일에 노이즈가 깔리고 그 위(?)에 PortisheadMono가 보여줬던 트립합 질감이 담긴 음반이라고 할 수 있다(그리고 여기에 랩이 추가되는데, 다행스럽게도 랩이 들어간 곡은 몇 곡 안 되니까 무시하면 된다). 이상 세 뮤지션을 좋아했던 사람이라면 분명히 환영하리라 믿는다.

여성 보컬 2명에 랩퍼 1명이 참여하고 있는데, 이 중 안젤라 맥클러스키가 이들의 1집에서부터 노래를 해준 분이라고 한다. 살짝 오버하자면 재니스 조플린과 빌리 할리데이를 합쳐놓은 것 같은, 허스키하면서도 파워풀하고 동시에 예민한 그런 놀라운 목소리를 들려주고 있다. 1,5,7,10번 트랙 4곡을 맡고 있고, 이중에서 트립합+재즈적인 편곡과 함께 그녀의 음색이 잘 드러나는 7번 트랙 Brighton Beach는 듣는 이에게 말로 표현하기 힘든 묘한 감정 혹은 영상을 환기시킨다.

또 한 명 데보라 앤더슨은 거의 Bjork의 판박이라고 할 수 있다. 약간 힘 없는 Bjork, 약간 팝적인 Bjork이라고나 할까. 전에 여기 BGM으로 올렸던 Close라는 곡이 바로 이 앨범의 8번 트랙으로, 그녀의 속삭이는 듯한 보컬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이외에 그녀는 2,4번 트랙의 리드보컬을 맡았다. 끝으로 랩퍼 1명은 Mau라는 사람으로 3,6,13번 트랙은 모두 Mau의 랩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개인적으로 별로 감흥이 없는 랩핑이라서 비추. 그리고 이 트랙들 때문에 앨범이 반으로 나뉜 듯한 기분이라서 아쉽기도 하다.

대체로 어둡고 몽롱하고 중독적인 분위기라서, 아무에게나 추천하고 싶지는 않지만, 분명 나처럼 좋아할 사람이 있다는 걸 믿는다. 데보라 앤더슨이 참여한 곡들은 그나마 양호한 편. 어쨌든 엠피3이라도 꼭 구해듣기를 권한다. AMG 평점이 겨우 별 2개(!)라는 사실에 분노를 느낄 정도로 좋아하는 음반이다.(2005-9-26 새벽, 필유)

 

[수입] Telepopmusik - Angel Milk - 10점
텔레팝뮤직 (Telepopmusik) 노래/Capito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Arzachel(Red)
Comet / 1969년 7월
평점 :
품절


 

90년대(정확한 연대는 모르겠다) CD 재발매가 되기까지 수많은 콜렉터들의 지갑을 바닥낸 희귀반이, 여기 또 한 장 있다. 바로 동명의 4인조 영국 밴드의 69년 유일작 [Arzachel]! 본인 또한 #2를 듣고 반했던 음반이라 정말로 구하고 싶어했던 음반이다.

 

2002년에 이 음반은, Comet-Akarma를 통해 오리지널 LP 커버 그대로인 적색 커버와 부틀렉으로 알려진 청색 커버 두 가지 버전 모두가 LP 게이트폴드 미니어쳐로 재발매(카탈로그 번호 AK-184)되었다. 덕분에 본인도 한 장 가지고 있긴 한데, 부틀렉과 극악 퀄리티로 유명한 Comet-Akarma답게 이 음반 역시 부클렛 한 장 들어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감스럽지만 심히 조악한 음질을 자랑한다.


Arzachel이 이 음반을 만들게 된 경위나 멤버들이 후에 어떤 거장들이 되었는지 등등의 이야기는 링크를 참고할 것. 매니아들 사이에서는 워낙 유명한 이야기이기도 하고 분량이 길어질 것도 같아, 생략한다. 또한 극악 음질에 대해서도 논외로 하고(그러나 진정 디지털 리마스터링 계획은 없는 것인가!), 단지 본인의 감상만을 적어보겠다.


먼저 첫 곡 #1 Garden of Earthly Delights(번역하자면 육욕肉慾의 정원 정도?)는 네덜란드 화가 Bosch의 유명한 1504년 패널화(Pearls Before Swine의 음반 커버로 사용된 적도 있다)에서 제목을 가져온 듯싶은데, 의외로 평범한 짜임새와 밝은 톤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1:30이 지날 때쯤 블루지한 기타 솔로와 함께 약간 불길한 분위기가 고개를 든다. 기타가 막 달리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페이드아웃이 되는데, 좀더 길었으면 하는 곡(러닝타임 2:47).


