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깊다 - 서울의 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사
전우용 지음 / 돌베개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산은 넓다'를 아주 기분좋게 읽은 나는 '서울은 깊다'라는 제목에서 끌렸다. 비록 대한민국의 수도이기는 하지만 내가 거주한 것은 1년 정도 밖에 되지 않으니 그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고 보아도 된다. 즉 어떤 거리와 건물과 지리를 이야기하면 내가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가 적다는 말이다. 그렇지만 오늘날 서울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알 수 없는 역사 속의 어떤 이야기들이 내 눈을 통해 가슴을 자극시킬 것인지가 궁금했다. 그리고 서울은 그 피상적인 느낌과 더불어 대한민국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그 이름으로도 너무나도 익숙했다. 바로 이렇게 익숙함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낯섬이 나로 하여금 이 책을 들게 만들었다.

 

  조선의 역사와 더불어 서울은 우리나라의 500년 수도로서의 첫 출발을 하였다. 우선은 그 어원부터인데 '새벌'로 새로운 도시라는 의미를 가진다. 서울의 동서남북과 보신각이 유교의 인의예지신에서 왔고 그런 의미에서 유교의 도시라고 불러도 될 것이다. 왕 중심의 사회를 바랬던 이방원이나 그에 의해 죽임을 당했던 신권 중심의 정치를 바랬던 정도전이나 모두 유교중심의 질서를 세우려했다는 점에서는 함께 하였다.

 

오랜 기간 우리나라의 수도였던 만큼 한국사를 관통해간 거대한 사건들은 서울을 비켜가지 않았다. 왕조의 흥함 속에서도 서울은 함께 했고 왕조의 쇠퇴와 몰락의 길에서도 서울은 함께 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경성의 모습으로 일제식 건물과 문화가 쏟아져 들어왔는가 하면 6.25 동란으로 인한 파괴와 피해를 고스란히 간직하여야 하였다. 1950년대부터 고달픈 경제개발이 시작되고 80년대 후반이 되어서 대한민국 모든 지역의 영양분을 흡혈귀나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기 시작하였으며 오늘날에 와서는 서울은 괴물로 변하고 말았다.

 

  이런 서울에도 그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 민초들의 삶과 정과 애환이 깃들여 있었고 선비들의 정신도 있었고 정자문화의 풍류도 있었으며 무엇보다 권력을 향한 의지와 피비린내도 진동했다. 시대에 따라 땔감을 해서 먹고사는 직업도 있었고 뱀을 잡아서 팔아 먹고사는 계층도 존재했으며 근대에 와서 물장수도 등장했다. 복덕방도 이 시기에 등장하며 새로운 직업으로 화려하게 무대 위로 올라왔다. 특히 이 책에 실린 서울의 근대 모습 사진은 내가 처음 접하는 아주 귀한 자료처럼 보인다. 서울이 복잡한 건물들로 가득 메운 곳이 아닌 한적하고도 여유로운 공간 속에 가로수길도 흙길도 그리고 청계천에서 빨래를 하던 아낙들의 모습도 청계천에 몸을 담그며 물놀이를 하던 아이들도 모두 친근했다. 한 권의 책을 통해 서울을 알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이 한 권의 책이 우리 나라의 수도 서울을 조금은 정이 붙게 만들어 준다.

 

  현재 우리나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현상의 블랙홀로 대한민국 사람으로 나면 서울로 올라가야 한다는 말처럼 기회의 땅이기도 하고 착취의 공간이기도 하고 급속하게 변화하는 빠른 시간의 블랙홀이기도 한 이 공간 서울,  이 곳을 시대의 창을 통해 바라보니 사람들의 의식과 생활사가 새롭고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