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다 죽어라 - 눈 푸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
현각.무량 외 지음, 청아.류시화 옮김 / 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가? 하늘은 왜 파란가? 보고 듣고 말하고 밥먹고 배출하고 느끼고 하는 이것은 무엇인가? 세상에는 두 가지의 사람이 있다.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생사의 문제를 해결한 사람과 해결하지 못한 사람. 더 말할 것도 없다. 나는 생사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그러니...숙제일 밖에...

 

  그런데 어떻게 하면 공부할 수 있나? 세상엔 여러 가지 공부방법이 있고 종교에 따라 종파에 따라 다양한 공부의 길이 있다. 그러나 그 모든 종교가 가리키는 곳이 진리라면 비록 겉모습은 다를지라도 그들이 가리키는 본래 진리는 하나다. 그런데 어떻게 그 곳에 닿는 인연을 만들 것이며 어떻게 그 곳에 닿는 공부인연을 지어갈 것인가?

 

  나는 오래 전 간화선의 공부방법에 조금의 인연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헛된 짓을 하며 한 세월을 보냈다. 이제야 비로소 공부란 무엇인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니 공부인연이란 참으로 귀하고 귀하다는 생각이 든다. 하루 하루 목숨바쳐 공부해야 하고 하루하루 간절해야 하고 매 순간 순간 큰 분심으로 온몸으로 부딪히며 시절인연을 기다려야 한다.

 

  화두는 활구로 공부해야 하는데 그 활구란 것이 한 순간의 의지와 노력으로 일구어지는 밭이 아니다. 꾸준히 늘 새로운 마음으로 시절인연을 쌓아가야 비로소 화두를 들려는 의지나 노력없이 온 몸이 화두가 되는 경험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 때 비로소 '화두를 든다'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공부하다 죽어라'는 말도 나는 이렇게 들린다. 목숨을 걸어놓고 공부하라는 말로도 가슴에 담을 수 있지만 진정한 '화두를 드는'인연에 나아가 한 걸음도 물러서지 말고 불퇴전의 의지로 죽음을 무릅쓰고 나아가 진리의 관문을 통과하라는 의미 말이다. 올바른 공부의 방향을 모르고 허송세월한 지 오랜 시간이 흘렀다. 이제 더 돌이킬 수 없는 인생의 시절이 도래했고 더 늦기 전에 진리에 도달하여 남의 말 앵무새처럼 따라 외우지 말고 스스로 진리의 허기짐을 채우고 스스로 세상에 진리의 생기를 불어넣어 부처님처럼 세상에 나와 더불어 도움되는 사람이 되는 것이 내 공부의 종점이다.

 

  공부하다가 죽어버리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