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곡 최순우, 한국미의 순례자 - 한국의 미를 세계 속에 꽃피운 최순우의 삶과 우리 국보 이야기
이충렬 지음 / 김영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 한 연못이 있다. 달은 하늘 위에도 있고 연못 속에도 있다. 연못 속의 달은 하늘 위에 뜬 달이 있기에 가능하다. 옛 사람들의 삶과 그들이 추구한 이상과 멋이 있기에 그 삶의 흔적이 남아 지금을 사는 우리들의 가슴에도 그 멋을 전염시킨다. 언제였던가? 그림에 반해 멋모르고 그림을 사들였던 때가...그 인연으로 내 집엔 수십 점의 이야기가 생겼다. 수십 점의 아름다움이 생겼다. 더불어 그 아름다움에 끌려 수십 권의 우리 문화재와 골동품, 미술품에 관한 책도 생기게 되었다. 한 곳을 향한 마음은 그 주변에 비슷한 것을 끌어들이는 힘이 있다. 나의 생활 속에 자리잡은 그림과 잡동사니와 책 속에는 우리 문화와 예술품에 대한 미의식을 가졌고 멋을 가진 발굴자들의 인생이 있었고 또 거슬러 올라가 그런 멋과 미를 즐기며 살았던 선현들이 있었다.

 

  대중매체를 보면 한국의 위상이 높아져가는 것을 느낀다. 반도체 부분과 조선업계, 특허 및 신기술, IT기술과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서 세계를 주도해가는 한국인의 자긍심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한국 5000년의 예술과 미의식 및 문화에 있어서의 자긍심이 있고 한국인의 뿌리깊은 역사와 전통 그리고 창조적이고 독창적인 예술품이 하늘에 뜬 달처럼 현실에서의 경제와 한국의 리더쉽을 이끄는 정신적 밑바탕이 된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하게 된다. 어쩌면 일본과 미국, 선진 유럽에 정신적으로 뒤지지 않는 자긍심과 우월감이 세계 최강의 전자업계 일본도 세계최고의 경제력과 군사력을 가진 미국도 오랜 전통 속에 민주주의와 문화의 꽃을 피워왔던 유럽에게도 뒤지지 않고 세상을 선도해내는 창의력을 발휘하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되는 것이다.

 

  그 세계 속으로 우리 문화의 자존심을 세계화시킨 분이 혜곡 선생님이다. 아주 오래 전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라는 책에서 처음 뵈었고 '나는 내 것이 아름답다'라는 책에서 두 번 째 뵈었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세 번 째 뵙게 된다. 그의 전기적 성격의 책으로서는 처음으로... 우리 문화재의 발굴과 체계화와 정리 또 문화사와 예술사에서 뻥 뚫린 부분들에 대한 고고학적이고도 예술사적인 연구로 한국미술사 5000년을 발굴해낸 선구자이며 한국 근대 미술사의 선구자라고 할 우현 고유섭 선생님과 간송 전형필 선생님을 스승으로 끊없는 자기 계발과 연구 노력 정성 그리고 한국미의 순례자로서 혜곡 선생님의 삶의 의미는 크다.

 

  일제 치하에서부터 한국전쟁 그리고 군부쿠데타 등의 역사적 격동기를 겪어오면서 오로지 한국 문화재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으로 온 마음과 열정을 다 바쳤던 혜곡 선생님이 없었더라면 우리 미술사는 분명 수십년은 더욱 늦게 빛을 보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니 앞을 내다보고 우리 예술품의 중요성을 미리 알고 준비하고 대처하는 그의 혜안이 없었더라면 우리 한국 자긍심을 살려된 미술품의 많은 것들이 전쟁의 포화 속에 사라졌거나 이데올로기의 총알 속에 가루가 되었을 것이었다. 또한 세계 전시회를 통해 한국미의 독창성과 고품격을 외부세계에 알림과 동시에 우리 국민에게도 내부적인 자긍심을 고취시키려는 노력이 없었다면 그 적은 예산과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우리 문화재를 굳건하게 지켜나갔던 사명감이 없었던들....지금 우리가 누리는 예술적 우월감은 어느 빛이 들지 않는 땅 속에서 깊은 잠을 자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탐욕과 전쟁의 포화속에 한 줌 먼지로 날아가버렸을런지도 모른다. 고려청자, 조선의 백자, 석탑과 불상, 우리의 그림과 생활상을 보여주는 여러 유물이 그의 심미안과 혜안 속에서 시대와 역사와 의미의 질서를 가지고 우리들 앞에 온전한 모습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이 책에서 새롭게 보게 된 달 항아리의 아름다움과 조선의 분청사기, 백자의 아름다움, 그리고 고려시대 청자기와의 독창성 등 새롭게 눈여겨 본 일들과 우리의 아름다움을 보아내고 글로써 다듬어내는 선생님의 심미안이 내내 부러웠다. 적어도 우리 미술의 아름다움에 무지함을 드러내지 않게 어느 박물관에 들어서더라도 눈여겨 유물과 유적을 대하고 그림과 도자기 예술품을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기 위해선 우선 그 미술품 속에서 멋과 아름다움을 볼 줄 아는 눈이 있어야 함을 절감한다. 이런 분들의 원이 있었기에 우리의 중요한 미술품과 보물들이 지금까지 우리 국민들에게 남아 민족의 자긍심과 심미안을 열어주고 있어 고맙고 또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