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Q 추리퀴즈 프로젝트
황세연 지음 / 산다슬 / 2004년 3월
평점 :
절판


 

 

    < 지난 리뷰 옮기기 >

    작성일 : 2007년 2월 23일

 

 

    『 IQ 추리퀴즈 프로젝트 』는 제목에서 느끼는 것처럼 무언가 복잡하고 어려울 것 같다는 예상과는 달리, 
    어린이용 추리소설책같이 이해하기 쉽고 재밌는 구성으로 추리 문제들을 낸다.
    초급 - 중급 - 고급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중급부터가 조금 풀어볼만한 수준의 내용들이다.
    문제를 좀 더 풀기 쉽도록 그림도 삽입되어 있다.
    평상시 추리력이 뛰어나거나 심도있고 어려운 추리책들을 봐왔던 매니아들에게는 실망만  줄테니 권하고 싶지 않지만,
    이제 막 추리의 세계에 입문하려는 자들에게는 가벼운 워밍업 책으로 적당하다.

    문제의 유형은 크게 "상황 전개를 파악하여 단서를 찾거나 범인을 잡는 형"과 
    "문자나 특정 암호를 풀어  단서를 찾거나 범인을 잡는 형"으로 나뉘어진다.

    사람마다 뇌의 발달 구조가 다르다고 생각하므로 더 잘 푸는 문제가 있는가 하면, 제한 시간을 초과해도 잘 안 풀어지는
    문제가 있다.
    어떤 문제는 읽자마자 답이 나올 정도로 뻔한 내용도 있고, 어떤 문제는 사건 현장에 따라 여러가지 답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는 것을 저자의 주관대로만 일축해버린 어이없는 문제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다양한 상황속에서 문제들을 내려고 노력한
    부분이 보이므로 간접 경험으로 공부한다 생각하고  추리 퀴즈를 즐기기를 -

 

  * 사람마다 IQ와 EQ의 지수가 다르다. 
    둘 중 하나는 높고 하나는 낮을 수도 있으며, 비슷할 수도 있는데.
    IQ, EQ 지수와 상관없이 상상력과 추리력, 논리력, 이해력 등을 사용해야 하는 이런 문제들은 
    내용의 난이도에 상관없이 뇌 운동을 제대로 시켜주는 기회가 될 것이다.
    뇌세포는 창조적인 활동을 할 때 가장 많이 깨어난다고 하니까.

  * 『 EQ 추리퀴즈 프로젝트 』도 제목만 다를 뿐 이 책과 같은 구성으로 다른 내용이 담겨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멋진 로봇친구가 좋다 - 원더랜드 시리즈 1, 로봇공학
이인식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 지난 리뷰 옮기기 >

    작성일 : 2006년 12월 7일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의 종을 크게 나누면 흑인, 백인, 황인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다른 동물보다 뇌 용량이 크고, 직립 보행하며, 스스로 판단하며, 끊임없는 호기심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기를 좋아하고, 그 존재 자체가 스스로에게도 참으로 복잡한 지구의 생물이다.
    흑인, 백인, 황인은 단순히 겉색이 다르다는 구분 말고는 다를게 없는 똑같은 인간이라는 생물이다.
    그러나 이 3종이 지구의 주인인양 잘난 척 하며 멋드러지게 사는 세상은 지금까지일 뿐.
    이제부터는 로봇인도 4번째 종으로써 "인간의 종"에 포함될 날이 얼마 안남았으니까.

    우리는 이미 수 많은 로봇,기계들에 둘러쌓인 환경속에서 살고 있다.
    단지, 우리를 마주보고 말하고 감정을 느끼고 스스로 판단하는 휴머노이드가 아직 없을 뿐이다.
    나는 만화를 좋아해서 어릴 때부터 로봇이나 사이보그, 휴머노이드가 나오는 만화책을 보았기에
    인간과 똑같은 휴머노이드와 함께 사는 모습이 올 것이라는 것에 거부 반응이나 신기한 느낌은  없다.

    만화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대중 매체나 영화를 통해서 사람과 비슷한 로봇을 보았겠지만,
    영화에서 나오는 로봇들은 14년여전, 내가 만화책에서 보았던 휴머노이드에 비하면 아주 '후진'
    단계의 것들이다.
    어쨌든, 불과 50년 전만 해도 지금 사람들이 개인용 전화기를 들고 다니거나 인터넷으로 편지를
    주고 받거나, 우산이나 옷에서 연결 단자로 인해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세상이 올 것이라고  상상을
    못했던 것처럼 -

    로봇이 인간과 똑같이 자아를 가지고 스스로 움직이며 우리와 함께 뒤엉켜 사는 모습이 상상이
    안 가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새로운 시대"로 들어가는 입문서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내가 특히 재밌게 읽었던 부분은, 과거에 이미 로봇과 비슷한 자동기기들을 만들었었다는 내용이다.
    내용이 지루하지 않고 로봇에 처음 흥미를 가지는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했으며 
    여러 다양한 내용이 짤막하게 있어서, 얇지만 나름대로 폭넓게 로봇에 관해 알아가는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All-color 로 된 사진들도 많이 있어서 읽는데 더한 재미도 준다. 
    단지, 나한테는 이미 기존에 알던 내용들이 많아서 신선한 맛은 없었지만.