이어지는 본인의 애청곡 #2 Azathoth의 제목은, 역시나 본인이 열렬하게 좋아하는 소설가 H.P. 러브크래프트의 단편 제목이자 그의 작품세계의 근간을 이루는 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최상위신의 이름이다. 경건한 보컬과 (파이프?) 오르간 선율이 아름다운 성가풍의 곡. 그런데 이 평화스러운 분위기에 익숙해질 무렵, ARACHNOID를 연상시키는 불길하고 사악한 기운의 코러스로 분위기가 바뀌기도 한다. 러브크래프트의 영향을 받은 음악이 많이 있지만(심지어 동명의 밴드까지도 있다) 개인적으로 최고로 꼽는 곡이다.


#3 Queen St. Gang은 오르간이 주를 이루는 접속곡 역할의 연주곡이고, #4 Leg는 블루지하게 시작되는 곡으로 지글거리는 기타와 보컬이 잘 어울린다. 이어서 LP 뒷면에 해당하는 #5와 #6은 각각 러닝타임이 10:31과 16:51에 이르는 대곡으로, 앞면이 ‘곡’ 중심의 다소 단선적인 구성이었던 데 반해, 본격적인 싸이키델릭을 들려주는 곡들이다.


#5 Clean Innocent Fun은 블루지한 도입부로 시작하지만 보컬부가 끝나자마자 하드한 싸이키델릭의 도가니로 이어진다. 도저히 10대가 만든 음악이라고 믿을 수 없을 정도. 그리고 마지막 곡 #6 Metempsychosis(윤회전생輪廻轉生)가 문을 연다. 초반부터 제정신이 아닌 jam이 시작된다. 마음껏 난동부리는 기타와 제멋대로 찔러대는 오르간, 질주하는 드럼과 꿈틀꿈틀거리는 베이스. 중간중간 음침하고 환각적인 코러스가 등장하기도 한다. 청자의 정신마저 아득해지게 만드는 완벽한 몽환의 경지.

 

최고다. 그래, 사실 모든 희귀반이 반드시 명반인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이 음반은 희귀반인 동시에 명반이다.(2005년 9월, 필유)



링크(쉬프트+클릭!)

 고려바위 - Arzachel - 밴드소개 및 음반평

 sclt 싸이 게시물 펌 - Arzachel - AMG 바이오그래피를 sclt가 번역.

 AMG - [Arzachel] - 음반평.


 Artchive - Hieronymous Bosch - 보쉬의 작품을 볼 수 있다.

 AMG - Pearls before Swine [One Nation Underground]

 - 보쉬의 작품을 커버로 한 음반. 소장하고 있는데, 좋다.


 Weird Tales - (소설가) 러브크래프트에 대한 가야님의 국내최고의 연구소(?).

 AMG - H.P. Lovecraft - 이건 동명의 싸이키델릭 밴드. 음악은 그럭저럭.


 고려바위 - ARACHNOID - 별로 상관은 없지만서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누 리파티 - 마지막 리사이틀
쇼팽 (Frederic Chopin) 외 작곡, Dinu Lipatti (디누 리파티) 연 / 워너뮤직(WEA) / 2014년 9월
평점 :
품절


난 클래식의 '클'자도 모르지만, 일단 샀다.

확실히 이런 음반이 몇 있다.

델타블루스의 거장 Skip James의 마지막 음반이라든가,

재즈에서는 Mal Waldron의 [Left Alone](혹은 Charles Lloyd와의 마지막 협연)이라든가,

조금 다르지만 Queen의 [Made in Heaven]이라든가,

Jeff Buckley의 유일작 [Grace]라든가,

만화책 [데자부] 리뷰에서 비밀스레 언급했던 김성재 1집이라든가.

 

짧든 길든간에, 예상되었든 예상되었지 못했든간에,

생의 마지막을 목전에 두고 나온 음반들.

 

어쨌든 '그'의 소개글을 그대로 옮긴다.

이걸 내가 쓴 리뷰랍시고 올리는 건 아니고,

뭐랄까 나로서는 아무리 폼잡고 써봤자, 이런 글은 쓸 수가 없기 때문이다.

 

 

 

사라. 글 쓰는 데마다 강추하고 다닌다. 동방신기 이딴 거 살 돈의 1%만 이쪽으로 흘러들어온다면 우리의 삶이 얼마나 풍요로워질것인가. 아니면 구워져서 CDP에 들어갈, 공씨디 살 돈 반만큼이라도 들어온다면. 매일같이 생각한다.

