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미소 - 붓다가 전하는 행복의 기술
진현종 엮음 / 아름다운사람들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바란다. 하지만 그 행복을 바라보는 눈은 모두가 다르다. 그 다른 관점 속에서 각자는 행복을 추구하며, 자신의 관점이 그른 것일 때 상황이 변하면 행복도 깨어지게 됨을 경험하게 된다.

물질적 욕망에 행복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물질적 욕망을 채우기 위해 산다. 육체적 욕망은 그 물질적 욕망의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자신이 보다 맛난 것 먹고, 좋은 옷 입고, 궁궐같은 집에서 살고, 화려한 차를 몰며 사는 꿈, 아름답고 현모양처의 배우자와 만나서 건강하게 살면서 이런 행복이 죽을 때까지 유지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나이듦에 장사없고 문득 찾아온 노년기는 몸이 병들고, 사랑했던 사람이 떠나가고, 모인 재물은 흩어지고 우리가 행복이라고 생각했던 모든 것들이 차례차례 무너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때에야 비로소 삶의 참된 행복을 찾아 다시 방황할 것인가?

여기 지금 우리에게 참된 행복이 무엇인지를 가리키는 붓다의 30가지 이야기가 있다. 붓다가 말하는 행복은 자아를 중심으로 한 물질적이고 육체적인 행복이 아니라 마음의 행복이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지은 행위는 업이 되어 반드시 결실을 맺어 우리에게 다시 돌아온다고 한다. 따라서 선업을 짓고 복짓는 마음을 내며 살아야 한다는 교훈을 우리는 삶속에서 실천해야 한다.

하지만 사람으로 몸받고 사는 이상 선업만 짓고 살 수는 없다. 전생의 업이 올라올 때나 잘못지은 업들을 우리가 윤회를 반복하면서 다시 맞딱뜨리게 되고 현생에서 풀어야 할 때도 있다. 이런 업장을 직접 결실을 맺기 전에 푸는 방법도 있다. 그것이 마음의 참회인데 우리는 공부함으로써 그 업장을 현생에서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붓다가 전하는 행복의 길이란 마음공부의 길이며 우리 스스로가 붓다가 되는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