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 최전선
허동현·박노자 지음 / 푸른역사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사람들이 편안하게 읽어내기 쉽지 않은 역사책이 박노자 교수와 허동현 교수의 편지형식의 글을 통해 세상에 나왔다. 스스로가 '개인주의적 진보'와 '건강한 보수'라 얘기하는 그들을 통해 진보와 보수가 열린 대화와 토론의 장을 만들었다.

  하지만 책의 내용을 읽다보면 진보와 보수의 구분이 흐릿하게 되고 누가 누구의 글인지 헷갈리게 되어버린다. 그것은 진보와 보수의 개념이 우리가 흔히 잘못 이해하고 있는 우익과 좌익의 구분으로는 설명되지 못한다고 그들은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건에서 외면적인 행위만을 놓고 보면 우리는 누가 보수이고 누가 진보인지 구별을 하지 못한다.

  우리들의 근대화의 역사는 민족과 국가, 집단과 전체라는 것을 위해 개인적인 가치가 희생된 역사였다. 이에 두 교수는 전체를 위해 개인을 희생한다는 전체주의적 횡포에 의해 죽어버린 진정한 주체와 개인을 다시 살려내는 것을 그들의 임무로 삼았다.

  그것은 다시 역사해석에 있어서도 학자들에 의해 교과서화된 정설만의 해석을 거부하고 역사를 보는 개개인에 의한 개인적 가치와 해석을 만들어내는 작업으로 나타났으며, 이 책 또한 그런 노력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개항기를 통해 본 한국사회는 봉건제 타파라고 하는 과제와 근대화의 추진에 의한 국민국가의 형성이라는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었고, 그런 과정에서 외세의 압력은 더욱 거세어만 가고, 주변의 조선지배의욕을 막아내고 극복할 수 있는 힘이 내부적으로 갖추어지지 못한 사면초가의 상태였다. 이런 역사적 상황에서 전체주의에 의해 희생되는 개인적 가치를 복원하면서 국제사회에서 당당하게 우리를 세우는 길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고민한다. 

   전체 역사의 흐름에서 과연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고, 그 전체주의적 횡포에 맞서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 답없는 질문을 던져보고 가장 합리적인 모색을 해보고자 하며 물론 그것은 오늘날에 우리가 당면한 현실에서도 마찬가지라는게 두 교수의 생각이다.

   한국 근대사에 대한 박노자 교수의 객관적이고도 외부적(?)이며 대담한 비판에 최소한의 민족적인 자존심을 나름대로의 근거로서 지켜내고자 한 허동현 교수의 반론이 묶여 한국사회가 안고 나가야 할 과제들에 대해 대중들의 개인주의적 가치의 부활과 개인의 자유롭고 열린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둠으로써 현실의 한국의 선택을 지혜롭게 하고자 한다.

   두 교수의 진지하고도 깊은 우정과 더불어 한국사회에 대한 깊은 애정은 우리 사회의 앞날에 대한 또 다른 희망을 제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