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공부하러 박물관 간다
이원복 지음 / 효형출판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박물관에 가고 싶다. 사진으로는 아무리 봐야 진품에 대한 미감이 길러지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의 멋과 아름다움을 느끼기 위해서는 실제로 진품을 많이 경험하며 그 색감과 조형미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 그렇게 자신의 감각으로 파악된 것은 다시는 실수하지 않게 되며 가품으로는 절대로 만족하지 못하는 심미안이 생기게 된다. 아름다움과의 만남은 공예품을 주로 다루고 있고 옛 사람의 멋과 향기에서는 주로 회화부분을 다루고 있다. 특히 회화부분에서는 내가 만나지 못한 작품들을 몇 점 만나게 된 데 그 의미가 크다.

 

  미술품에 대한 해설은 고유섭 선생님이나 간송 선생님 그리고 혜곡 선생님의 책을 몇 권 접해서인지 말머리와 본론으로 들어가는 이선생님의 설명이 그리 깊게 다가오지는 않았다. 아직은 이선생님의 깊이가 앞으로 더 깊어지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미술품에 대한 정보와 지식은 내가 받아들여야 할 부분들이 많았음을 말할 수 밖에 없다. 청자원숭이모자연적은 조형미가 그렇게 뛰어나다고 생각되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에 서식하지 않는 원숭이라는 동물을 연적으로 만들어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기린모양의 미술품도 그런 면에서 소개되면 좋겠다 싶었다. 국보 74호인 청자압형연적은 유심히 보았다. 압형연적 중 크기도 큰 편이고 조형감과 세밀한 묘사 등 전체적으로 수작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청자의 비색도 원래의 청록색의 깊은 색감을 유지하고 있다. 비록 흑백으로 찍은 사진이지만 그것만으로도 색감이 입혀져서 내겐 비색으로 들어왔다.

 

  물론 아름다움과의 만남이라 해서 회화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이채의 초상화라든지 이암의 모견도를 보면 조선 회화의 독창성을 잘 느낄 수 있다. 선비의 기상까지 그림으로 담아내는 것이라든지 비록 축물이라도 모자 간의 오가는 따뜻한 정을 그림 속에 담아낸 점은 뛰어나다. 분청사기조화선조문편병은 그 선의 가는 미감을 아직 잘 모르겠다. 자유분방한 어린이가 아무렇게나 그려놓은 듯 하다. 그런데 그 예술성이 뛰어나다 하니....참....아무런 기교와 의도없이 자연스러운 터치로 아무렇게나 그려놓은 것이 그 자유분방함이라 하지만.... 안견의 몽유도원도와 고려의 수월관음도도 다른 책에서 본 내용이지만 여기서 한 번 더 보게 되어 기쁘다. 물론 수월관음도는 전체를 보여주지 못한 면이 아쉽다.

 

  회화에서는 유숙, 윤인걸, 정세광, 전기, 이유신, 이정근 등의 사람들은 오랫동안 접하지 못해 머릿속에서 지워질만 하니 다시 보게 되어 좋았다. 나아가 그들의 자연을 대하는 마음과 마음 수양과 벗들을 사귀는 깊은 정들은 부러웠다. 아직은 우리나라 미술품에 대한 세부화된 정리작업이 제대로 책으로 나오지 않아 아쉽고 또 다른 책으로 이어지는 디딤돌 역할을 이 책이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