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안무가 웨인 맥그리거의 《아토모스》를 봤다.
Atomos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원자 Atom에서 나온 단어다. 그는 1980년대 SF 걸작 리들리 스콧《블레이드 러너》에서 영감을 얻어 Atomos 제목처럼 영화 데이터를 1200개의 프레임으로 나눈 뒤 컬러나 추상적인 움직임의 형태를 얻어 AI를 동원해 안무를 짰다.
공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1. http://www.lgart.com/UIPage/Azine/Azine_detail.aspx?Id=55809&SearSt=&page=1
2. http://www.lgart.com/UIPage/Azine/Azine_detail.aspx?Id=55840&SearSt=&page=1
3. http://www.lgart.com/UIPage/Azine/Azine_detail.aspx?Id=55874&SearSt=&page=1
3D 안경까지 착용하며 그의 연출을 본 내 소감은 ... 글쎄였다. 그가 최신 기술을 도입해 창작한 의도는 알겠다. 우리가 예술이라고 느끼고 봐온 정형성을 탈피한 움직임과 효과를 만들어보려는 시도였다. 그런데 내겐 특별히 차별적이지도 신선하지도 않았다. 안무도, 무대도, 의상도, 음악도.
1일 1사진
공연을 다 보고 심드렁해져 술이나 마시러 갔는데 후미진 술집과 일상을 꾸리고 있는 사람들이 더 놀라웠다.
맥주 브랜드가 타 기업으로 넘어가 존재하지도 않는 상호를 유지한 채 10년이 지나도록 그들만의 장사 철학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는 호프집(이곳의 단촐한 메뉴판을 찍어 뒀는데 내가 살아 있다면 5년 뒤에 확인해 볼 것이다). 다녀간 사람들의 기억 없이 차곡차곡 쌓인 의자들. 내일 없어져도 이상하지 않을 남루한 일체의 것들. 내일 만나도 안 만나도 그만인 인연들. 한국인보다 더 소주를 챙겨 먹던 외국인들. 붉은 장미 두 송이를 가방에 소중히 담은 채 집으로 가고 있는 할머니.
새로움은 이 익숙함 속에서 내게 더 많이 발견되었다.
문득 리들리 스콧《에이리언 커버넌트》의 심각한 부조화를 깨달았다. 그토록 뛰어난 능력의 AI 로봇을 만들 줄 아는 인간이 19세기와 마찬가지로 허술했다는 게 지금에서야 이상하게 생각되었다. 영화 속 인간은 기계와 더 많이 합체되었어야 했다. 리들리 스콧은 지금 인간의 상상력을 전혀 뛰어넘지 못한 채 영화를 완성했다.
A winged victor for the sull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