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
라마나 마하리쉬 지음, 이호준 옮김 / 청하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몸살이 났다. 아침에 잠에서 깨어난 나는 천근의 무게에 짓눌려 허우적대고 있었다. 그 때 나에게 잡힌 책이 바로 이것이다. 나의 무거운 육체를 느끼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 고통에 시달리면서 나는 나를 시달리게 하는 그 무엇을 찾으려고 하였다. 결국엔 내가 만든 에고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생기게 되고 있음을 나는 알게 되었다.

나는 누구인가? 이 물음을 던지는 자는 누구인가? 그리고 이 물음에 대답하는 자는 누구인가? 자신의 본래모습을 알기 위해 우리는 외부세상으로 향하고 있는 시선을 자신의 내면으로 돌려야 한다. 이것이 자아탐구이다. 그래서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육체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있는 그 마음의 현상을 바로 보아야 하며, 그 나라고 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과 동시에 세상이 자신에게 현상함을 보아야 한다.

그런 일상 생활 속에서 이러한 것을 보고 느끼고 알게 되는 '나'는 누구인가? 하는 물음을 가지고 자아탐구를 계속 해나가야 한다. 그래서 육체적 자아의 허상을 알게 되는 '진아'가 무엇인지 알게 될 때 이 현상이 꿈과 같음을 알게 되고 세상의 모든 현상을 겪으면서 고통스러워하는 자신의 본래모습이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고 그는 말한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 하는 물음이 마음 속에서 일으키는 떨림을 일상생활에서 지속시킬 수 있어야 우리는 진리에 이를 수 있다. 그래서 그 물음이 온 세상이 되어 나를 초월할 때 비로소 우리는 진리의 문으로 들어서게 된다.

꿈 속에서도 우리는 자신의 경험을 한다. 어떤 행위를 하고 그 행위를 하면서 어떤 마음을 만들어내고 그 마음에 따라 세상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깊은 잠 속에서 우리는 자아를 초월한다. 자신의 육체와 나라는 느낌마저 지워진 그 공간에서도 나의 실재에 대한 의심을 하지 않는다. 자아를 초월한 자아는 현실에서도 꿈에서도 숙면에서도 늘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에 주의를 집중하지 못한다. 그래서 꿈과 현실로 돌아오면 아주 짧은 순간의 존재의 느낌 후 나와 함께 순식간에 생겨버리는 세상을 마치 진실인양 여기며 살고 있는 것이다.

나는 누구인가? 어떤 대상을 오감으로 접하면서 생기는 어떤 마음이 도대체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인지 늘 탐구해야 한다. 나의 오감이 작동하고 마음이 생겨나는 그 근원에 대한 집중이 늘 필요하다. 그것은 바로 '나는 누구인가?'하는 물음을 놓치지 않는 것이다. 그 '나는 누구인가?'하는 물음이 단순한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가슴에서 울리는 떨림으로 만들어내어야 한다. 내 가슴 속에 진정한 내가 산다. 세상의 온갖 경험속에서도 그것을 지켜보는 내가 누구인지 알게 될 때 세상은 난 적도 없고 없어진 적도 없는 있는 그대로의 세상이 될 것이다.

자 이제 자신에게 묻자, '나는 누구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팀전 2005-02-27 0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의 자아는 타인의 자아이다."..라는 말이 떠오르는군요.내 가슴 속에 진정 내가 산다는 것에 그다지 동의하지 않습니다.탈자아론이라고 하나......

도연 2005-04-06 15: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진아를 알고 싶다. 몇 년전, 이 책을 읽으면서 난, 지금의 내가 '나' 아님을 알았다. 무상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