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부처가 사는 나라
청화스님 문도회 엮음, 김형주 사진 / 이른아침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청화스님을 알게 된 것은 지난 부처님 오신 날 저녁늦게 우연히 켠 TV에서 방영된 분이었기 때문이다. 스님의 삶과 깨달음을 향한 의지는 나로서는 무척이나 감동이었다. 일일일식을 40여년이 넘게 이어온 것 하며 같은 기간동안 장자불와하며 수행을 했던 그 치열함은 생사를 해결하는 문제가 목숨을 걸어놓지 않고서 설렁설렁하는 마음으로 극복할 수 없는 절실함과 긴박함을 말하고 있었다. 스님의 삶을 바라보며 나의 삶을 되돌아보면 부끄러움 뿐이었다. 식욕이며 색욕, 수면욕을 다스리는 스님의 의지는 그야말로 세상의 그 무엇도 꺽을 수 없는 철옹성과도 같은 것이었다.

그런 스님이 강조한 것은 "염불선"이었다. 고행과 수행의지라면 부러울 것이 없는 스님이 "화두선"아닌 염불선을 강조한 데에는 아마 근기가 부족한 세인들이 좀 더 수월하게 부처님의 법에 닿게 하기 위한 배려심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화두에 관한 책을 몇 권 읽으면서도 늘 그 화두가 몇 일을 가지 않았던 것에 대해 내 자신을 탓해왔던 바도 있었기 때문에 스님의 염불선의 방법은 어쩌면 나에게 어울리는 방법일런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책 머리에 나오는 스님의 사진 한 장 한 장을 천천히 들여다 보면서 스님의 얼굴표정에는 자신의 마음이 머물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었고 그래서 그 표정이 웃으시건 무표정이시건 간에 너무나도 평화롭고 자유로워보였다. 인간으로 태어나 한 번 웃어볼려면 저런 웃음 정도는 한 번 웃고 죽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람을 끌어들이는 웃음이었다. 한 치의 티끌같은 사사로움도 없는 무애한 웃음이 있다면 바로 저럴 것이다라른 생각이 들 정도로....

마음이 닦이지 않았으면서 존재의 실상인 공을 알려고 머리로만 애쓰던 나의 철없는 모습이 눈앞에 아련하다. 과욕을 부리기보다는 꾸준하고 성실하게 마음 닦을 일이다. 내 마음 속에 먼지가 수십 수백 두께가 쌓여 있는데 진실이 보이겠는가? 순간 순간 마음 회향하는 노력을 할 일이고, 그것을 통해 눈꺼풀 위를 덮고 있는 대들보는 치울 일이다. 삶과 죽음의 절절하고도 급박한 문제 앞에서 나태해지는 내 마음에 채찍질을 할 일이다.

부처님이 사는 나라, 그 나라에 살면서도 업장이 두터워 천지구별을 못하는 내 앞에 아련하게 등불하나 반짝이고 있다. 스님은 그렇게 가신 뒤에도 중생의 업장을 녹이는 용광로로 우리들 앞에 현존하고 계신다. 그 마음에 내 마음을 맞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