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헌의 명리학 책이었던가. 어쩌면 고미숙의 <나의 운명 사용 설명서> 였나. 약국을 운영하는 사람이 약국도 잘 되고 사람들도 다 좋은데 자기는 왜이렇게 우울하고 힘든지 모르겠다고 상담을 받으러 온 얘기를 읽었더랬다. 보니, 그 약사의 사주에 역마살이 있건만 그 약사는 동네에서 매일 약국을 하며 머물렀던 것. 이에 상담해준 선생님은 주말에 가까운 지방이라도 다녀오면 많은 것들이 나아질 것이다, 라는 애기를 했더랬다.
강헌의 <명리>를 읽으면서 내게는 전 세계적인 역마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나는 무무병존 사주인데 강헌의 말을 빌리자면, '그 범위는 스케일도 넓어서 해외를 드나드는 역마이다' 라고 한 것. 그런데 내 뜻과 아무 상관없이 최근 몇년간 아무곳도 가질 못하니 우울함이 차곡차곡 쌓이는거라. 국내 여행도 하면 안될것 같아 가급적 자제하고 있었는데 내가 또 집에만 못 있겠는거라. 그래서 나는 동네를 산책하거나 서점을 간다.
그렇다.
서점을 간다.
내가 살기 위해서,
서점을 간다.
내 사주에 있는 역마를 다스리기 위해
서점을 간다.
그래서?
책을 산다...
아니,
책을 샀다.
으르렁-
다른데를 가면 되는데, 그런데 나는 다른데 가는걸 별로 안좋아해. 일전에 한 친구는 올리브영에 가는게 좋다고 했더랬다. 재미있다고. 그런데 나는 올리브영 같은데가 재미가 1도 없어. 왜 가는지를 모르겠는거다. 내가 재미있으려면 서점엘 가야해. 그래서 서점엘 갔더니 무슨 일이 벌어지나? 책을 사는 것이다.
네, 그러니까 책 샀다는 얘기 하려고 사주 얘기 가져왔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나란 여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능력이 넘나 탁월한 거 아님?
자, 그래서 이런 책을 샀다.

자, 그렇다면 왜 이런 책을 샀는지, 내 얘기를 한 번 들어보자. (닥쳐!)
그러니까, 나는 김진숙 님이 얼마전에 복직했다는 기사를 읽었고, 그리고 퇴직했다는 기사도 읽게 된다.
"37년 싸움을 마칩니다"... 김진숙, 퇴직하다 - 오마이뉴스 (ohmynews.com)
퇴근하는 지하철 안에서 이 기사를 읽는데 자꾸 눈물이 나는 거다. 그 눈물에는 아마 여러가지가 담겨 있을 것이다. 그동안 얼마나 힘들었을까, 자신의 신념대로 꿋꿋이 지키며 살아간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을텐데. 그런데 부당한 해고에 맞서 굴하지 않겠다는 것을 보여주는 누군가 때문에 앞으로 노동자의 삶은 달라질 수도 있는거 아닐까. 나 역시 노동자다. 나 역시 아침에 출근하고 저녁에 퇴근하는 삶을 살고 있고 몇해전 회사가 어려웠을 때 내가 해고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허망했던 적도 있었다. 십년 이상 몸담은 회사인데 내 청춘을 내가 바치려고 한 건 아니지만 청춘의 한창때가 모두 여기 있었는데 내가 해고 당한다면, 내 삶은 그 다음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를 생각해보게 된거다. 다른 노동자의 얘기는 그래서 지금 노동자인 나에게 더 울림을 준다.
지금은 사망한 전 서울시장 의 성추행 관련 해서도 그래서 나는 피해자에게 공감할 수밖에 없었다. 나보다 나이 많은 남자를 상사로 모심으로써 받게 되는 성추행 이라면 아마 이 땅의 여성 직장인들이 다 겪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피해자가 겪었다고 한 일중에 정확히 같은 것들을 나도 겪었던 적이 있고, 그 일로 모멸감에 울기도 했던 터라, 이 땅의 여성 노동자로서 연대할 수 밖에 없는 지점이 있다. 물론, 노동자가 아니었어도 공감과 연대는 당연한 것이었지만. 내가 노동자라는 정체성에 그렇게 진심인줄 몰랐는데, 김진숙 님의 기사를 읽으면서 우는 나를 보고, 아, 나는 내가 파악하는 것보다 내가 노동자라는 정체성을 인지하고 있구나, 싶었다. 물론 그보다는 그렇게 끈질기게 싸워온 그 시간들, 그 신념에 대한 것이 더 마음을 웅장하게 만들었겠지만 말이다.
