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의 즐거움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6년 4월
평점 :
품절


  대학생 글쓰기에 이어 이 책도 손에 잡았다. 하지만 뭔가 더 마음을 끄는 글쓰기의 특별한 스킬같은 것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그저 글쓰기가 늘 어렵지만 막상 마음의 실타래를 풀어놓으면 막 써내려가는 나의 글쓰기의 가벼움을 좀 되돌아보는 기회를 갖고 싶었다. 때로는 날리는 듯한 글로써 일관성도 논리성도 결여된 빈약한 문장을 보면서 그래도 사회과학을 공부하는 사람인데 최소한의 사회과학적 글쓰기에 부끄러움이 적어야 한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책을 덮는 순간 바로 컴퓨터에 앉아 키보드에 손을 올리는 습관부터 고쳐야 한다. 최소한 필기구로 하얀 종이에 이 책의 리뷰를 어떻게 쓸 것인가? 하는 간단한 전략적 사고라도 해야 한다. 그런데도 그냥 자리에 앉은 나는 아무래도 시행착오를 더 거쳐야 하는 업을 가졌나보다. 글을 쓸 때 자신의 사고만으로 글을 이어갈 수 없는 글에는 반드시 책이나 자료, 또는 정보를 인용해야 한다. 그 인용할 자료를 어떻게 수집하여 고르고 정리하여 글의 어떤 부분에 인용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끝나면 사실 글쓰기의 절반이 끝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은 글의 전체적인 맥락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하는 과정과도 함께 한다.

  심리적 유혹이나 감정적 통제에 관한 오류도 흔히 범한다. 흑백논리에서 한 쪽에 몰입해야 한다는 유혹, 거대담론에 대한 결론의 유혹, 도식주의의 편리성이 주는 유혹과 과장, 몰입에서 오는 처리하기 힘든 감정 문제. 때로는 어느 한 쪽의 견해로 미끄러져버리는 나를 본다. 그것의 옳고 그름을 따지기 이전에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가에 따라 50%의 결론이 정해져버린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우리에게는 '거리두고 바라보기'가 필요하다.

  수사학과 국어학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는 꼭 필요하다. 우리 나라 사람으로써 국어에 대한 애정은 물론이거니와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에 담긴 원리와 의미에 대한 이해도 요구된다. 다석 선생님은 그 한글의 깊은 의미를 되살린 사람 중 하나다. 물론 한글학자 중에서도 그 의견이 분분한 것들도 많지만 이럴 경우에는 자신이 마음에 드는 바를 취하면 되겠지만 적어도 명백한 오기나 중요한 오류는 고쳐가며 쓰는 것이 필요하다. 짬짬이 우리말 바로 보고 쓰는 공부도 해야 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시사 논쟁의 이해는 바로 내가 글쓰기에서 배워야 할 부분을 현실적으로 적용한 실전학습란이다. 고등교육을 받는 대학생이나 일반인들은 이런 글쓰기에 좀 더 훈련되어야 한다. 물론 실전 글쓰기에 앞서 실전 글읽기와 균형잡힌 인식이 필요하다. 양자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 손등과 손바닥의 관계이다. 논쟁적인 문제에 있어 상반되는 양자의 입장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이해하는 것과 그 논쟁을 둘러싼 이해당사자들의 입장과 주장을 마음을 열어놓고 이해하는 것은 그 상충되는 의견의 합의를 이루어내는 민주적 절차를 거치는 데 필수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세상을 담아내는 마음의 그릇을 넓혀야 비로소 전체적인 시각과 대안이 도출될 수 있다. 나를 넘어서 타인에게로 마음이 열려야 하고 또 나와 상반되는 타인에게도 그 마음을 이해하려는 마음이 열려야 한다. 비로소 나의 입장과 그의 입장이 나의 마음에서 서로 맞물리고 감아들어 내 입장만도 그의 입장만도 극단적으로 주장할 수 없게 된다. 마음은 더 나아가 서로를 고려하면서도 전체적인 흐름과 구조를 놓치지 않게 되어야 한다. 사회와 세계의 흐름과 그것이 바른 방향인가에 대한 물음은 인간 사회와 지구 그리고 우주의 관계에서 되묻고 다시 나에게로 돌아와야 한다. 비로소 그 속에서 나의 길이 보이게 되고 세상의 모든 갈등이 관계한 인드라망을 본 후에 내가 제시하는 결론과 대안은 아무런 사심없이 마음에서 일어난다.

  너무 말도 안되는 결론인가? 그가 얘기하듯이 단순한 이념적 관점과 입장적 관점에서 벗어나 거리두기를 하면서 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관점과 사회적 구조와 흐름을 둘러볼 수 있을 때에야 비로소 한 쪽으로 치우친 글쓰기가 되지 않고 상대방의 비판과 입장을 뻔히 알면서도 쓰는 글을 피할 수 있을 것 아닌가? 그러려면 결국 마음이 열리지 않고서야 어찌 말의 논리만으로 상대방을 설득시키고 합의를 유도할 수 있겠는가?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자림 2006-09-10 2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책도 읽으시는군요.^^ 저는 글 쓰기를 좋아하지만 자주 안 쓰고 진지하게 안 임해서 그런지 아직까지 이런 종류의 책을 일부러 읽지는 않는 것 같아요.
다만, 이 세상에 여러 종류의 글이 있고, 사람들 모두 나름대로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추측하고 산답니다. 장르를 벗어나서 그가 가장 잘 쓸 수 있는 글은 가장 많이 생각해 보았고 가장 잘 알고, 가장 말하고 싶은 분야가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을 해요.


달팽이 2006-09-11 0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본적으로 님의 생각에 공감합니다.
다만 저의 글쓰기가 너무 엉망인 탓에 사람들이 읽기에 불편함이 많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과 더불어 아이들의 논쟁문에에 대한 수행평가를 지도하면서 그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더군요..

비자림 2006-09-11 1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글쓰기가 엉망이라뇨? 당치 않으십니다. 근데 수행평가 지도상 책을 읽는다는 말씀에 감동이 이는군요. 좋은 선생님들이 많은 세상이에요.
저는 실업계에 있어 술러덩술러덩 넘어가며 살고 있는 것 같아요. 반성해야 하는데..^^ 되려 현실을 잊기 위해 장편소설들을 읽고 사는 시간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