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안무가 인 맥그리거의 아토모스를 봤다.

Atomos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원자 Atom에서 나온 단어다. 그는 1980년대 SF 걸작 리들리 스콧블레이드 러너에서 영감을 얻어 Atomos 제목처럼 영화 데이터를 1200개의 프레임으로 나눈 뒤 컬러나 추상적인 움직임의 형태를 얻어 AI를 동원해 안무를 짰다.

공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1. http://www.lgart.com/UIPage/Azine/Azine_detail.aspx?Id=55809&SearSt=&page=1

2.  http://www.lgart.com/UIPage/Azine/Azine_detail.aspx?Id=55840&SearSt=&page=1

3. http://www.lgart.com/UIPage/Azine/Azine_detail.aspx?Id=55874&SearSt=&page=1

 

3D 안경까지 착용하며 그의 연출을 본 내 소감은 ... 글쎄였다. 그가 최신 기술을 도입해 창작한 의도는 알겠다. 우리가 예술이라고 느끼고 봐온 정형성을 탈피한 움직임과 효과를 만들어보려는 시도였다. 그런데 내겐 특별히 차별적이지도 신선하지도 않았다. 안무도, 무대도, 의상도, 음악도.

  

 1일 1사진

 

공연을 다 보고 심드렁해져 술이나 마시러 갔는데 후미진 술집과 일상을 꾸리고 있는 사람들이 더 놀라웠다.
맥주 브랜드가 타 기업으로 넘어가 존재하지도 않는 상호를 유지한 채 10년이 지나도록 그들만의 장사 철학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호프집(이곳의 단촐한 메뉴판을 찍어 뒀는데 내가 살아 있다면 5년 뒤에 확인해 볼 것이다). 다녀간 사람들의 기억 없이 차곡차곡 쌓인 의자들. 내일 없어져도 이상하지 않을 남루한 일체의 것들. 내일 만나도 안 만나도 그만인 인연들. 한국인보다 더 소주를 챙겨 먹던 외국인들. 붉은 장미 두 송이를 가방에 소중히 담은 채 집으로 가고 있는 할머니.
새로움은 이 익숙함 속에서 내게 더 많이 발견되었다.

 

문득 들리 스콧《에이리언 커버넌트의 심각한 부조화를 깨달았다. 그토록 뛰어난 능력의 AI 로봇을 만들 줄 아는 인간이 19세기와 마찬가지로 허술했다는 게 지금에서야 이상하게 생각되었다. 영화 속 인간은 기계와 더 많이 합체되었어야 했다. 리들리 스콧은 지금 인간의 상상력을 전혀 뛰어넘지 못한 채 영화를 완성했다.

 


 

 

 

A winged victor for the sullen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5-30 01: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30 02: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죄와 벌]을 머리 쥐어뜯어가며 읽다가ㅡ이렇게 길 필요까진 없는 거 같은데ㅡ왜 도스토예프스키를 잡기 시작해서 이 고생인가 생각하면서도..... 재밌다ㅜㅜㅇ~~ 이토록 분석 거리 많은 작품을 좋아하는 내 성격을 탓해야지; 에효))
(읽는) 벌과 (읽었다!) 상을 다 주시는 도선생 같으니라구!

머리 식히러 잠시 왔다가 재미난 이벤트 발견.
http://blog.aladin.co.kr/minumsa/9357003
이웃 서재들 읽고 싶어요 목록에 왜 뜬금없이 들뢰즈&가타리 [안티 오이디푸스]가 있나 했더니 *민음사 배 철학책 백일장* 때문였군.
묵혀두고 있던 이 책 읽을 동력 발동! 6월을 빡세게 시작하겠구나....

1등 현대사상의 모험 10권 너무 좋겠음! 난 안될 거 같아 이미 부러워함; 상품으로 철학책 주는 건 당연한 거 같은데, 차차석 상품 후레쉬베리 5박스 협찬인가요 개그인가요. 목 메지 않게 우유도 주지-_-a ‘먹고 떨어지라는‘ 표현이 섬광처럼 스쳐 지나갑니다. 어허! 지나치시오! 웃자고 한 소립니다. 19세기 소설을 여러 날 읽고 있자니 표현이 참으로 고답적; 타임머신이 필요해!

