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화선 - 조계종 수행의 길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엮음 /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 불교는 대체로 조계종이다. 조계종은 조사선과 화두선을 중심으로 깨달을 지향하는 불교의 맥이다. 비로 재가자이지만 마음공부에 관심이 있어 공부한지 그리 오래되지는 않지만 마음을 세워 공부를 한 경험들이 이 책에서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잘 정리되어 있다. 간화선이 무엇인지, 화두를 들어 참구하는 것이 깨달음으로 가는데 왜 필요한지, 선지식의 도움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했기 때문에 재가자로서 혼자 공부하는 사람이라도 이 책을 지침삼아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든 책이다.

  신심과 발심, 의심이 제대로 갖추어져야 화두를 들 수 있는데, 사실 나에게는 그 기초부터가 부족함을 알겠다. 화두는 그저 든다고 해서 들어지는 것이 아니며 대신심과 대분심 그리고 대의심이 생겨 강하고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간절함이 있어야 하고 그것이 부족하다면 채우려는 뼈저린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준비가 되지 않은 사람에게 화두를 억지로 드는 것은 그 효과가 없는 것이며 그에 따른 부작용도 생기게 마련이다.

  화두를 들기 위해 아침 저녁으로 명상에 드는 방법은 큰 도움이 된다. 특히 그 시간에 화두를 들고 참구하는 버릇을 한 시간만이라 가지게 된다면 일상에서 행동에서 늘 그 화두가 침투하는 힘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화두 공안에 관계되는 책을 몇 권을 읽어보았지만 책을 읽어갈 때의 마음이 일상생활에 침투되지 않는 것은 아직 3요에 관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마음까지 놓아서는 안됨에도 불구하고 그간에 흩어지고 혼미해진 마음의 경계들이 다시 시작함을 어렵게 한다.

  우선 잠자리에 들기 전 명상과 아침 깨어나서 하는 명상을 다시 시작해야겠다. 특히 아침 명상에서는 잠을 뿌리치기 위해 절수행이라든지 걷기 명상이라든지 나름대로의 대책과 함께 시작해야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화두 참구의 단계가 나의 경험으로는 동정일여 몽중일여의 단계가 뚜렷하지는 않고 혼재되어 조금씩 나타난 듯 했는데 역시 바른 공부가 아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나마 오매일여는 한 번도 경험해보지 않았으니 말이다.

  화두앞에서 깨어 있는 것, 만법귀일 일귀하처에서 그 하나가 돌아가는 곳, 그 곳에 대한 큰 의문으로 깨어있는 마음가짐을 내 속에서 만들어내고 키워가는 것이 필요한데,,, 그래서 의성이 생기고 그것이 큰 덩어리로 뭉쳐져 내가 화두와 하나되어 생활하는 지속이 이루어지게끔 해야 하는데....이 책에서 너무나도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행의 방법과 수행 중의 문제점에 대한 것까지 정리가 되어 있어서 실제로 화두참구를 하는 수행자에게 있어 주변에서 선지식을 만날 수 없을 때 아주 필요한 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자신에게 맞는 화두를 참구하는 것, 나에게는 어떤 화두가 맞을 것인가? 자신과의 인연으로 우연히 만나게 되는 그런 화두, 화두를 볼 때 좀 더 잘 잡히고 인연이 되는 화두를 찾는 것이 필요하고 그것이 찾아졌다면 이제 3요의 마음을 갖추고 화두 참구에 들어가보는 것이다. 일대사의 인연을 해결하기 위한 공부, 이미 빠르지 않게 시작한 공부에서 더욱 지체하고 게으름피울 시간은 없다. 조급해서도 안되겠지만 우선은 나의 나태해지고 게을러진 마음부터 바로잡아야겠다.

  화두, 그것으로 조사님과 부처님의 그 마음 속으로 들어가보자. 그들과 다름없는 진정한 나를 찾아보자. 세상의 많은 깨달은 자와 앞으로의 또 많은 부처님들, 자유롭고 자유로운 삶 속에서 걸리지 않는 뜻을 펼쳐보자. 내 죽음을 넘어 나 스스로의 주인이 되어 보자. 과연 그것이 무엇인지 궁금하지 아니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