    책을 읽으면서, 언젠가 우연히 TV에서 누군가 했던 말이 떠올랐다.

    "인간은 자신과 비슷한 - 기본적으로 걷기, 말하기, 간단하게 스스로 생각하기 등이 가능한 - 로봇을 보면
     동질감과 호의감을 느껴 귀여워한다. 
     그러나 피부나 눈.코.입 등 인간과 너무 흡사하게 만들어진 로봇을 보면 혐오감이나 거부 반응을 보인다.
     기술의 부족으로 현재 시범적으로 만들어져 선보인 인간형 로봇은 아직 표정이나  피부,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99% 똑같고 1%만 달라도 인간은 그 아주 작은 미세한 차이점을 찾아내기 때문이다.
     부자연스런 인간-로봇은 무의식적으로 시체나 좀비를 보는 것과  같은 심리적 반응이 일어나게 만들기 때문."

 
    그렇다면, 만화책에서 보았던 것처럼 100% 인간과 똑같은 유기체, 인공혈액, 인간의 두뇌와 똑같은 
    장치가 있는 휴머노이드라면 거부 반응 없이 친구처럼 가족처럼 함께 살까? 

    멀지 않은 근 미래에, 가정마다 입양시킨 휴머노이드가 애완 동물 대신 있거나,  애완 동물을 함께 기르는
    가족 구성원으로써의 시대가 오겠지.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로봇이 우리 인간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될 것인가, 
   긍정적인 존재가 될 것인가 라는 논쟁과 염려와 기대는 -

   몇년 전, 인간 복제가 유익한 면이 더 많을 것인가, 해로운 면이 더 많을 것인가 라는 것만큼 
   새 시대의 큰 고민거리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 왕자 클래식 보물창고 43
생 텍쥐페리 지음, 이효숙 옮김 / 보물창고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지난 리뷰 옮기기 >

    리뷰 작성일 : 2006년 12월 7일

 

    순수.... 그 하얀 이름의 대명사 - 어린 왕자
 

  내가 어린 왕자를 처음 읽은 때는 13살쯤이었다.
 생떽쥐베리가 6살 때 그렸던 "코끼리를 삼킨 보아구렁이"의 그림을 보고  어린왕자와 비슷한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나 역시 그것을 "모자인가?" 하고 고개를 갸웃거렸었다.
 그러나 보아구렁이의 속을 그린 [그림 2]을 보고 나서 [그림 1]에서 보아구렁이의 아주 작은 눈을 찍은
 점 하나를 발견하고 "아하-!" 하고 했던 기억이 난다.
 그 그림에 대한 기발한 생각이 마음에 들었던지 나는 몇번이고 코끼리를 삼킨 보아구렁이를 그리면서
 어린 생떽쥐베리가 그랬던 것처럼 나 역시 주변 어른들에게 물어보았었는데,
 책 속의 어른들처럼 현실의 어른들도 똑같은 반응을 보이는 것을 재미있어 했던 기억이 난다.
 

 나에게 "언젠가는 사하라 사막에 가서 꼭 어린왕자를 만날거야." 라는 목표를 가지게 만들어 주었던
 그 책은 15년이 지나 빛이 바랬지만, 언제까지나 나의 책들 중에서 [보물 1호]로 되어 있다.
 다른 책을 구매하려고 알라딘에 들어왔다가 우연히 새로 나온 영문판 [어린 왕자]라는 책을 보고

 "그래. 원문으로 되어 있는 것을 하나  가지고 있는 것도 좋을거야."

 라며 구입을 해서 다시 한번, 어른이 되어서 [어린 왕자]를 만나게 되었다.
 책은 순식간에 읽어버렸지만, 내용과 그림들의 표현은 여전해서 미소가 나왔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어린왕자의 그림들과는 약간 다르게 변형된 그림들이지만 나름대로 이쁘게
 꾸민 것 같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100% 영어 원문책이기를 바랬는데, 좌측 면은 한글, 우측 면은 영어로 꾸며진
 반반의 영문판 책이었다.
 영어 공부를 위한 사람들에게는 같이 볼 수 있어서 좋겠지만, 원문 소장을 원했던 나로써는 조금 아쉽다.

 게다가 역시, 영어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해 책 내용을 그대로 읽어준 CD 가 들어 있는데  솔직히 CD 의
 내용은 만족스럽지가 않다.
 [어린 왕자]는 내용이 동화처럼 부드럽고 다정하면서 순수한 글.
 구연 동화를 하는 것처럼은 무리라도, 잠을 자려는 아이들에게 읽어주듯 다정한 목소리의 듣기 좋은 속도로
 읽어주는 소리를 녹음했으리라 기대했던 나의 마음을 실망시켰다.
 정이 안가는 딱딱한 여자 목소리가 아주 빠른 속도로 그야말로 "국어책 읽듯이" 후루룩 읽는 소리다.
 영어가 어느 정도 되는 사람이 아닌, 초보자에게는 쉽게 도움이 되지 않는 CD가 될것 같다.
 