[죄와 벌] 미친 듯이 읽어 나가다가 미친 듯이 웃고 싶어서....

몰래카메라 미친 택시편
https://youtu.be/ftjeUfEaYAk

몰래카메라 식수대편
https://youtu.be/yFASmjqQnUc

이게 안 웃긴다면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라스꼴리니꼬프가 소설 속에서 자주 듣는 말.
너도 웃겨! 그래요. 저도 가끔 그렇게 생각합니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레삭매냐 2017-05-26 17: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전해 보고 싶으나, 입상 여부도 확실치 않고 어쩌구 저쩌구 해서 패스해야 할 듯 합니다. 부디 건승을 기원합니다.

AgalmA 2017-05-26 18:01   좋아요 0 | URL
[안티 오이디푸스] 읽는다 읽는다 하구선 여러 해 흘러가서요. 이렇게라도 읽을 계기가 생겨야 끝을 볼 거 같아서^^ 도선생도 이렇게 읽자고 달려드니 하나둘 정리가 되어서 좋더군요. 레삭매냐님도 이언 매큐언 그리 진행되고 계시잖아요^^ 혼자만의 비밀스런 이벤트가 사실 더 재밌죠ㅎ

뷰리풀말미잘 2017-05-26 18: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 미친택시편 엄청 좋아해요. 열번은 봤을 거 같애요. 식수대편은 처음 봤는데 회사에서 현웃 터졌다는.

https://www.youtube.com/watch?v=aWtcsz6O1_0

이거 보셨나요. 여자친구의 아버지가 야쿠자? 편 입니다.

AgalmA 2017-05-26 18:23   좋아요 1 | URL
야쿠자 편 안 끌려서 안 보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수가 너무 보여서 큰 재미는 없는 듯.
이 시리즈에선 택시 귀신 편도 빼놓을 수 없죠^^

겨울호랑이 2017-05-28 20: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 AgalmA님께서 부디 영광의꽃길을 걸으시길 기원합니다. ㅋ 화이링!! (혹시 출판사별 서평 대회 그랜드슬램 도전중? ㅋㅋ)

AgalmA 2017-05-28 19:27   좋아요 1 | URL
제가 좀 시끄럽게 얘기를 떠들고 있기 때문이지 알게 모르게 많이 참여하고 계시죠ㅎ
늘 그렇듯이 저야 재미가 우선입니다ㅎ;
아낌없는 응원 늘 감사드립니다^^

cyrus 2017-05-27 19: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SNS라면 북플도 포함되는 건가요? 애매하게 ‘SNS’라고 말하면, 블로거들은 혼동하겠는데요. 차차석 상품은 뜬금없네요. 장원, 차석 상품과 비교하면 퀄이 떨어지지만, 리뷰 대회에 먹을 것을 상품으로 내건 경우는 흔치 않아요. 차차석도 받을 만해요. 좋은 결과가 들려오길 응원하겠습니다. ^^

AgalmA 2017-05-28 19:29   좋아요 0 | URL
북플도 소셜네트워크에 해당되지 않나요? 소셜 네트워크라고 해도 트위터 경우는 형식을 맞추기에 타당하지도 않죠.
왜 좋은 결과를 바란다고만 하십니까. 같이 하셔야지요!

cyrus 2017-05-29 06:33   좋아요 1 | URL
알라딘의 민음사 공식 서재에 이벤트 공지 내용을 확인했어요. 알라딘 블로그도 된다고 하더군요.

리뷰 대상 도서들의 내용이 어렵습니다. 리뷰 대상 도서 한 권 읽기 전에 해설서 몇 권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
 

 

 

맘에 드는 잉문예술덕후라는 별칭 하나를 얻었다. 그렇담 이제 뭘 하지 고민할 필요는 없었다. 축하 선물과 함께 책이 이정표로 도착했다.

