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력은 밥이다 - 생존과 직결되는 발상 전환법 창의력 시리즈 (김광희) 2
김광희 지음 / 넥서스BIZ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창의력이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억지로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상자 밖에서 던지는 물음"이다. 상자란 고정관념이다. 우리들의 몸에 생각에 베인 습관들, 그런 습관을 타파한 후에 드는 생각들, 아이디어들을 우리는 창의력이라 부를 수 있다. 그런데 창의력이란 일반적인 상식을 벗어난 생각들로 그것이 사람들의 마음을 얻는 데에는 또 다른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나아가 그 창의력이 세상을 바꾸어나가려면 사람들의 마음을 거쳐 세상의 주된 생각으로 자리잡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세상에 태어나서 삶을 유지하는 창의력의 원천은 결국 한 사람의 마음 속 생각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러면 결국 창의력을 알기 위해 우리는 마음이라는 보이지 않는 영역의 탐구를 필요로 한다.

 

  저자는 창의력이란 특별한 천재가 타고나면서부터 가지게 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물론 타고나면서부터 머리가 비상하거나 삶의 성숙함을 타고난 사람이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창의력이란 후천적인 노력에 의해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그런 의지를 갖고 수년간의 노력이 곁들여진다면 누구나 가능한 일이 된다고 한다. 폭넓고 깊은 다양한 지식을 갖추고 동기부여를 통해 다양성을 신장하고 아이의 마음으로 돌아가 세상의 고정관념을 버리고 창의성 획득의 다양한 기법을 익힌다면 당신도 창의성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창의성을 가장 쉽게 접하는 매체가 바로 상품광고이다. 그 광고는 한 번 보면 절대 잊어버리지 않게 되고 그 광고에 등장하는 물건에 마음이 딱~ 붙어 버린다. 몸에 좋지도 않은 코카콜라 광고를 보라 얼마나 마시고 싶게 만들었는가? 피자헛 광고는 또 어떤가? 두 가지 맛의 피자에 닭날개와 감자튀김을 동시에 맛볼 수 있는 메뉴...자동차 광고는 또 어떤가? 왠지 늘 자동차 옆에 있는 미녀도 함께 따라올 것 같지 않던가?

 

  그런데 진정한 창의력이란 무엇인가? 나는 생각을 조금 비틀기로 했다. 이 책은 창의성을 보여주고 그것을 어떻게 신상시키는가에 대해서는 보여주고 있지만 그 창의성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서는 가리키지 않는다. 나는 그것을 보리심이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세상의 모든 존재를 위해 그들을 보다 행복하게 만들겠다는 생각이 동기가 되어 자신의 신, 구, 의의 업을 버린 청정한 마음 속에서 수면 위로 떠오르는 생각들....그것을 창의성이라 부르면 어떨까? 자신의 진정으로 비워져야만 나올 수 있는 생각들 마음들을 가리켜 그것이라 부를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창의성이지 않을까? 그렇다면 그 말을 듣는 사람들의 마음으로 들어가 그들의 가슴에 직접 스며들 수 있는 말과 행동을 표현할 수 있다면 그것이 광고든 보고서든 스피치건 그것이야말로 창의성이 아닐까 하고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들은 그런 창의성의 기회를 눈 앞에 두고 뒤뜰에서 네잎 클로버를 찾으려고 분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