 책 사이즈는 일반 책보다 조금 작은 아담한 사이즈라서 휴대하기에 간편하다.
 그리고 영어 원문 공백란에 몇개씩 단어 뜻을 써 놓은 것이 있어 읽으면서 단어 공부도 된다.
 [어린 왕자] 책이 아직 없는 사람에게는 소장본으로 좋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eath Note 후속편

     L - Change the World

    개봉일 : 2008. 02. 21 (한국)

    관람일 : 2008. 02. 24 (00:20)

 

 

    볼 만했다.

 

 

   

     (영화에 없는 장면)

     (영화에 있는 장면)

     (영화 촬영 뒷 장면)

     와타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08-02-25 14: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한 줄의 영화평 "볼 만하다."는...극하로 봐야 하나요 극상으로 봐야 하나요?

L.SHIN 2008-02-25 18:12   좋아요 0 | URL
어린애처럼 심술부리기에는 몇 군데 괜찮은 구석이 있고..
좋게만 봐주기에는 좀 심난해서 말입니다.
 
Katharine McPhee - Katharine McPhee
Katharine McPhee (캐서린 맥피) 노래 / 소니뮤직(SonyMusic)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날카로운 칼날이 비닐 껍질을 가르고 투명하고 얇은 케이스가 딸각 열려 처음 만난 CD를 꺼낼 때의
    신선한 기분을 좋아한다.
    새 책의 고소한 종이 냄새가 이제 막 뜨끈하게 요리되어진 맛있는 먹거리로 침을 삼키게 만든다면,
    새 음악의 낯설면서 익숙한 리듬감이 영혼의 숲에 닿을 때의 상큼함은 나를 촉촉하게 적셔준다.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케이블 채널에서 보았을, '아메리칸 아이돌' 프로그램에서
    얼마나 많은 이들이 자신의 개성을 뿜으며 멋진 멜로디를 세상에 내보이는지 알 것이다.
    내가 이 캐서린 맥피 (Katharine Mephee)를 알게 된 것은 핸드폰 MP3에 Over it 이라는 노래를
    사서 담게 된 것이 계기이지만, 그녀가 지난 아메리칸 아이돌 시즌에서 당당히 준우승자가 되었다는
    사실은, 그녀의 귀엽고 아름다운 목소리와 리듬을 들으면 그다지 놀랍지 않다고 느껴질 것이다.

    머라이어 캐리 창법이긴 해도 자신의 스타일을 추구하려고 노력하는 풋풋한 신인의 색이 담겨 있다.
    단지 조금 아쉬운 점은 조금만 더 자신의 색을 찾아내어 개성있는 창법과 가창력을 보여주길 바라는
    마음이 생기는 것은 내 욕심일까.

    Dangerous 라는 노래는 순간적으로 마이클 잭슨의 그 Dngerous 노래를 듣는 듯 했고,
    Better off alone 라는 노래는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Christina Aquilera) 가 깜짝 출연 한 듯 했으며,
    Neglected 라는 노래에서 저음으로 부르는 부분은 약간 토니 브랙스톤 (Tony Braxton) 을 닮았다.

    게다가 총 12곡의 노래들이 감미로운 pop곡과 경쾌한 dance곡이 서로 경쟁이라도 하듯 번갈아 나오는 것이
    조금 산만한 느낌이 나서 곡 나열 편집이 못내 아쉽다.
    제작자는 나름대로 청취자의 지루함을 없애고자 한 편성이겠지만, 센스 부족이다.
    경쾌한 곡을 2,3곡 이어주고 난 다음에 감미로운 곡이 1,2곡 들어가야 감상을 하는데 더욱 더 매끄러울텐데.

    어쨌든, 이런 사소한 부분이 아쉬운 앨범이긴 하지만 앞으로 더 좋은 목소리와 감성으로 아름다운 음악들을
    세상에 내보일 가능성이 무궁한 가수라고 기대하기에 부족하지 않은 좋은 곡들로 꽉차 있어
    오늘 이 밤 -
    내 방안의 공기들이 즐겁게 춤을 추며 일렁인다.

 

     

 

 

 

 

        음악아, 네가 있어 오늘도 세상이 아름답구나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08-02-22 2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캐서린 맥피는 준우승이었는데요. 우승은 '테일러 힉스'가 했어요.
저도 [Over it]을 너무너무 좋아하구요, [Open Toes]도 좋아요. 띠리띠띠리~ 하는게 흥겹죠. 훗.

캐서린 맥피의 싱글앨범도 좋아요. 그녀의 『Somewhere over the rainbow』는 최고예요!

L.SHIN 2008-02-23 01:21   좋아요 0 | URL
어랏, 그랬나요? ㅡ_ㅡ (긁적) 아, 맞다. 그렇구나. 얼른 고쳐야지~ ㅋㅋ
고마워요, 친절한 다락님 ^^
저도 Open Toes 좋더라구요. 역시 좋은 노래는 다 통한다~ 그쵸?
오, 그 싱글곡은 안 들어봤는데. 다음에 기회되면 저도 들어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