첫 미션인 양효실 불구의 삶, 사랑의 말은 표지와 제목이 맘에 들지 않았는데, 첫 장을 펼친 순간 그런 첫인상을 말끔히 깼다.

 

나에게 가르침을 주고 내 삶을 이끌어 온 것은 나의 체험이 아니라 그 체험을 이야기하는 태도였다.” - 장 주네

 

프랑스 문단의 도발적인 이단아로 취급받았던 장 주네는 창녀였던 어머니와 자신의 이력(거지·도둑·남창) 등 그의 독특한 체험들 때문에 내 생각에주류 체험의 세계에서 논의되기 꺼려지는 작가이기도 하다. 장 폴 사르트르가 성 주네를 쓰며 우리가 가진 태도에 문제의식을 제기했듯 양효실도 태도에 집중하고 있다는 건 매우 신뢰가는 자세였다. 이어지는 프롤로그에서 다시 신뢰되는 자세를 보여줬. 저자는 수업이 끝나면 수업 평가 같은 쪽지를 받았는데 인생의 지침 하나가 당도한다.

 

씨발년, 너는 인간의 탈을 쓴 짐승이다.〔…〕”(마지막 문장은 잊었다)”

 

훌륭한 문장들을 필사하고 인용하는 탐닉자에게 저 문장은 의도를 넘어선 (, 선종(禪宗)에서 꾸짖는 외마디 소리 or 말이나 글로써 표현하기 어려운 불도의 이치를 나타내는 소리)이다. 저자는 저 문장을 존재 이유이자 에너지이자 기회이자 행운이자 삶을 사랑하는 이유로 받아든다.

 

고향을 감미롭게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 미숙아이다. 모든 곳을 고향이라고 느끼는 사람은 이미 상당한 힘을 갖춘 사람이다. 그러나 전 세계를 타향이라고 느끼는 사람이야말로 완벽한 인간이다.” - 레 미제라블의 저자 빅토르 위고가 아닌 12세기 신비주의 철학자 생 빅토르 위고의 말

 

1장에서는 펑크록 1세대를 대표하는 밴드 라몬스(The Ramones) I Don't Wanna Grow Up, 90년대 얼터너티브록의 신화 너바나(Nirvana) Smells Like Teen Spirit, 김행숙 시 -사춘기 3, 라이언 맥긴리와 사라 루카스의 예술, 봉준호 마더를 가져와 아이들을 가두고 우리 자신을 은폐하는 모습을 조명한다.

사라 루카스(영국, 1962~)는 국내에 많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일상적인 소재를 도발적으로 보여주는 거침없는 예술가다.   

 

 

from Self-Portraits 1990-1998

Eating a Banana  1990

 

 

 

Black and White Bunny # 1  1997

 

 

from Self-Portraits 1990-1998

Self Portrait with Skull  1997

 

 

다시 만난 너바나의 가사는 퇴색되지 않는 서슬 퍼런 진실을 담고 있다.

 

I'm worse at what I do best 난 최선을 다할 때 더 나빠져 있어

And for this gift I feel blessed 그리고 내가 받은 축복은 이 재능인 것 같아

Our little group has always been 우리의 작은 무리는 언제나 존재해 왔어

And always will until the end 그리고 세상이 끝날 때까지 계속 존재할 거야

  

  

뮤직비디오에서 협동, 공동체적 활동과 힘, 열정이 합쳐지는 긍정의 장소인 농구장은 거칠고 위반적인 정동의 장소인 록 콘서트장과 중첩된다. 획일화되고 세뇌되었으며 경화된 10대를 상징하는 치어걸들과 콘서트장 객석의 아이들은 모두 좀비처럼 흐느적거리다가 사라져버린다. 남는 건 오직 늙은 청소부와 교장 선생뿐이다.”- 양효실

  

 

곧 여름이다. 여름마다 빠지지 않고 다녔던 록 페스티벌 나들이도 점점 내키지 않았다. 일생에 한번 볼까 말까 한 밴드가 오는 정도의 라인업이 아니라서 더 그렇기도 했다. 3일권을 끊고 3일 내내 술에 취해 음악에 취해 있던 경험에도 타성이 생겼기 때문일 수도 있고, 너바나의 가사처럼 내 취향의 생산이 아닌 소비에 최선을 다할 때 더 소모되는 기분을 계속 느껴왔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올해 지산 벨리 록 페스티벌에서는 내 서재에서도 소개한 바 있는 Asgeir, Gallant 무대가 좀 궁금하다.

