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 웨이 - 세계는 지금 새로운 리더를 요구한다
달라이 라마, 라우렌드 판 덴 마위젠베르흐 지음, 김승욱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라이라마께서는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리더에 대해 말씀하신다. 굳이 역사속의 위인들의 삶을 빌려오지 않더라도 지금 이 땅위에 살고 있는 리더들이 자신의 위치에서 바른 눈을 갖고 바른 일을 하면 세상은 보다 책임감있고 인간적인 세상이 될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그 분이 쓰는 마음은 하도 넓고 깊어서 글을 통해 그 마음을 받아들이는 것만으로도 마음 속이 맑아지고 힘이 생긴다. 또한 보잘것없는 이 육신의 삶도 내가 선 위치에서 새로운 시대의 내 자신의 리더로서 살아가는 삶을 고민하게 한다. 올 한 해 내 삶의 모토로 삼아 살것이다.

 

"자신의 리더가 되자"

 

 바른 눈이란 삶을 살면서 우리가 끊임없이 마음 속에서 묻고 또 물어야 함을 말한다. 나 자신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세상과 사건을 바라보는 지혜의 눈을 갖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그 지혜를 가지려면 자신의 욕망에서 왜곡되는 마음을 가라앉혀야 한다. 일이나 사람에 대한 판단에서 보리심과 깨달음을 향한 동기가 의사결정의 축이 되어야 함을 이야기한다. 조직에서 일을 맡길 때 그 사람에 대한 나의 감정적 판단이 개입되는 경우에는 그 사람의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판단내리지 못하게 되고 그런 원인에 기인한 판단은 결국 조직의 분위기를 와해시키고 사람들간의 따뜻한 소통을 가로막게 된다. 드러나는 결과가 같을지라도 그 마음의 동기가 다르다면 그것은 전혀 다른 결정이며 그 일의 진행과 결과도 사뭇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바른 눈이란 삶 전체를 바라보는 넓은 시각과 그 사람과 일의 인연의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범위를 우주로 넓혀서 보는 지혜를 말한다. 결국 완전한 지혜를 가지지 못한 범인인 우리들은 자신의 욕망과 감정과 생각을 비운 마음의 공간 속에서 더넓은 보리심으로 결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바른 일이란 조직의 리더가 가져야 할 책임감있는 행동을 말한다. 사회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그 사람의 말과 행동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리더가 하는 말과 행동의 업연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리더들은 더욱 자신의 의사결정에 대해 바른 눈과 바른 실천이 요구된다. 역사를 상기시키지 않더라도 우리들의 삶에서도 윗사람의 결정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았는가? 결국 그 잘못된 판단은 세상을 돌아다니면서 고통을 낳다가 결국엔 그 원인지은 곳으로 돌아가서 그 사람마저 고통 속에 빠뜨리지 않던가! 리더의 지위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생각할 때 마음수련은 필수적이다. 또한 리더는 그 삶이 더욱 성숙해야 하고 사람들의 장단점을 파악하는 능력이 뛰어나야 한다. 그리고 그 사람이 가진 잠재력을 끄집어낼 수 있도록 영혼을 건드릴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리더들이 많아져야 세상은 희망을 가지게 될 것이다.

 

  한 때 사회주의는 세상의 빈곤을 해결하는 문제로 사회적 소유를 주장했다. 좋은 시스템을 가지고도 결국 실패한 제도가 된 이유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바로 사람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갖추더라도 그것을 운영하는 사람의 마음이 사악하다면 그 좋은 시스템은 세상에 다시 없을 살인도구가 된다. 사회주의는 좋은 이념에서 출발하였지만 지도부들이 자신의 욕망과 권력을 놓치려하지 않았고 또한 지도자들이 인격수양을 위해 필요했던 종교성마저 저버렸다. 물론 자본주의시스템이 완전하지는 않다. 하지만 이미 세계는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움직이고 있고 그런 고삐풀린 자본주의 시스템에 불교적 책임감을 조화시키려고 하는 것이 달라이라마님의 마음이다. 기업을 책임지는 경영자는 보다 큰 인류전체의 행복을 놓고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런 넓은 마음씀이 기업경영과 모순되는 행동이 아니다.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떳떳한 경제활동이야말로 이시대에 절실히 요구되는 덕목 중 하나다.

 

  달라이라마님은 새로운 리더쉽을 통해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세가지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란다. 첫째, 세계적인 빈곤의 해결이다. 아직 인류의 절반에 달하는 사람들이 하루 1,2달러 정도의 소비로 불안한 생명줄을 붙잡고 살아가고 있다. 그들은 절대적 빈곤에 시달리며 이는 부유한 국가와 세계적 기업들이 자신의 경영수익의 일부만을 돌려주더라도 해결할 수 있다. 두번째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생각한 경제이다. 지금의 확장일변의 경제는 기관실없이 달리는 열차와 같다. 결국엔 자원이 바닥날 것이고 지구 위의 인류의 경제적 삶은 파탄이 나고 말 것이다. 인류의 감소를 유도하는 정책과 고갈자원 사용량을 줄이고 재생자원 사용을 늘이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없이는 이 같은 경제체제의 종말은 불보듯 뻔한 일이다. 마지막으로는 기본적인 인권의 보호이다. 아직도 세상의 많은 지역에서는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존엄도 지켜지지 않아 마음의 고통 속에서 사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이러한 고통은 경제현상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달라이라마께서는 책임감있는 기업문화를 강조하신다. 도덕성이 결여된 기업활동은 인간사회를 정글과 같이 만들 뿐이다.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의 환경이 보장되는 세계를 만들기 위해 이 시대의 리더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자신의 리더가 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