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ㆍ분청사기 2
김재열 지음 / 예경 / 200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세기가 되면 청화백자의 기술상의 기형이 많이 출현하게 된다. 진사, 철화, 청화가 함께 구현된 도자가 생겨나면서부터 문방구류의 생산이 많아진다. 아래와 위의 조형이 서도 다른 것을 접합해놓은 도자의 생산이 늘어나고 다양한 형태의 필통과 연적이 생산되었다. 문방구류는 지금도 그 가격이 매우 높게 치는데 이 때에 많이 생산된 문구류들은 필통, 지통, 연적, 필세 등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본 투각 필통 만자형과 연잎형 필통은 투각치고는 그리 조형미나 기형이 뛰어나지 못한 편이지만 청화그림, 양각, 음각, 투각, 철채, 진사채 등이 사용되었고 그 중 투각기법이 도자기술로는 가장 상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조선의 서울이 지금의 서울이고 주로 관요가 경기도 일원에 많이 분포되었지만 북한에서도 관요가 존재했을 것이고 그 규모나 양이 얼마나 되는지 아무도 모른다. 또한 일본으로 건너간 도자기들의 종류와 수도 모르고 미국인에게 넘어간 수도 어림짐작 뿐이지 정확히 모른다. 그래서 그 대강규모와 도자의 종류, 형태가 취합된다면 한국도자사는 새로 쓰이게 될 것이고 또 국보나 보물지정도 많이 뒤바뀌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이 나에게 준 공부는 분청사기편이다. 국립중앙박물관과 삼성리움미술관에서 구경한 분청사기는 그것을 제대로 본 눈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박지나 귀얄문 정도만 파악했지 상감기법이 쓰인 작품이라든지 조화기법과의 차이라든지 면상감기법이라든지 이러한 8종류의 기법 중 어느 기법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감이 없었는데 적어도 이 책을 보고서는 그런 것에 유심히 마음 쓰며 보는 안목이 생기게 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조선 초기의 상감기법이라든지 작은 문의 도장으로 찍어낸 인화문 기법이라든지 등등에 대한 내용을 알고서 보면 좀 더 잘 보이고 또 그 작품의 우수성과 의미도 생각하면서 보게 된다. 또 분청사기는 전문화원이 아닌 도공들이 자연스럽게 그려낸 필치라든가 덤벙과 귀얄기법으로 자연스러운 형태의 도자의 모습에 그 매력이 제작기법까지 읽어내면 그 도공의 자유분방하고 대담한 처리들의 마음도 내 마음에 투영되어 그 새로운 맛을 느끼게 된다.

 

  아직은 알고 싶은 호기심과 욕구가 많이 있으나 국내 출판된 도서로만은 그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점이 있을 정도로 아직은 정리가 미흡한 편이고 또 실제적인 도자체험을 하기엔 지방에 산다는 점이 큰 핸디캡으로 작용하여 지역 박물관이나 대학박물관에는 몇 개 볼 것이 없고 그 종류와 수도 적다는 점에서 서울로 모일 수 밖에 없다는 점이 절감된다. 하지만 마음이 만들어내는 세상이니 좀 더 공부하다보면 그런 부족한 점을 고려할 수 있는 길을 생길 것이라 생각하고 좀 더 공부해보기로 한다. 최근에 나온 이 책 시리즈로 더 넘어가보기로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