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호 紫砂壺 - 인간과 자연의 조화가 깃든 다기 미학의 정화
배금용, 심재원 지음 / 다빈치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차를 마시는 생활을 하면서 뒤늦게 자사호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차를 우려마시는 품격에 있어 자사호를 빼놓을 수 없었다. 처음 자사호에 마음을 빼앗긴 것은 일체의 문양과 조형의 붙임이 없는 서시호나 철구호 그리고 방고호였다. 심플하면서도 그 선이 가진 아름다움에 반했고 또 차와 더불어 차도구로서 조화가 뛰어났던 것이다.

 

  그렇게 관심이 시작되어 도자기에서 자사호를 한 점 두 점 구입하기 시작하여 이제 스물 여점이 넘게 소장하게 되었다. 그와 함께 자사호에 대해 조금 더 알고 싶어졌다. 어떻게 이름붙이고 유명대사의 자사호는 무엇이 다른 점이며 자사호의 니토의 재료는 어떠한지 또 청차를 마실 때 숙차를 마실 때 오룡차를 마실 때 홍차를 마실 때 철관음이나 용정차를 마실 때 어느 자사호를 사용하면 좋을 지에 대해서도 좀 체계적으로 알고 싶은 욕구가 생겼다.

 

  자사호는 보이차와 함께 중국에서 사용한 차도구이므로 원서를 구입해서 해독하기가 쉽지 않았고 그나마 우리나라 번역본이나 차에 관한 책의 번역본은 내용과 문맥이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중간 중간 그 이해가 끊어졌다. 자사호에 관한 책도 몇 권 읽었지만 자사호를 구할 때 전수공, 반수공, 기계제작의 구분과 이름붙이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잘 알 수 없었다. 그런 점에서 재료와 제작방법 형태에 따른 이름의 분류 등 자사호에 대해 내가 궁금한 부분을 가장 체계적이고 알기 쉽게 잘 설명한 책을 만난 기분이었다.

 

  이 책은 한 번 보는 책은 아니다. 자사호를 꺼내 보면서 그 흙의 특성을 살피고 제작과정을 두껑을 열고 안을 들여다보고 또 나아가 고온소성인지 저온소성인지 자사색깔을 구별하고 전체적인 조형과 출수와 절수와 금수가 잘 되는지 살피는 등 실전에서 적용해야 할 부분들이 상당히 많다. 그래서 이 책은 실전용으로 쓸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장점이 크다고 생각된다.

 

  자사호는 결국 차와 뗄 수 없는 관계다. 차를 통해 하늘과 땅과 인간이 만나는 '선'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가장 마음을 가라앉히고 보다 크게 호흡을 들이키고 차 속에 스며든 천지의 기운을 들이켜 음미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 시공간적 공간 속에 자사호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그 차맛을 감상하고 또 벗들과 좋은 대화로 만남을 가질 수 있다면 그것은 또 하나의 인생의 즐거움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