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그림이다 - 동서양 미술의 완전한 만남
손철주.이주은 지음 / 이봄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은 '그리움'과 연관이 있다. 그리움은 상대방의 얼굴을 눈 앞에 그리는 것이고 그것이 자신의 삶이라면 그 삶을 그려보는 것이다. 삶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된 이 책이 손철주님과 이주은님의 대화형식을 빌어서 그 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다. 삶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 그림이라는 창을 통해 인간이 가진 보편적인 정서나 몇 가지의 주제를 통해 그들은 주고 받는다. 서로 마음 속에 계합되는 마음이기도 하고 생각의 차이들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말들이 모여 그래도 우리들의 삶을 가리키는 손가락이 된다. 삶을 모색하는 사람들에게 그 발 앞에 하나의 오솔길을 만들어낸다. 이 길을 걸으며 동서양의 미술작품을 통해 우리는 우리들 인생을 구성하는 인간적인 면면들과 만나게 된다.

 

  앤드루 와이어스의 '결혼'이라는 작품으로 이주은님은 첫 말문을 연다. 열린 창틈으로 들어오는 새벽의 햇살 그 햇살 비추는 곳에 노인 부부가 미동도 없이 누워있다. 이불이 전혀 움직인 흔적이 없는 것으로 보아 두 사람은 이세상을 떠나간 것인지도 모른다. 왜 삶이란 물음 앞에 삶의 마지막 순간인 '죽음'을 보여준 것일까? 어쩌면 삶이란 죽음을 비추어보았을 때 더욱 잘 보이는 것은 아닌가? 아니면 아무런 생기없이 이미 부부사이의 마음소통이 끝나버린 노년이 결혼이라고 생각한 것일까?  이에 대응해 손철주님은 이인상의 '와운'을 통해 삶을 말한다. 소용돌이치는 구름을 통해 뭔가 거친 파도를 헤치고 불안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그린 것일까? 정작 비장한 그림과는 달리 이 그림을 그린 이인상 화백은 붓과 먹의 생리에 통달하여 한 붓으로 천차만별의 표현을 담아낸 듯하니 먹의 농담과 번짐이 자유자재한 느낌은 왜인 것일까?

 

  손철주님은 동양화와 글로써 말을 건네고 이주은님은 그를 받아서 서양화와 글로써 답하며 문답이 편지형식으로 하나의 주제에 대해 다른 시각으로 만나기도 하고 다른 각도를 보여주기도 하며 독자들의 마음을 건드린다. 독자인 나는 주제에 따른 신선한 그림을 보는 즐거움과 더불어 주제에 대한 그들의 글을 통해 사색할 수 있는 여백 또한 가지게 된다. 손철주님은 동양화의 그림 그 자체에 주목하여 그림을 통해 화가가 담아내고자 했던 뜻과 깨달음 같은 것을 통해 인생을 이야기하는 면이 나의 눈을 사로잡았다. 이주은님은 그림을 설명하기 위해 그림으로 향하는 징검돌을 몇 개 놓으며 그림과의 관계를 보여주며 그림을 이해하는 시각을 제공하려 했다. 따라서 동양화를 보는 그림을 오래두고 사귀며 그 속에 담긴 뜻을 취하는 방법과 서양화를 보는 그림 주변을 이해함으로써 그림을 더욱 풍부하게 보는 방법들을 익히게 된다.

 

  서양화 중에 마음에 드는 그림을 몇 점 만났다. 처음 눈길을 끈 것은 앤드루 와이어스의 '비상'이란 작품이다. 먼 사막 위를 날개를 한껏 펼치고 자유롭게 나는 독수리...날개를 움츠림없이 활짝 펴고 바람과 기류를 타고 저멀리 지평선을 향하는 그 몸짓에서 나는 자유...절대자유를 본다. 일리야 레핀의 '이렇게 넓다니!'도 순식간에 눈깜짝할 사이에 자신을 덮친 감동의 물결로 자신의 모든 것을 잊어버린 순간 속에 빠져버린 자신을 느끼게 한다. 잘 차려입은 정장은 쏟아져내리는 비와 물결 속에 몸을 맡기고 그저 그 풍경을 즐기는 두 남녀....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려 하지 않고 우주가 만들어낸 이 순간을 즐기려는 그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난 절대로 후회하지 않을 거야...이 순간은 ....마지막은 안나 안처의 '부엌에 있는 여인'으로 우리들의 어머니를 생각하게 한다. 항상 좋은 자리나 축하자리에서 어머니는 음식을 만드느라 등만 보인다. 어머니란 존재는 늘 우리에게 먹을 것을 주는 존재였다. 유아에서부터 청소년을 거쳐 성인에 이르기까지....아직도 "밥은 묵고 다니나?"란 말에 눈물이 울컥한다면....그리운 어머니의 부재를, 그 빈자리를 쓸쓸하게 간직하고 있는 기억과 추억 때문일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