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
텐진 갸초(달라이 라마).빅터 챈 지음, 류시화 옮김 / 오래된미래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은 그 나름대로의 기운과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감동적인 순간이 다가오는 것을 이미 마음으로 먼저 알게 되었다. 마음의 떨림이 더욱 빨라지고 있으면 어김없이 내 마음을 깊은 곳으로 데려다주는 달라이라마의 말씀이 뚜렷하게 눈에 들어왔다.

"수행자로서 또는 불교수도승으로서 열반이나 깨달음을 제외하고 이 생에서 이루고 싶은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하는 질문에 달라이라마는 "행복"이라고 대답했다. 그 명쾌하고 단순한 대답 속에는 모든 인간 존재가 목적하는 것이 담겨져 있다. 누구나가 행복을 원한다. 하지만 그러한 행복은 외부세상에서 찾게 된다면 생로병사의 인간사에서 결코 찾아질 수 없다. 따라서 달라이라마가 말씀한 행복은 마음의 행복이다. 그리고 그 마음의 행복은 세상의 현실이 아무리 힘들고 고통스러워도 그것을 행복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의 비밀이다.

달라이라마 스스로 행하고 있듯이, 자신의 나라를 침략하고 많은 불교사원과 문화재를 파괴하고 수많은 티베트인을 죽이고 탄압했던 중국에 대해 그가 보여주는 "용서"는 인간 존재의 행복이라는 목적을 위해 상호의존하는 우리 존재의 깊은 본질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분이 실천해내고 있는 용서라는 행위는 상대방의 마음을 깊이 성찰하고 그 상대방의 영적인 성장을 위한 것이고 무엇보다도 용서하는 자신의 마음의 평화를 되찾고 삶의 행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이렇게 삶에 대한 보다 우주적인 통찰과 인간 존재에 대한 보다 깊은 통찰이 그로 하여금 중국의 지도자들과 힘들게 성사시킨 회담을 무산시켜버리게 되는 줄 알면서도 천안문 사태에 대해 단호하면서도 마음으로는 중국에 대한 깊은 배려를 담은 담화문을 발표할 수 있게 만들었던 것이 아닐까?

세상 그 누구를 만나더라도, 그 사람이 아무리 평범하고 보잘것없는 사람이라할지라도 그 사람을 대하는 시간만큼은 상대방의 마음을 충분히 배려하는 그의 모습 속에서 나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깊은 감동을 느끼게 된다. 아마 우리 인간존재로서의 영적 성장이 이루어낼 수 있는 최대의 위치에 그는 고고하게 서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가 전지구에 드리우는 자비의 기운이 너무나도 깊은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그가 중국인인 저자와 오랫동안 사적인 친숙함을 유지하며 티베트의 자비와 용서의 정신을 전달하고자 했던 이유가 책의 마지막 부분에 서술되어 있었다. 하지만 저자가 어떠한 인연으로 이렇게 달라이라마와 사적으로 깊은 친분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는지 궁금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이 끝내 없어서 책을 덮은 후에도 밀려드는 궁금함을 어찌할 수 없다. 아무에게도 잘 이야기하지 않는 영적 수행의 내밀한 체험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사이라면 정말 보통 인연은 아닐 것인데, 또한 달라이라마 사택에서의 많은 사적인 만남들이 가능했던 그만의 이유가 나는 더욱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었다. 말을 못하면 그럴 이유라도 좀 알려줬으면 하는 미련이 남는 것도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만나는 여러 가지 갈등과 그 갈등을 통해서 만나는 사람들에 대한 우리들의 태도를 다시 한번 돌아볼 수 있게 해주었다. 달라이라마가 말씀하셨듯이, 어떤 일과 대상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그것을 깊이 분석할 수 있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은 사물과 사람과 자연과 사건을 대하는 모든 것에서 내 마음 속의 편견과 고정관념을 없애고 모르는 그 마음으로 돌아가게 만들어준다.

아는 것이 병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 2004-11-07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