잡음이 심하게 끼어들긴 하지만, 클래식을 싫어하는 사람이라고 하여도 이 연주에는 감탄을 금할 수 밖에 없으리라 믿는다. 듣는 사람을 미쳐버리게 할 듯한 무한의 우아함. 가벼움. 얼굴에서 풍겨나오는 매력적인 사내의 모습이 연주에도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이런 연주가 몇 개 있다. 절대로 위대한 연주, 아무리 음악에 문외한이라 할 지라도 감동할 수밖에 없는 연주들. 영화 이퀼리브리어에 보면 크리스찬 베일이 예술품을 파괴하러 다니던 도중 베토벤의 7번 2악장을 들으며 폭포수처럼 눈물을 쏟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거짓말인지도 모르겠지만, 이 녹음은 브장송 1950년 9월 16일이고, 12월에 사망했다. 백혈병으로 코티솔을 맞아가면서 벌인 연주이지만, 그걸 알 정도로 연주에 영향이 있었다면 아마도 명반이 아니겠지?


주의 : 구워주세요. 이딴 소리 하면 죽여버린다 -_-+

(2004-4-11, scl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urface Tension
M2U Records / 1977년 7월
평점 :
품절


 

 히브리어의 첫 번째 글자인 Aleph. 이 단어를 들으면 보르헤스가 떠오르는 게 당연한 일이고, 그런 호기심에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동명 밴드의 [Surface Tension]을 입수해 들어봤다. M2U답지 않은, 상당히 평범한(!) 커버를 자랑하고 있는 음반이었다. 역시나 밴드의 히스토리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그리 많지 않다. 1977년에 발표한 이 음반이 유일작이라는 정도.


 첫 곡은 제목부터 Banshee(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의 민담에서, 가족의 불행을 예견하는 목소리만 있는 유령. 물론 보르헤스의 [상상동물 이야기]에도 등장한다). 제목 때문에 신비스럽거나 기괴한 분위기를 예상했지만, 인트로만 제외하면 의외로 경쾌한 곡이었다. 하이톤의 호쾌한 보컬 덕분에 공격적인 하드록 삘이 살짝 묻어나기도 한다. 시원시원한 연주에서 일단 실력은 있는 밴드구나,하고 자연히 수긍하게 되는 곡이다(뭐 Yardbirds의 커버 밴드였다고도 하니까 말이다). #2와 #3은 키보드와 기타의 합연이 돋보이는 곡들인데, #2는 록큰롤 분위기가 강하며 #3은 비장한 연주가 인상적이다. 특히 #3의 기타 솔로는 당대 슈퍼밴드들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 만큼 멋지다. 하지만 여기에 보컬의 감정이 제대로 살리지 않은 것 같아 조금 아쉽다. #4는 다소 차분한, 그리고 다소 평범한 발라드.


 #5는 앨범의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는 15분의 대곡으로, 앞의 곡들에 비하면 심포닉록적인 느낌이 짙은 곡이다. 더블 키보드가 빛을 발하는 초반의 간주가 매력적이고, 9분이 조금 안 될 무렵 (아마도) 멜로트론의 향연 속에서 기타와 키보드가 이끌어내는 극적인 카타르시스도 인상적이다. 하지만 엔딩부가 허전한 것은 또다시 아쉬운 부분. 마지막 곡은 Heaven's Archipelago(천국의 다도해)라는 상당히 로맨틱한 제목의 발라드곡이다. 조용한 선율의 피아노 위에 실리는 절제된 연주가 오묘한 정서를 상기시키는데, 최근 북구 쪽 재즈(nu-jazz) 피아노의 질감에 익숙한 청자라면 피아노 사운드를 조금 더 차갑게 깎는 게 나았을텐데,하며 아쉬워할 곡이다.


 분명 주류 프로그레시브록 씬이 아닌, 호주라는 변두리의 밴드 치고는 연주력이 상당히 뛰어난 음악을 들려주는 음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Yes의 Jon Anderson을 닮은 듯한 보컬의 낭랑하면서도 거친 하이톤 음색은 음반의 완성도를 떠나 상당히 인상적이다. 하지만 곡의 구성은 #5를 제외하면 대단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컨셉트 앨범이 아닌 것은 그렇다 쳐도 메시지가 뚜렷이 전달되지도 않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밴드만의 독창성이라고 할 만한 게 발견되지 않는다. 고수들이 우글거리던 70년대에, 자신들만의 개성을 가지지 못한 밴드가 살아남기 힘들었던 것은 당연한 일이다. 아니, 이것은 어쩌면 어느 시대에서나 통용될 법칙일런지도 모르겠다. 오랜 세월 잊혀졌던 음반을 재발굴해낸 M2U 김기태 씨의 노고에는 백번 감사하는 바이지만, 확실히 이 음반은 범작 내지 수작은 될 수 있을지 몰라도 명작은 아니다.(05-8-30, 필유)

 

 

포노에게: Alepth가 아니라 Aleph입니다. 수정해주세요. 한참 찾았네-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