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간디학교 아이들 - 간디학교 교장 양희규의 '행복한 작은 학교' 이야기
양희규 지음 / 가야넷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작한 대안학교인 '간디학교'가 어떤 배경에서 누구에 의해 계획되고 설립되어 왔는지 그리고 어떤 교육이념과 철학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궁금했다. 또한 이 땅에서 교육자로서 살아가는 내게 있어,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들과 만나고 제도교육 속에서의 그들의 드러나지 않은 고통과 상처를 보고 있는 자로서 과연 행복한 배움의 터가 있을까? 라고 하는 의문 속에 이 책을 신청하였고, 이 책이 도착한 오늘 바로 읽어갔다.

  양희규 교장선생님의 어린 시절 제도교육에 대한 불신과 상처들은 참다운 교육에 대한 꿈으로 이어졌고, 그것은 때로는 순응해버리고 그럼으로써 포기해버린 내 어릴 적 꿈이었고, 내 청춘이었다. 하지만 그것이 나에게는 묻혀진 시간들이었다고 한다면 저자에게는 그것이 자신의 다음 생을 열어가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는 것이 나와는 다른 점이었다. 꿈과 상상력을 말살시키는 교육현장에서 그가 느낀 배신감과 좌절은 단지 배신감과 좌절에 머무르지만 않았고, 참된 꿈과 상상력이 살아있는 배움터에 대한 구상으로까지 나아갔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실현으로서의 간디학교가 현재의 대안 교육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학창시절의 제도교육과 사회의 구조적 모순은 교육실천가의 마음 속에 담겨지고 다시 세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어떤 선이 있고, 그것이 아이들에게 가르쳐져야 한다는 시비의 판단이 생기는 순간부터가 어쩌면 교육이 어긋나기 시작하는 지점이다. 교육은 자연처럼 스스로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잘못된 사회구조속에서 상처받고 비뚤어진 아이들을 원래의 모습으로 회복시키는 것은 자연 속에 그들을 내버려두는 것이다. 벤포스타, 어린이공화국에서 보았듯이 아이들은 아이들이 아니며 정신적으로 어른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믿음과 신뢰감 그리고 사랑이 그들을 가장 바르게 성장시킬 수 있는 열쇠임을 알게 된다.

  간디의 정신을 이어받아 비폭력주의, 자치주의, 노작교육, 정신적 성숙, 전인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간디학교의 교육이념도 부럽지만 늘 3-5킬로의 자연속을 걸어다니면서 노동하고 자발적인 욕구에 의해 무엇인가를 배워가는 그들이야말로 진정한 자신을 발견해가는 과정에 있으며 그러하기에 참다운 행복이 무엇인지를 알아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사실 어른들이라고 하는 우리들이 어쩌면 그들로부터 배우게 되면 이 사회가 더욱 성숙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이 책은 마지막으로 나 자신에게 묻게 한다. 나는 과연 정말 행복한 일을 하고 있는가? 나는 정말 행복하게 살고 있는가? 나는 교육자로서 과연 행복한가? 하고 말이다. 아직까지 한번도 제대로 된 사랑을 해본 적이 없는 나이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한 번도 나 자신의 본래모습에 대해 정확히 파악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도 제대로 사랑하지 못한 이가 어찌 타인을 진정으로 사랑할 수 있겠는가?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할 때 가장 행복한가? 나는 아이들에게 행복함을 나누는 교사인가? 불행을 얹어주는 교사인가?

  다치바나 다카시의 청춘표류가 생각난다. 우리가 문제아라고 낙인찍었던 바로 그 아이들, 그들이 자신의 진정한 내적 욕구를 발견한 뒤에 그토록 무섭게 노력하고 나아가는 모습을 볼 때 과연 우리들은 외부의 획일적인 기준에 의해 얼마나 많은 천재들을 얼마나 많은 소중한 생명을 방치하고 있는 것일까? 하는 의문을....사실 따지고 보면 교육자인 우리들이 바로 제도적인 교육을 받고 영혼이 굳어버린 문제아들이다. 우리가 자신을 발견하고 행복하게 사는 법을 배우기 전까지는 아이들에게 행복하게 사는 법을 삶으로써 가르쳐줄 수 없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