오늘도 많은 이들의 예술이 도착한다.


 

Harry Styles - Sign of the Times

 

 

 

 

 

Spoon - Can I Sit Next To You

 

 

 

F. Mendelssohn - Romance sans parole op. 67 no. 2 en fa dièse mineur (piano)

 

 

 

 

아쉽지만 오늘은 여기까지. 일하러 가야 하거든~

다른 사람을 놀라게 하기보다 날 놀라게 하기도 벅찬 하루하루.

아, 날 좋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5-14 15: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7-05-15 01:38   좋아요 1 | URL
ㅎㅎ 아주 어렸을 때부터 저는 돈욕심이 없더라는... 가난에서 벗어나 성공하겠다는 욕심도 전혀 안 생기고ㅎㅎ;
본성부터 잉여로워서 이렇게 사는 게 내 팔잔가부다 합니다ㅎ;;

2017-05-15 02: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7-05-15 02:42   좋아요 2 | URL
일했는데요-,.-
내 컴에서 뭘 가져가려고...미완성 습작노트? 돈 될 만한 협박 물건이 없지만 막상 컴이 작동 안되면 미치긴 하겠죠ㅎ;

서니데이 2017-05-15 02:48   좋아요 2 | URL
1. 일하셨군요.^^;;;
2. 아마도 그런 개인 파일 같은 거 아닐까요. 전에 알라딘 서재 이웃 중에서 실제로 당한 분도 계셔서, 이번처럼 계속 뉴스에 나오면 조금 겁나지요.^^;

cyrus 2017-05-15 18: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역시 AgalmA님이 선정되실 줄 알았습니다. 선정 안 되는 게 이상한 일이죠. ^^

AgalmA 2017-05-16 22:06   좋아요 0 | URL
헤헤 감사드립니다^^ 잉여와 덕후가 같이 느껴지는 B급스러운 별칭이라 더욱 맘에 듭니다ㅎ
cyrus님도 예경 꼭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페크pek0501 2017-05-16 23:0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나에게 가르침을 주고 내 삶을 이끌어 온 것은 나의 체험이 아니라 그 체험을 이야기하는 태도였다.” - 장 주네

이것, 노트에 써 놓고 싶네요. 제가 이래서 책에 미칩니다. ㅋ

뭐든 받아들이는 방식에 달렸다는 것. 그러니까 같은 체험을 하고서도 사람들이 각기 다른 생각을 하고, 다른 삶을 산다, 가 되겠네요.

AgalmA 2017-05-16 23:16   좋아요 1 | URL
저자가 본문에도 밝혔지만 문장 탐독자라 pek0501님이 공감할 게 많으실 듯^^ 글이 너무 길어질 거 같아 제가 인용 안한 문장들이 꽤 됩니다. 그리고 저자도 뛰어난 문장가이기도 하고요.

장 주네 저 말은 흥미롭게도 칸트와 겹치더군요.
˝인간의 도덕적 가치는 그가 얼마나 많은 일을 이루었느냐 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가 얼마나 선한 의지와 착한 마음씨를 가지고 있느냐 하는 데 있다.˝ _ 임마누엘 칸트

우리가 진실되게 느끼는 깨달음은 비슷한가 봄^^
 

 

