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도자사 - 분원의 설치를 전후한 조선 전기 도자의 역사
김영원 지음 / 일조각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전기의 도자사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책 중 하나다.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청자인지 분청사기인지 뚜렷하지 않은 기물들을 보게 되고 또 그 가마터 조사를 통한 파편과 기물들을 통해 조금은 접근해갈 수 있었다. 흔히 왜 분청사기라는 도자기가 생산되었고 언제쯤 왜 쇠퇴의 길을 걷다가 언제쯤 소멸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정확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조선 전기 도자사의 흐름에 대한 설명을 통해 이런 궁금증을 조금은 풀어주고 있다.

 

  또 나아가 백자의 사용이 언제부터인지 연질백자와 경질백자의 사용이 언제쯤인지....상감백자의 연질백자의 예와 경질백자의 예에 대한 풍부한 자료가 아쉬웠다. 세조 연간 이후 조선에서 청화백자를 자체 생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토청의 존재와 그것이 사용된 기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이 없는 부분도 아직 아쉽다. 토청이 사용된 예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두껑 달린 백자청화매조문 호를 많이 드는데... 그 외에도 다른 기물을 볼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다. 비록 자기편이라도 토청의 색감이나 그림 형태를 통해 그 시대를 조금은 들여다볼 수 있으리라 기대했기 때문이다.

 

  나름대로 많은 노력을 들여 정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도자사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없었다고 생각하며 그래서 새로운 것이라 할만한 것도 없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정품을 눈에 익히면서 내가 가진 기물들에 대해 다시 보고 생각해보게 된 기회는 되었다. 아직 청자인지 분청사기인지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그렇다고 깨어서 태토를 살펴볼 수도 없고, 조형과 상감기법과 청자빛깔로 보면 14세기 말의 청자인지 15세기 초의 분청사기인지 아직 미결상태다. 그래서 앞으로 더욱 공부를 해야 하는 숙제를 갖게 된다.

 

  조형과 사용된 청화안료, 회화의 양식과 쓰인 유약의 상태 등 많은 것을 다시 살펴보아야 하리라.  굽을 처리한 방식도 내화토 빚음인지 태토 빚음인지 가는 모래 받침인지 굵은 모래받침인지 갑발을 씌워 구워낸 것인지에 대해 보는 안목이 더욱 필요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실물을 보는 기회를 더욱 자주 만들어야 하겠다고 생각한다.

 

  책 한 권으로 또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해 준다면 그 한 권의 역할을 다 한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