<소금꽃나무> 라면 몇해 전에 읽었던 적이 있다. 김진숙이 버스안내원으로 근무하면서 옷까지 다 벗겨진 채로 돈을 숨긴건 없는지 검사 받는 장면 같은 것들을 기억한다. 그러나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읽고 싶어 샀다. 내가 가진 책은 오래전에 처분한 것 같다. 서점으로 가 사실, 소금꽃나무를 살까 김진숙에 대한 글이 실려 있는 <여성노동자 반짝이다>를 살까, 두 권을 꺼내놓고 한참을 망설이다가 그냥 둘 다 샀다. 나는 부장이니까. 책 두 권 살 돈쯤은 있다. 엣헴- 나 이십년 이상 일한 노동자야. 이 직장에 올해로 만 이십년 근무했다. 책 두 권 사는데 뭘 그리 고민해? 여성 노동자로서 여성 노동자의 이야기를 듣는데 아낌이 없어야지. 흥!!
(아 나는 진짜 자기합리화 대마왕이야..)
<에덴의 악녀>는 2월 여성주의 책 같이 읽기인 나오미 울프의 책을 읽다 알게 되어서 샀다. 검색했더니 절판인게 아닌가. 중고로 나와있길래 잽싸게 주문했는데, 이게 그러니까 우주점 주문이었고, 그래서 이 책을 사기 위해 다른 책을 더 샀는데, 그것은 바로 이 책.
<당신들은 이렇게 시간 전쟁에서 패배한다>를 박스에서 꺼내면서, ...응? 이건 뭐야????????????? 했다. 내가 에덴의 악녀 사면서 두 권 다 샀다는 건 알았지만 당신들은 이렇게 시간 전쟁에서 패배한다.. 산줄은 몰랐지? 나 이거 읽고 싶었어?
<샤프롱>도 그 박스에서 나왔다. 앗, 이거 서점에 갔을 때 살까말까 망설이면서 들었다놨다 한 책이긴 한데, 샀어?? 아무튼 이 책 있다. 이거 이렇게 적어놓지 않으면 까먹을듯.
아무튼 내가 서점에 자주 간다고 했으니 또 서점에 가서 산 책이 뭐가 있냐면, 이번에는 알라딘 중고책방 갔다가 이걸 샀다.
괜찮아, 잘했어. 아니, 깨끗하더라고요.. 이거 아주 오래전부터 장바구니에 있었던건데, 마침 중고책방에 있었고, 마침 깨끗했고... 샤라라랑~ <철학자와 마녀>
<H마트에서 울다>도 교보 갔다가 사가지고 왔다. 처음부터 내가 이 책을 사려고 간 건 .. 아닌가? 맞나? 그런건 기억조차 희미하고, 여하튼 올 때는 가방에 이 책이 담겨 있었다. 이 책을 사서 가방에 넣고 내가 한 일은, 이삭토스트에 가서 토스트를 먹은 것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껄껄. 아니 티비에서 유퀴즈 재방송 보다가 이삭토스트 회장님..의 이삭토스트 에 대한 이야길 듣게 됐고, 엄청나게 줄 서서 사먹게 됐다는 그 소스가 궁금한거여.. 마침 서점 빌딩에 이삭토스트가 뽝- 있어가지고 이삭토스트 가서 토스트 먹는데, 제일 기본을 먹자, 하고 햄치즈 토스트 시켰는데 양배추가 없는 것이다. 맛있게 다 먹고 나서 나갈 때 카운터에 가서 직원분께 여쭸다. 제가 먹은건 양배추가 없던데 사진처럼 양배추 먹고 싶으면 뭘 시켜야 하나요? 그러자 '햄스페셜 토스트'라고 알려주셨다. 다음에 그걸 다시 먹어봐야겠어. 불끈! 아이스아메리카노랑 먹으니 찰떡이었다.
주말에 또 서점에 갈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