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느끼는 시간 - 밤하늘의 파수꾼들 이야기
티모시 페리스 지음, 이충호 옮김, 이석영 감수 / 문학동네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밤하늘에 놓여진 수많은 별들을 바라볼 수 있다면 우리들은 경이로움에 젖어들게 된다. 그까지는 아니더라도 좋은 기분으로 아마 잠시동안만이라도 하늘을 쳐다보고 싶어진다. 혹 자신이 아는 별자리라도 만나게 되면 소리치며 말할 수도 있을 것이고 지긋이 그저 별만을 쳐다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한 순간의 인연으로 보게 된 별을 보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어떤 장비를 갖추거나 갖춘 장비를 이용하기 위해 몇 단계에 걸친 노력을 통해 밤하늘의 별을 본다는 것은 과거의 역사를 들여다본다는 것이며 그것을 통해 우리는 무지한 우주에 대해 어떤 호기심을 갖고 바라보는 것이 된다. 우주는 어떻게 탄생햇으며 밤하늘의 별들을 바라다보는 행위가 그 우주를 이해하는데 어떤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인지 우리는 아직 그 답을 내리지 못했다.

 

  별을 바라보는 데 필요한 것은 첫째가 호기심이다. 밤하늘의 별에 대한 호기심... 행성과 은하에 대한 앎을 가지게 되면 밤하늘이 조금 익숙해지게 된다. 또 은하단과 성운 퀘이커에 대해 알게 되면 지구의 생성을 떠나 우주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물음을 가지게 된다. 예로부터 밤하늘의 별자리를 통해 자신의 운명을 점치고 별들의 배열이 자신의 삶에 어떤 식으로든 연결되어 있다는 믿음을 가져왔다. 과학적으로는 미시적으로 태양계와 지구의 공전 달과 지구의 관계가 계절과 농사에 크게 영향을 미쳐왔지만 그 밖의 정신적 삶의 영역에까지 깊이 발을 들여다놓지는 않았다. 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호기심의 자신의 삶과 우주에 대한 그리고 존재에 대한 호기심이다.

 

  별을 관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눈이다. 그것은 시각을 통해 밤하늘의 별들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다. 다른 관찰과는 다르게 밤하늘의 별은 가까이는 수백년 전의 과거이지만 배율을 높혀 멀리 내다보면 수십억년 전의 우주와 만나게 되다는 사실이다. 허블망원경이 계산하고 추측한 우주의 나이는 137.5억년이라고 한다. 가장 멀리 보이는 퀘이크층의 연령이 그 정도로 추측되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우주관측자들은 우주가 하나의 빅뱅을 거친 시기를 지금으로부터 100억년 전에서부터 200억년 전 사이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시간, 그리고 과학적으로 그것을 증명해낼 수 없는 시간이 우리들에게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우리들의 과학적 인식이 넓혀진다하더라도 그것은 존재의 우주의 영역을 놓고 보면 하나의 점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면 눈으로 보는 우주의 인식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다하더라도 그것으로 우리들의 우주인식이 끝난다면 허무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별을 관측하기 위해 필요한 또 하나의 중요한 도구는 마음이다. 마음이야말로 눈으로 보아서 인식하는 우주공간에 대한 인식을 뇌에서 처리하고 가슴으로 느끼게 만들어준다. 우주의 존재가 갖는 의미를 우리들의 삶과 인식의 영역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즉 우리에게 있어서는 마음 속의 우주공간을 창출한다. 우리들은 우주와 나의 마음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긍정적으로 할 것인가? 부정적으로 할 것인가? 하는 단순한 방향설정부터 그 밖의 깊은 인식에 이르기까지 우리들은 한번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우리들의 우주는 어떠한가? 우아한가? 괴로운가? 고통스러운가? 행복한가? 우리가 사는 이 공간에 보내는 나의 마음의 메세지를 복되게 하고 사랑을 보내게 되면 우리들에게 반응하는 우주의 메세지도 또한 그러할 것이다. 우주를 느끼는 시간을 읽고 나서 나는 우주를 직접 눈으로 관찰하기 위한 망원경에 접근하기 보다는 우주에 보내는 내 마음의 메세지를 더 밝게 더 행복하게 더 사랑으로 채워가기를 다짐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