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를 위한 여섯 가지 은유
이어령 지음 / 열림원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왜? 어머니를 소재로 책을 썼을까? 그 모든 문학적 소산이 어머니라는 탯줄에서부터 나왔다는 것일까? 흔한 상상과 더불어 이 책을 펼쳤다. 선생님이 그간 보여주었던 우리 문화에 대한 해박하고도 깊은 해설이 그리고 물흐르듯 표현하는 한국어의 구사가 나에게 깊은 인상으로 박혔던지라 이 책을 고민하다가 구입하여 들었던 것이다. 선생님이 기독교세례를 받았다는 것에 일종의 편견같은 것이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굳이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를 읽지 않았더라도 이 책을 읽게 됨으로써 선생님에 대한 편견같은 것이 오래된 낡은 껍질처럼 내 몸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느꼈다. 진실한 삶에 대한 고민과 살아있는 영성 같은 것이 선생님으로 하여금 그 길을 찾게 만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어머니의 여섯 가지 은유는 자신의 문학적 샘물이고 우물물이고 바다였다. 어머니는 책이었고 나들이였고, 끊임없는 식량의 원천인 뒤주였으며, 어떤 과자보다도 맛있는 금계랍이었으며, 귤이었다. 그리고 바다였다. 어머니가 마지막 병석에서 드시지 않고 귀한 것이라 보내온 귤은 어머니의 유골과 함께 묻혀졌으니 그 귤은 가슴 속에 묻어둔 귤이지 이미 먹는 과일이 아닌 것이다. 바다 해 자에는 어머니 모자가 들어가있다. 자식을 향한 무한하고 아낌없는 사랑의 원천 그것이 바로 어머니란 존재일 것이다.

 

  감기에 걸려보지 않은 사람과는 대화조자 나누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는 선생님. 아픔이 없는 사람과는 인생을 이야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감기몸살로 꼼짝없이 누워있는 아들의 이마에 짚는 손이야말로 타인의 아픔과 소통하는 것이며 그 아픔을 내것으로 받아들이는 마음이다. 즉 어머니의 마음이다. 세상과의 소통엔 이런 이마를 짚는 소통이 필요하다. 세상을 모든 어머니의 마음으로 품는 자가 있다면 바로 예수님이고 부처님이고 절대자일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 선생님이 세례를 받은 마음의 동기에 대해 풀어놓으신다. 일평생 지식과 지성으로는 최고의 삶을 사셨다. 26에 대학교수와 신문사 논설위원이라는 최고의 지성의 자리를 지켜왔고 그만의 방식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해설을 통해 한국에 그 이름을 새겼으니 말이다. 하지만 70이 넘어가면서 그같은 지식과 정보는 진정한 삶을 만나는 데 장애물이 된다는 깨달음을 가진 것이다. 정직한 믿음과 깨인 마음이야 말로 순간의 삶을 받아들이고 살게 되고 순간의 주어진 생명을 축복하고 감사하게 된다는 깨달음 속에서 비로소 참된 행복과 삶의 의미를 느끼게 된다고 말씀하신다.

 

  선생님의 마지막 걸음을 통해 보다 새로워지고 깊어진 글들이 나올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최고의 지성인으로 맹목적 기독교의 폐단을 이미 알고 있으시기 때문에 그만의 독실하고 참된 믿음으로부터 시작한 영성의 성장과 그 영성의 글을 계속해서 세상에 풀어놓으시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혹시 알겠는가? 모든 종교를 떠나 진실한 믿음의 세계에서 보는 세상은 모두 아름답다는 진리의 말씀을 세상에 풀어놓을 수도 있지 않겠는가? 그의 영성의 세계의 첫 발이 지성의 세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부지런하고 박식하고 끊임없는 탐구정신을 통해 깊어지고 또 넓어지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