'대통령도 읽은 책'이라는 타이틀 별로 안 좋아하는데, 노무현 대통령은 책 좋아하는 사람에게도 선생님 같은 분이라 노 대통령이 앙드레 모루아 《프랑스사》 읽는 거 보고 이 책에 급관심 갖게 됐다.
노 대통령은 앉으나 서나 시민 생각만 하고 유시민 같은 사람도 알아보고 가까이 두며 정말 못 말리게 시민스러우셔서 읽는 책도 딱이야! 그런 의미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조국을 가까이 두는 건 운명이다ㅋㅎ 아, 내 이름은ㅜㅜ 한자로는 나라 '정'이 있지만서도.
내가 존경하고 좋아하는 분들이 책 읽는 화보집 나오면 좋겠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5-13 11: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북프리쿠키 2017-05-13 11: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책 곧 지를거 같습니다.ㅎ
좋은 책 소개 감사드려요^^

cyrus 2017-05-15 18: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닭은 글자를 모른다는 걸 당연히 알고 있었는데, 이상한 닭 한 마리가 국제도서전에서 책 몇 권 샀을 때 알아봤어야 했습니다... ^^;;

 
노무현입니다 - 노무현 대통령 미공개 사진에세이
정철 글, 장철영 사진 / 바다출판사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체로 알고 있었지만 사진들을 통해 더 정확히 알게 된 것은 뼛속까지 그분이 그랬다는 것.
말뿐 아니라 마음까지도 꾸밀 순 있지만 본능적으로 나오는 행동은 감출 수 없다.

 

 

그분은
아이들을 만날 때도 모자를 벗고 깍듯이 인사했고 자세를 낮췄다.
어떤 사람을 만나든 가지런히 두 손을 모으고 경청했다.
이마가 땅에 닿을 정도로 절을 하고 상대보다 더 깊이 머리 숙여 인사했다.
어디를 가든 그곳 사람들을 챙겨 인사를 하고 가까이 갔다. 청와대를 개방해 관람 온 아이들이 오면 반갑게 먼저 다가갔다.
나를 높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상대를 더 높이 대하는 마음과 자세가 노무현 대통령의 모든 사진에 드러난다.

장철영 작가가 노무현 대통령을 찍은 사진은 50만 컷이 넘는다. 그중에 고르고 고른 사진들이 모두 그랬다.


문재인 대통령의 행동을 보면 이 분도 영락없이 그렇다. 사람들을 대할 때면 몸을 기울이기 때문에 금세 구부정한 자세가 되는데도 개의치 않는다. 문 대통령 영상 나올 때 잘 관찰해 보시길. 자신이 돋보이기 위해 플래시 앞에 멋진 제스처 취하는 자들과 얼마나 다른지. 못 보는 사람, 안 보려는 사람에겐 읽히지 않는 진실.
 


노무현 대통령은 청와대에 있을 때 이 좋은 곳을 왜 우리만 다니냐고 하며 곧 북악산을 전면 개방했다. 국민들의 권리와 자유를 고민한 사람.

대통령 취임 후 첫 휴일인데도 쉬지 않고 오늘 문재인 대통령이 사람들과 북악산을 같이 오르는 것은 그 의미를 다시 확인시켜 주는 일.

사람을 위한 그들의 마음을 뼛속까지 배우고 싶다.


 


오늘도 문 대통령님과 굿모닝!
고마워요. 노무현 대통령님. ​너무 늦게 알아서 죄송해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5-13 09: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AgalmA 2017-05-13 11:09   좋아요 2 | URL
문재인 대통령이 노 대통령 시절 일할 때 늘 청와대 식당에서 혼자 밥을 먹었다고 하죠, 막힌 공간에선 청탁, 수수 들어올까봐! 따뜻함과 철저함을 갖춘 정말 준비된 대통렸였던 거!

돌궐 2017-05-13 11: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태세전환의 전형을 보여주는 문비엔 보니까 문통이 예전에 좋은 글귀가 있으면 사무소 직원들과 같이 읽고 얘기 나누었다고 하네요. 하루 빨리 문통을 알라딘 서재에 초대해야합니다.

AgalmA 2017-05-13 12:05   좋아요 0 | URL
^^ 소통하려는 사람의 특징이죠. 알라딘 서재 초대 찬성찬성요

페크pek0501 2017-05-13 17: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러니까 뭘 보든 잘 읽어야 하겠죠. 제대로...

AgalmA 2017-05-14 12:45   좋아요 0 | URL
제 얘기 하시는 줄 알고 깜짝요^^;; 네, 그래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