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그리다 - 세계 지성들의 빛나는 삶과 죽음
미셸 슈나이더 지음, 이주영 옮김 / 아고라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책을 들고서 처음 눈에 띈 것은 고흐의 그림 '별이 빛나는 밤'이었다. 이 기분 좋은 그림을 보면서 죽음에 대한 작가들의 생각과 삶을 볼 수 있을거라는 기대로 책을 펴들었다. 하지만 서양의 작가들의 죽음에 대한 단상은 별로 재미가 없었고, 죽음의 몇 일간의 과정을 담은 얘기는 그들의 삶과 유리되어 펼쳐져서 아무런 감동이 없었다. 책을 놓고 이렇게 혹평을 해서야 되겠냐만 적어도 죽음의 순간에 그들이 가졌던 생각들이 우리들의 삶에 어떤 메세지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기대하고는 너무 어긋나버린 이 책을 도저히 끝까지 읽을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표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맹이를 담지 못한 이 책을 그냥 넘겨버릴까 생각하다가 그래도 조금의 단견이 있어 적어보기로 한다. 우선 이 책을 쓸 때 죽음의 과정 몇일간을 그릴 생각이었다면 그 죽음의 과정이 우리들에게 무언가 교훈과 메세지를 주는 죽음을 선택했어야 했다는 생각이다. 죽음의 순간은 생리학적으로 보면 심장의 박동이 영구히 정지하는 모든 사람에게서 일어나는 보편적인 현상에 불과하다. 하지만 죽음을 놓고 사자가 내뱉는 마지막 언어는 그의 삶의 농축되었을 수도 있다. 그런 면에서 그의 삶이 지향한 것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죽음에 대한 작가의 생각들만 이어진다. 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깊은 생각을 엿볼 수 없다. 그런 면에서 죽음에 대한 다른 문화를 가진 동양 작가들을 배제한 채 서양 작가들의 죽음만을 모아놓은 이 책이 상실한 균형감이 아쉽다.

  그들의 삶과는 유리되어 한 토막의 일반적인 죽음의 이야기로 전락해버린 이 책에서 쓸데없는 죽음의 몇 일을 그리기보다는 차라리 그들의 죽음의 목소리에 그들의 삶과 사상과 영혼을 불러들여서 그것을 죽음의 의미있는 말들과 연결시켰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우리가 다시 그들의 삶을 찾게 하고 그들의 작품을 찾게 해야 되는 것이 아닐까 하고 말이다. 대부분 의미없는 말로 구성된 그들의 죽음에서 그들의 마음이 지향했던 바를 읽어내지 못한다면 그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그렇다면 작가의 몫은 그 양자를 이어주는 것이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