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역사로 읽고 보다
도재기 지음 / 이야기가있는집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대한민국의 문화재에 관심있는 사람치고 국보에 대해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국보의 선정과 관련한 배경이야기나 왜 몇 호의 국보로 넘버링되고 어떻게 관리되는지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저자는 20년이 넘는 문화부기자생활을 거치며 관심을 갖고 정리해 둔 우리나라 국보에 대한 정보를 일반인이 알기 쉽도록 그 흥미로운 이야기를 곁들여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언제 처음 만들어졌고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고 어떤 예술적 건축적 가치를 갖고 있으며 언제 훼손되어 재중건을 거쳤는지에 대해 자세히 스토리를 써내려가며 사람들의 시선을 끈다.

 

  시기별로 우리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 않는 상고사에 대한 국보급 유물에 대한 설명은 새롭다. 특히 최근의 발굴의 성과들을 꼼꼼히 정리하여 선사시대에 대한 유물도 깔끔하게 정리하고 있다. 물론 상고시대는 그 국가 경계가 지금의 민족적 경계와 다르고 따라서 그것이 어느 민족 또는 국가의 것이라고 전적으로 주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기에 조금 더 폭넓고 깊은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그래야만 중국이나 일본에서 적극적이고 공격적으로 문화재 등록을 통한 피해를 보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갈수록 이 땅에 묻혀진 많은 상고사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기반으로 더욱 상세한 지도를 그려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흔히 공예품이나 건축물은 지금과 가까울수록 더욱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우리나라 국보의 특성은 조금 다르다. 많은 외적의 침입과 약탈을 거치면서 최근의 문화재가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고려시대 청자는 많은 해저유물의 발견으로 흔해진 반면 조선 초기의 백자를 비롯한 왕실용 정품 백자의 가치는 더욱 귀하게 되었다. 재료의 소재에 따른 목조 건축물은 그 특성상 남아 있기가 힘들다. 토성도 오랫동안 남아있지 않듯이....... 특히 전세품을 통해 유물이 현세에 전해지는 것은 정말 희귀한 일이다.

 

  한국의 국보는 대부분 1960, 70년대에 지정되었기 때문에 그 이후의 반환 또는 발견에 따른 가치가 재조정되면서 국보지정도 수정되어야 하지만 아직 관방은 민간 소장의 다양한 유물에 대해 잘 인정하지 않는다. 더욱 해외로 나간 문화재에 대한 인식과 그것의 민간차원의 회수와 소장에 대해 인정하는 것에 매우 엄격하다. 그러나 수많은 민간 소장 문화재와 한국 공예품과 예술사의 공백을 메꾸어줄 수 있는 다양한 기물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인정과 수용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래야만 주변국의 문화재로 등록되고 문화재의 소유권조차 빼앗기게 되는 상황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외국 문화재에 대한 환수에 대한 문제도 복잡하다. 정당하게 거래된 물건이 소장자를 여러 단계 거친 것까지 환수하기는 어렵고 또 다 환수한다고 능사가 아니다. 오히려 외국에 있는 문화재의 전수조사를 해서 정당한 절차로 나간 것에 대해서는 대여 또는 현장전시를 통해 한국문화재를 세계에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강제 탈환 과정과 그 경로를 증명하지 못하면서 정황으로 우리문화재를 반환하라고 하는 것도 옳지 못하다는 생각이다. 조금 더 오랜 시야와 노력을 통해 우리 문화재를 우리가 아낄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